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물리학자는 두뇌를 믿지 않는다 - 운, 재능, 그리고 한 가지 더 필요한 삶의 태도에 관한 이야기
브라이언 키팅 지음, 마크 에드워즈 그림, 이한음 옮김 / 다산초당 / 2024년 4월
평점 :
재미있고도 유익한 책을 읽었다. 물리학자가 등장하는 자기 계발서라니. 기발한 발상이 과학자답다. 지은이는 우주론을 연구하는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물리학 교수이자 과학자이다. ‘불가능 속으로(Into the Impossible - 이 책의 원서 제목과 같다)’라는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기도 한다. 그는 노벨상 수상자들을 인터뷰하여 그들에게서 얻은 인생의 지혜들을 모아 책을 썼다.
좋은 성적으로 일류학교에 들어가고 추천장을 받아 대학원에서 좋은 연구주제를 받고, 논문을 발표해 박사학위를 딴 후 연구원과 교수로 재직하며 노벨상을 따는, 저자가 말하는 ‘학계 헝거 게임’ (33쪽)을 통과한 이들은 어떤 삶의 지혜를 가지고 살아가고 있을까? 그들은 우리가 생각하는 비사회적이고 독특한 천재가 아니라 호기심을 가지고 함께 연구하는 이들을 잘 이끌며 좌절을 두려워하지 않고 새롭게 도전하는 사람들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그는 호기심을 아주 큰 비중으로 다루고 있다. 호기심이 일자리를 주지는 않을지 모르지만 외부에 의존하는 삶보다 덜 지치고 지속 가능하며, 앎 자체가 목적이라면 성공으로 인해 쉽게 들뜨거나 허무해하지 않고, 실패했다고 좌절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34쪽) 다른 이의 비판을 고통스러워하지 않고 자신의 오류를 발견하여 앞으로 나아갈 기회로 삼으라고 한다. (45쪽)
1979년 ‘소립자 사이의 약한 상호작용과 전자기 상호작용의 통합 이론에 기여한 공로’로 노벨물리학상을 받은 셸던 글래쇼는 어렸을 때 <놀라운 과학소설>이라는 잡지를 탐독했다고 한다. 과학소설이 과학자로 자라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셈이다. 아인슈타인도 어린 시절 과학소설에 푹 빠져 읽으며 사고실험을 하여 상대성이론의 영감을 받았다고 한다.(93쪽) 그는 소설과 과학의 차이를 증명이 되었느냐, 아니냐에 두고 있다. 증명되지 않은 소설은 앞으로 얼마든지 증명될 수 있다. 소설은 과학적 사고와 호기심을 일으키는 좋은 도구인 셈이다. 어린 시절 읽은 책이 미래에 미치는 영향이 분명 있을 것이다.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중에는 후학을 양성하는 일을 하는 이들이 많다. 저자는 가르치는 일이 가르치는 이에게 영감을 주고 능동적으로 생각하게 할 수 있다면 자기 영향력을 키우는 동시에 삶도 풍요로워진다고 하였다. 공부만 하는 것보다 가르치는 동안 더 많은 부분이 머리에 남으며, 그것이야말로 교사만이 느낄 수 있는 은밀한 보상이라고 하였다. (131쪽)
수상자들은 경쟁자들과 협력했다. 스티븐 호킹과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이자 옥스퍼드대학교 수학 명예교수인 로저 펜로즈는 생산적인 경쟁관계를 맺었다고 한다. 견해는 달랐으나 상대에게 배우기를 좋아하여 서로 지적으로 보완하고 자극하여 놀라운 발전을 이루었다. (144쪽) 자신이 주장하는 바와 의견이 다른 사람과 호의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저자는 자신이 하지 못하는 일을 하는 사람을 만났을 때 위축되거나 이기려 들지 말고 그들과 협력하고 도움을 받으라고 충고한다. ‘흑체 형태와 우주배경복사의 비등방성을 발견한 공로’로 노벨 물리학상을 받고 메릴랜드 대학교 물리학 교수로 재직하는 존 매더는 자존심을 내세우지 않고 다른 전문가들의 의견에 귀를 기울임으로 역사에 남을 발견을 이루었다고 저자는 말한다. (220쪽)
노벨 수상자를 비롯해 유명 과학자들이라고 모든 것을 다 아는 것은 아니다. 때로 이들은 가면증후군 증상을 겪는다. 자신의 성공을 운이라고 생각하고, 자신의 업적을 과대평가된 것으로 인식하며 자신을 과소평가한다. 이 또한 그들이 극복해야 할 일이다. 행운만으로 노벨상을 타는 사람은 없다. 그들은 미리 준비했고, 찾아온 행운을 잡은 것이다. 그들은 또한 수많은 갈등과 인내의 시간을 보냈다. (259쪽) 그것만으로도 박수받을 만한 일인 것이다.
* 목소리 리뷰
https://www.youtube.com/watch?v=zzj2zGmMcX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