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무 살, 도쿄
오쿠다 히데오 지음, 양윤옥 옮김 / 은행나무 / 2008년 5월
평점 :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스무살 도쿄 -오쿠다 히데오
- 청춘이 끝나고 인생이 시작되는 순간
재수를 위해 도쿄로 상경한 다무라 히사오의 10년 정도의 시간을 다룬 이야기를 읽으며 나의 20대 시절이 당연하게 떠오를 수밖에 없었다. 도시로 올라온 다무라의 모습에는 나의 20대 시절의 모습은 없다. 나는 서울에서 태어나 서울을 벗어난 적이 없는 서울 사람이었지만 나의 부모님들은 서울 사람들이 아니었다. 각각 다른 지역에서 태어난 두 분의 갈등 속에서 나는 도시에서 자랐고, 대학교도 서울에서 다녔다. 대학교에서 처음 맞는 여름 방학에 큰 당혹감은 친한 친구들이 두 명 빼고 모두 서울을 떠났다는 것이다. 방학이 되면 같이 여행도 가고 스터디도 하며, 더 많은 음주가무를 즐길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던 친구들이 집으로 내려갔기 때문이다. 동아리 활동을 너무 극심하게 했기 때문에 고향으로 내려간 친구들의 빈자리를 많이 느끼지는 못했지만 허전했던 것은 사실이었다. 내가 살고 있었던 곳에서 떠나서 살아보고 싶은 생각을 늘 하고 있었던 것은 어쩌면 방학이 되면 기다렸다는 듯 미련 없이 자취방을 떠났던 친구들의 어질러진 집안을 보았을 때 였을까.
만약, 내가 다시 스무 살이 되어 도시로 올라간다면 어떤 것을 가지고 올라갔을까. 음악을 사랑했던 청년 다무라는 사랑하는 음악이 담긴 레코드 100여장을 짐에 넣어 올라왔다. 공부해서 대학에 들어가겠다는 녀석이 레코드 100장을 올라갔다는 것에 실소가 터졌다. 집안의 간섭과 갑갑한 고장의 생활에서 벗어나고 싶었던 그가 할 수 있는 것은 도쿄에서 대학생이 되는 것이었고 그것을 핑계 삼아 떠날 수 있었다.
자신의 자서전같이 써 내려간 오쿠다 히데오의 [스무 살, 도쿄]속 다무라는 1980년대에서 일어났던 사건들과 그의 청춘을 녹였다. 실패해도 괜찮다고 토닥여줄 수 있는 청춘이라는 푸른 이름으로 지내는 동안 그가 사랑했던 존 레논이 떠났고, 나고야가 아닌 서울 올림픽이 열렸다. 레코드 백여 장을 들고 도쿄로 상경한 다무라가 대학에 들어 갈 수 있을까 의문이 들었지만 그는 대학에 들어갔고, 우연치 않는 말실수로 자신을 좋아했던 여자를 알게 되며 청춘에 걸맞은 첫사랑이 왔다가 지나갔다.
무엇이든 할 수 있었던 다무라는 아버지의 사업 실패로 대학을 중퇴하게 되었다. 동기들보다 늦게 들어갔던 대학이지만 사회생활은 더 빨리 시작하게 되었다. 한때는 신이나서 열심히 있했던 곳에서 다무라는 이름도 날리며 잘나가는 직장인이 되었다. 나이를 먹으면서 어머니의 당부로 선도 보게 되지만 레코드 백여 장을 들고 도쿄에 올라왔을 때의 설렘은 이제 사라진지 오래라 모든 것이 시큰둥하게 변해갔다. 그렇게, 어른이 되어가는 것일까.
서른을 앞둔 그해,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고 다무라는 이런 이야기를 나눴다.
< 군중이 장벽을 기어올랐다. 양손을 높직이 하늘로 쳐들고 있었다. 불꽃이 올라갔다. 환성이 메아리쳤다.
“동서냉전도 끝났군.” 오구라가 불쑥 말했다.
“좋은 일 아니냐?”라는 미와. “세계는 바야흐로 물이 오른 거야. 이게 시작이지.”
“우리도 그렇다면 좋을 텐데.” 히사오가 취기 오른 머리로 말했다.
“청춘은 끝나고 인생이 시작된다, 라는 거지.”
누가 한 말인가 했더니 모리시타였다. 녀석. 시건방진 소리를 다 한다.
하지만 비웃어줄 생각은 없었다. 녀석이 꽤 괜찮은 얼굴을 하고 있었던 것이다.
서른이 된 사내의 얼굴이었다.
화면에서는 군중이 환희의 퍼레이드를 거듭하였다.
청춘의 끝을 맞이한 사내들은 그 모습을 오래도록 지켜보고 있었다. > P 385~386
1989년이 끝나고 이제 1990년을 앞둔 청춘이 끝이 나고 인생이 시작된 그들은 지금, 어떤 인생을 살고 있을까. 청춘이 끝나고 인생이 시작된다는 모리시타의 말에 밑줄을 쫙 그으면서 나의 시간을 떠 올려본다. 오래전 청춘이 끝이 나고 인생이 시작된 것이 분명한데 왜 아직도 청춘이 끝이 나지 않아 보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