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맥킨지의 전략적 프레임 - 경영 전략의 본질을 꿰뚫는 컨설팅 프레임워크
오시마 사치요 지음, 강모희 옮김 / 유엑스리뷰 / 2024년 12월
평점 :

기업 현장에서 쓸 수 있는
분석방식을 다루고 있는 책이지만,
업무적 효율성 뿐만 아니라
순수하게 자기계발을 위해서도
각각의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식들을
개인의 사고방식으로 이해해 보는 것도 필요하기에
여러 방식으로 이 책은 도움이 된다고 본다.
컨설턴트 기업인 맥킨지 사에서 습득한
일처리 방식에 대해 말해주며
다년간 쌓은 저자 방식대로의 노하우를 책에 실었기에
비지니스 적으로 접근할 부분도 많다.
하지만,
업무적이던 개인적이던
분석하고 그걸 성과가 나는 방식으로
변모 해보는 발상이나 방식을 이야기하고 있기 때문에,
크게 이런 2가지 방식으로 적용해도
모두 괜찮은 자료가 되줄 것으로 느낀다.
특히, SWOT에 관한 내용만 보더라도
이걸 단권의 전문서적으로 읽어보려면
거의 10cm 두께의 책으로 봐야겠지만,
이 책은 단순히 이 기법의 효용만을
누구나 알아듣기 쉽게 설명하면서도
왜 이게 현장에서 쓰이는지 알려주기 때문에
부담감 없이 접할 수 있어 좋다.
기업 업무흐름을
강점(strength), 약점(weakness)
기회(opportunity), 위협(threat)란
4가지 요소로 나누고
이를 4사분면으로 배치해,
전략수립과 자원분배 등에 쓰는 기법으로
영문 앞자만 따서 'SWOT'라 부르며,
강점과 기회를 잘 알고 포착할 수 있게 해주면서도
약점과 위협조차도
강점과 기회로 전환할 수 있는 길이 있는지
따져볼 수 있게 도와줄 수 있는 도구라
합리적인 선택을 가능하게 한다.
하지만, 앞서 말했듯
자기계발을 위해 활용하고자 한다면
9장같은 내용을 더 참고할만 하다.
내용 중 경험학습모형은
맞춤전략의 발상을 알려주는 것으로
타개책을 수립하는데 유용한데,
존 듀이의 교육학 중 '학습이론'을
비지니스 사례에 적용할 수 있게 응용한 것이라
인문적 소양의 내용으로도 손색없어 보인다.
경험을 통해 배운 걸 '경험학습'이라 하며
이걸 해당 경험 이후에도 폭넓게 활용할 수 있게
절차로 체득한 걸 '프로세스'화 해 둔다면
계속 언급되는 '프레임워크'도 가능하게 만들어 주면서
이를 전반적으로 필요한 여러 곳에 쓸 수 있기에
자기계발적인 면도 있다고 보는게 이 이론이다.
경험학습모형은 4가지 공정으로 구성된다.
'구체적 경험'
'내성적 성찰'
'추상적 개념'
'적극적 실천'
개념화에 이르는 걸
본격적으로 프레임화 시킨 과정의 출발이라 보고,
SWOT에서 봤듯 이 방식 또한
4사분면처럼 구성하여 맞물리는 구조로 보기에
보완적이면서 문제해결의 도구로 쓰일 수 있는 것이다.
저자가 추구하는 건 결국 시스템적 사고.
언급되는 시스템 구성 방식들을
가시적 시스템으로만 접근해 생각한다면
하나하나 모두 개별적으로 능숙하게 숙지해야만
쓸 수 있을 어려운 도구같고
알아야 할게 계속 늘어나는 것처럼만 받아들여질 테지만,
결국,
무언가를 생산적인 도출이 가능하도록 이끈다는 건
그게 발휘될 수 있는 흐름을
한 사람의 내적인 경험학습으로 축적된 걸로 이해할 수 있기에
가능하다면 시스템 설계능력은
실무자 머리 안에 장착되어야 하고
그렇게 되야 다수의 사건에 적용될 수 있는게 될 수 있는 것.
이런 이유로 목표달성 프레임 워크관련 내용 중
9장에 특별히 학습모형을 넣었다고 느낀다.
간략하게 전략방식을 배워볼 수 있는 책이라 효율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