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버티다 보면 괜찮아지나요? - 나를 지키며 성장하고 싶은 직장인을 위한 마음 상담소
황준철 지음 / 저녁달 / 2024년 11월
평점 :

우선 버티다 보면 정말 괜찮아질까란 질문을 통해
저자는 각자가 희망하지만
결론적으론 부정적인 결론으로 끝날수 있음을
책의 여러 사례를 통해 보여준다.
결국 시간이 해결해 줄 거라고
버티기만 해서는 방법이 없다는 말이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러 상황들에 대한 나름의 해결책들 속엔
공통된 결론이 등장하진 않고,
모든게 케이스 바이 케이스란 뜻마냥
각자도생의 능력치 배양뿐임을 자각하게도 한다.
어떤 건 대응하고 부딪혀야 하며
어떤 상황에선 가면을 쓴 듯
자신에게 해가 도달하지 않게
자존심이라 착각하지 말고
변신할 줄도 알아야 한다고 조언하는 저자.
애초에 구체적인 답을 얻고자 했다면 실망할지 모른다.
책이 그 답에 근접하게 힌트는 줄 수 있을지 몰라도
기적같은 답을 알려줄 순 없다는 전제가 깔려 있는듯 하다.
그러므로 넓은 시각에서 읽을 필요도 있는 책이라 생각한다.
예상보다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은
분명 넓혀줄 수 있을수 있겠다고 느낄 순 있다.
약간은 상반되는 2가지 이야기부터 소개해 본다.
팀장이 된 사람이 자신이 잘하던 실무에선 멀어지고
관리직이 됨으로써 가중됐다고 느끼는 일들에 관해
굉장한 스트레스를 겪는 이야기와,
자신을 궁지로 모는 듯한 상사로 인해
괴로워하는 직원의 이야기다.
팀장이 된 이는 매일이 고되고 고충이다.
예전엔 자기 일만 잘하면 됐고
전문적인 지식이 자신의 업무에 한하면 됐는데
팀장이 된 이후엔 몇개가 아닌
팀전체 구성원들 각자가 하고 있는 분야들까지
어느정도 총괄적으로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는
의무감과 노력이 고역이 됐다.
집에 와서도 회사관련 스트레스가 연장되어
쉬지 못하고 계속 자신을 자극하는 상황이다.
저자는 이것을 4가지 정도로 해법을 내놓는데
이를 더 간단히 압축하고자 하는 저자는
못하는 걸 분명히 인지하고 밝힐 것과
자신을 일을 의논하고 도와줄 사람을
찾으라는 조언을 덧붙였다.
상사가 비협조적이고 괴롭히듯 자신을 대해
직장생활이 괴롭다는 케이스는
언뜻 인간관계로도 비춰질 수 있는 부분은 있다.
하지만, 그럴 처지여야 하는 이유가 있다기 보다는
그냥 이 사람자체를 싫어하는 윗사람의 태도에
좀더 문제가 있다고 공감해 보면서
어찌됐건 계속 같이 있어야 한다면
그에 대응해야 한다는 부분에
촛점이 맞춰져 얘기를 풀어간다.
여기에의 해법이란
절대적으로 상대에게 맞춘 변신으로
달라딘 자신만의 색깔을 구사할 수 있어야 한다고 답해준다.
이는 상대가 옳아서도 아니고
자신이 비굴해서도 아니다.
그저 생존방식으로써의 자신을 위한
변신을 꾀하라는 뜻으로 말이다.
위의 두 이야기를 굳이 상반된다고 느낀 건
이끌어야 함으로써 생기는 자의 스트레스와
이끌려 져야해서 없어지는
다른 2개의 입장차의 스트레스 비교로도 느껴져서다.
당사자가 느끼는 더 깊은 사정이야 있겠지만
비슷한 듯 다른 둘의 스트레스는
분명 다수가 공감할 딜레마임은 분명하다.
저자가 내놓은 답에
완전히 공감하긴 어려울 것이란 생각도 있다.
예를 들자면,
누군가에게 잘먹고 건강해라,
좋은 친구와 인연을 만들어라,
능력을 갖춰라,
타인과 경계를 설정하라 등의
개괄적인 해법은 분명 존재가능할 상황들이지만,
이를 좀더 세분해서 들여다 볼 땐
행동으로 옮겨질 힘이 되거나
답이 되지 못할 수도 있으니 말이다.
잘먹고 건강하기 싫어서 안하는게 아니라
잘먹어야 하는데 경제력이 안 받쳐 준다면?
좋은 친구를 만들고 싶지만
혼자인게 훨씬 익숙해져버린 아웃사이더이고
그럼에도 그 사람자체는 충분히 좋은 인성의 소유자라면?
능력을 갖추기엔 연령대나 특정업무로만 굳어진
특기로 인해 역량향상의 의지만으로는
180도 변화가 어렵다면?
경계를 설정할 수 있는 권한이
본인이 아닌 상대에게 더 강하다면?
일부러 반박하기 위해 떠올려 본 건 아니고
책의 사연들을 읽으면서 순간순간
대비시켜 본 기억들을 정리해 본 것일 뿐이다.
부정적인 해석을 덧붙였다기 보다
다양한 변수들이 포진해 있을 경우와
좀더 문제해결에 포커스가
맞춰져야만 할 때를 상정해 봤다.
일, 직업, 자기계발의 3박자가
자구력 만으로는 안맞아 고민하는 사람들에겐
균형잡히고 포괄적인 시각까진 키워줄
정리된 조언처럼 받아들여질 수 있는 적당한 책일 수 있으니,
나름의 기지를 함께 발휘해 보면서
저자의 생각을 잘 따라가 봄으로써
본인과 대화하듯 읽어 나간다면
더 좋을 내용이라 말해주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