게이머 - Gamer
영화
평점 :
상영종료


영화의 첫장면부터 관객을 몰입케 하려 했는지
거의 바로 전투씬이 시작된다.
게임속 캐릭터들은 가공이 아닌 실제란 설정...
그리고 실제 죽을 수 있는 그 살아있는 인간 캐릭터들은
자신의 목숨을 걸고 도박을 할 만한 위치의 사람들로
사형을 앞둔 죄인들 위주로 짜여 있다.
주인공 '제라드 버틀러'는
3번만 더 생존한다면 사면받고 새삶을 살수 있는
'케이블'이란 전직 군인을 연기한다.

영화는 액션을 표방하는 듯 했지만
흐를수록 액션보다는 미래사회의 암울함을
더 담아보려는 듯 느껴졌다.
쇼파가 찌그러질 정도로 살 찐 한 남자가
가상세계 속 미녀로 캐릭터를 잡곤 질펀한 사생활을 즐길 수 있는 세상...

살아있는 게임속 인간 '케이블'을 조정하는 주인이
어린 고등학생으로 전세계 게임매니아들의 우상으로 나오는 설정 등에선
여름에 상영한 애니매이션 '썸머워즈'가
살짝 겹치기도 하는 이 영화...

가상현실을 실사화 했던 기존의 여러 영화들과는
기술적인면에선 분명 한층 진보한 테크닉을 보여 주지만
다른 한편으론 전달하려는 메세지가 너무 강한건 아닌가 싶다.

'론머맨'처럼 점점 변해가는 주인공의 얘기에 촛점이 맞춰져
일관되게 몰입할 수 있는 영화도 아니고,
'레지던트 이블'처럼 연작의 시리즈를 탄생시킬 만한
독창적이고 파워풀한 시퀀스를 보여주지 못한다.
한가지, 이 영화만의 독특한 발상은
머리에 심은 조정칩이 제거불가능한 몸의 일부로 되버린다는 설정과
이를 백신을 맞음으로써 교신기능만 끊을 수 있다는 아이디어인데
이로인해, 내용은 좀더 정교해졌지만
역으로 액션영화 본질과는 더 멀어진 스토리로 흘러버릴 수 밖에 없었다고 느껴졌다.

그래도 개인적으로 이 영화에 주목하고 싶은 1가지가 있었다.
그건 주인공 '제라드 버틀러'란 배우의 역량이다.
전작 '300'이나 '님스 아일랜드' 등을 거쳐 여기까지 왔는데
풍기는 이미지가 영화마다 매우 이채롭다.

'300'에선 선굵은 연기이긴 했으나
깊이보다는 평면적인 만화캐릭터를 잘 소화했었고,
님스 아일랜드에선 여유가 느껴지는 모험가 캐릭터로
해리슨 포드와 조지 클루니의 중간쯤의 느낌을 연기하는 배우로 보였다.

이 영화 '게이머'에선
흡사 브루스 윌리스의 다소 냉소적인 모습과
러셀 크로우의 무게감 있는 남성적 매력 모두가 느껴졌다.
그럼에도 뭔가 아직은 제 기량 모두를 발산하지 못하는
확실한 자기 물은 못 만난 대어같단 느낌을 받았다.

우연치 않게 '게이머'에 대한 감독의 인터뷰를 보니
이 역활을 위해 제라드에게 좀더 영화속에 적합한
'300'때 와는 다른 전사의 몸을 만들도록 요구했었다고 한다.
우락부락하기만 한 몸이 아닌 단련된 전사의 포스를 위해...

관객인 내가 아무런 정보없이 봤을때도
감독이 주인공에게 주문했다던 그 강인한 무언가를
스크린 안에서 느낄수 있었다고 봐 지는데
이렇게 만들어진 외적모습으로나 절로 뿜어져 나오는 기가
제라드 버틀러란 배우의 전체적인 잠재능력으로 느껴졌다.

많은 액션배우들이
늙어가고 사라져가고 있는 지금
어쩌면 이런 무게감을 가진 가능성있는 배우가 있다는 건
관객으로써 고마워해야 할만한 일로도 보여진다.

다만 한가지 우려되는건,
이 배우가 제대로 명성을 쌓아가기전에
그렇고 그런 영화들로 소진돼 버리진 않을까란 염려다.

처음 언급했던 브루스 윌리스처럼
첫 스타덤에 올려줬던 다이하드 시리즈,
조금 주춤했던 마지막 보이스카웃, 머큐리, 자칼 등등,
그리고 장르를 불문한 출연이었지만 대박이였던
식스센스, 아마겟돈, 12몽키즈, 컬러 오브 나이트 등으로 이어지는
자신만의 색깔을 충분히 살려낸 필르모그래피처럼
제라드 버틀러도 꾸준히 명성을 쌓아갈 수 있는
운좋은 배우로 남아 주길 바라고 싶다.

영화는 액션영화로썬 다소 미흡하지만,
제라드 버틀러란 배우의 가능성을 다시 한번 봤기에
나름 만족스러웠던 영화가 바로 '게이머'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