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는 착각 - 뇌는 어떻게 인간의 정체성을 발명하는가
그레고리 번스 지음, 홍우진 옮김 / 흐름출판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이 말하는 저마다의 실제 자기란 결국 '서사'다.

내가 써내려간 나라는 뜻...


참고로, 

잠깐 스키마가 용어로써 등장하기도 하는데

여기서 언급되는 스키마는 

스키마만을 다룬 책을 볼 때 알게되는 스키마와

다른 면으로 살펴봐야 할게 있는데

이것부터 얘기해 본다.

그 둘 사이 가장 다른 점은

이 책의 스키마가 상징하는 바는 '불변'이란 점에서다.

인생 초반 스냅샷을 찍듯 뇌에 저장된 내용들이 

스키마라 정의되고 있는데,

스키마만을 다룬 책에서는 이해 위주기는 하지만 

불가능의 영역으로 대하고 있진 않기 때문이다.

여기서, 둘 중 어느 쪽에 더

비중을 두거나 맞다고 해야 한다면,

활용 측면에서 입맛에 맞는 접근 보다는

연구의 영역에서 바라본 불가역적인 스키마 쪽 관점에 

좀더 귀를 기울여야 될 것이라 생각됐다.


결국, 불리한 작용을 하는 스키마는 

바꾸고 싶어도 바꿀 수 없는

비가역적인 요소.

인위적인 변형은 불가능하다는 것이 이 책 속 스키마다.

만일 이 책만으로 스키마를 접근한다면

스키마 치료에 관한 믿음엔 수정이 필요할 거다.


조금 이야기가 샜다.

스키마가 아닌 나를 정의짓는 서사에 관한 책인데.


책에서 가장 강조된 부분은 아니지만

서사로써 나를 받아들인다는 이론을 이해하는데,

2세 이전과 후의 기억에 관한 부분이

전체적인 내용면에서 중요한 포인트라 느껴졌다.


어느 책에서는,

누군가는 태어났을 때의 기억까지 있다거나

태아시절 뱃속에서의 기억마저

무의식적으로 작용한다는 말까지 하는 걸 봤는데,

이 책에서는 이런 설들에 관한 진위여부에 대해

매우 과학적인 판단 근거까지 제시해 준다고 보여진다.


결국 크게보면 발달심리학 측면에서의 접근인데,

에모리 대학교 심리학자 로빈 피버쉬가 행한 한 연구에서

유아기 시절 기억을 전혀 갖지 못한다는 

그동안의 설이 사실이 아님을 밝혔다는 결과를 얻었다.

하지만 이 연구는, 

앞서 말한 유아기 때나 태아 시절의 기억마저

간직할 수 있다는 그런 주장들을 뒷받침 할 수 있는

그런 단순 연구는 아니다.


오히려 이 부분에서 다루는 

기억에 관한 서술들을 연이어 읽노라면,

기억의 상당부분엔 맹점이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인간은 2살이 지나야 해마 시스템이 연결 되기에

높은 각성을 일으키는 일들은 어릴 때

뇌에 저장시키고 지속해가는게 불가능 하다.

4세 쯤 되어서야 

유년기에 일어나는 기억의 손실은 

비로서 줄어들 수 있는게 사람의 뇌.


그럼 이 다음부터의 연령에서는 

모든 기억이 온전하단 말인가?


아니다.


4살부터 10살까지 

기억을 위한 뇌의 시스템은 

더 갖춰지게 되는 것은 맞지만,

성인의 기억과 청소년기까지의 기억구조는 다르다.

성인이 되어 갈수록 

암호화 된듯한 견고한 저장장치 속 기억을 갖는데 반해

어릴 적 기억들은 결국 사멸해 가는 기억에 속하고

굳이 회상하려는 어릴 적 기억이 아니라면

결국 사라지고 만다는 것이다.


어릴 적 기억들은 사라지기도 하지만

그 정확도 면에서도 신빙성 또한 많이 잃어간다.

그렇기에 , 로빈 피버쉬가 행한 연구는

어릴 때도 기억을 저장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는 뜻이지

그 기억이 커서도 지속되는 계속될 기억이란 걸 

보증하는 걸 입증하려한 연구는 아닌 것이다.

많은 '아이'가 3세 이전을 기억할 수도 있고

이보다 더 어린 아이도 

기억이란 걸 할 수 있는 건 맞지만,

결국, 5.5세쯤 되면 

이때 초창기 시절의 기억 일부를 잃어버리기 시작해

결국 거의 기억할 수 없는게 인간이 뇌 구조라는 게

내겐 더 핵심처럼 다가왔다.


기억할 거는 계속 생겨나는 삶 속에서

아주 어릴 적 기억들은 점차 잊혀지는게 

본능적으로 당연하지 않을까.

고통이라 묻혀 졌다거나

각자의 기억력 차이가 아닌

그저 기억마저도 소멸되는 과정을 겪는다는 의미로써.


기억과 잊힘은 결국 한쌍이다.

이 한쌍을 능숙하게 받아들여 쓸 수 있게 만드는 건

본인의 삶을 서사적으로 프로그래밍 하기 시작하면서다.

그렇기에 인간이 가진 기억은 망각과 한쌍인 거고

이 둘을 써가면서 만들어 간 각자의 서사가 

그 틀 속에서 만들어 간 내 모습을 

최종적으로 나로 기억한다는 내용이라 보였다.


지금 바로 이순간 나는 내가 아니다.

바로 밀려나서 과거로 갔고

그걸 인정하고 있는 이순간도 이젠 과거다.

그렇게 잊혀지고 연결되는 현재,

그리고 바로 현재가 된 미래가 모두 서사로써 

'나' 자신이 되어가는 구조를 설명한다.


어렵고 난해할 수 있다고 생각하겠지만

내용 중에 이해 못 할 내용들은 없었다.

두리뭉실하게 철학으로만 설명하는 책들로

나를 이해해보기 보다는

이 책의 접근법으로 먼저 해 볼 것을 권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