쉽게 상처받는 당신의 마음에 대하여 - 고통과 상처에 대한 심리학적 처방
롤프 젤린 지음, 김현정 옮김 / 나무생각 / 202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 '롤프 젤린'의 책은 거의 다 읽은 듯 하다.

종이책만이 아닌 e북으로도 가지고 있는데

단순히 너무 팬이여서가 아니라

심리학을 다루는 저자의 글느낌 자체가

내용을 떠나 자꾸 읽어보고 싶게 만드는 힘이 있다.


이번 책은 고통과 상처에 관한 

저자만의 해석과 대처법을 다루는데,

역시나 문장의 모든 느낌이 꽤나 탁월하다.


여러 이야기들 중 스트레스를 살펴 보자면,


스트레스란,  

인간이기 때문에 유일하게 겪는게 아닌

살아있기에 겪는 많은 경험들이 스트레스가 되는 건데

외부적 충격과 내부적 충격으로 나눠 고려해 보고 있다.

외부적인 건 물리적으로 가해지는 고통인 것인데,

이때 인간은 그 위협에서 살아남으려 

본능적으로 애쓰게 되지만,

이 본능이란 사람이 주체가 되어 발휘되는 것으로

직접 판단하고 해결되는 문제접근법이 아닌

판단자체가 보호본능을 발휘 되어

자신을 지키려는 힘이 된다고 보고 있었다.

이는 유전적 요소로 다분히 생존에 필요로 장착된 능력이지만

때로는 오히려 방해와 부담으로 작용하다는 걸

설명하기 위해 등장한 부분.


조금 범위를 좁혀 들어가

정신적 상처로 인한 스트레스를 다루게 되는데,

저자는 외적인 공격이 내적인 상처로 이어져

자신이 만드는 스트레스가 되어가는 사이클을 들려준다.


위험하지도 패배하지도 않는 삶,

무탈하기 만을 꿈꾸는 게 인간적 본능이지만,

어떤 부정적 상황을 겪게 됐을 땐

불가피하게 사고, 감정, 신체 모두에 영향을 받는다.

고로, 정신적 상처는 육체적으로도 

충분히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문제란 게 중요.


여기서 중요한 설명이 등장하게 되는데,

감정적 상처를 받을 시 3가지 요소에 침해루트가 열림.


감정변화, 신체상태, 사고양상


이 3개가 기존과 바뀌게 되는 것.

이로인해 스스로 자신이 받은 고통 주위를 맴돌며

끊임없는 재생산 될 고통을 자초하게 된다고 본다.


이 상황을 지혜롭게 넘기지 못한다면

자신이 받은 상처와 고통만 

내면을 가득 채우게 되기 때문에

본인의 인식이 매우 중요한 문제다.


단순히 자책을 피하려는 의도는 아니지언정

외부로만 상처와 고통의 원인을 돌릴 수 있으며,

자신에게도 책임이 있을 수 있음은 부정하고,

주위를 친구가 아님 적으로 간주하게 되거나

선과 악으로만 판단내리게 될 수도 있다.


다각적인 인지적 이해나 노력없이

2분법적 논리로만 모든 걸 판단하게 되는

블랙홀에 빠지는 결과가 될 수 있다게 포인트.


이쯤 이르게 됐다면,

부정적인 것만 발생되는 게 아닌

자신을 지키기 위한 긴장감과 에너지까지 쌓게 되어

이또한 정과 부과 공존하는 아이러니의 상황일 것이다.


즉, 

방어용으로써 자연스럽게 분출되는 순기능과

모든 힘을 스스로 눌러버리거나 

무거운 짐이 될 수는 역기능적인 면이 

모두 다 가능하기 때문.


건설적으로 에너지가 방출되기 위해선 

생각이 아닌 행동이란 식의 설명만이 아닌,

주의와 노력이 필요한 단계다.

 

트라우마에 관련한 책에서

고통이 된 외부사건의 원인을

제대로 방출되지 못한 에너지라 설명한 것과 비슷해

이 책의 이해함에 도움도 됐다.


한국적 표현으로 이 미방출 된 에너지가 일으키는 질환은

'홧병'일 수도 있겠다란 생각을 해보기도 해 보면서. 


저자는 본인의 이론을 정통이라 설명하지 않는건

자신의 전문성 부족에 대한 양해를 구하는게 아니라,

오히려 그 반대로, 

늦은 나이에 시작한 심리학이라

좀더 초월적이고 독창적인 접근이 가능했다고 

스스로의 보고 있음도 인상적이었다.


심리학 책이 분명 맞지만

잘 쓴 심도 깊은 에세이 느낌으로 읽어도 좋을 책이라 본다.

주제를 다루며 결코 길을 잃지 않고

동어반복적인 부분이 없다는 점이 

글의 가치를 높여주는 부분들이기도 하고.


만일, 답이 없는 고통에서 헤매고 있다면

한번 읽어보는 걸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