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하일기, 웃음과 역설의 유쾌한 시공간 - 개정신판
고미숙 지음 / 북드라망 / 2013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상성이라는 것이 있긴한가 보다. 고미숙이라는 이름이 그렇게 저평가받을 이름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나에게는 썩 내키지 않는 이름이다. 고전에 대한 해설과 평가를 기록해 놓은 책들은 특히 더하다. 임꺽정을 읽으면서 나랑 안맞구나는 생각을 했는데 이 책을 읽으면서는 확실해졌다.


  "고미숙과 나는 안맞는다."


  우리나라 학사 과정을 정상적으로 졸업한 사람들이라면(여기서 말하는 정상적이라는 것은 의무 교육을 말한다.) 대체로 한번씩은 이름을 들어봤음직한 것이 열하일기다. 한국사에 대해서 배우면서 정조 시대에 박지원이 어쩌구 저쩌구, 북학파가 어쩌구 저쩌구, 이용후생, 실사구시가 어쩌구 저쩌구 하면서 꼭 언급되는 책이 박지원의 열하일기이다. 그만큼 유명한 책인데 문제는 이 책이 철저하게 고전의 대우를 받고 있다는 것이다. 농반 진반으로 고전의 특징이란 모두들 제목은 알고, 그 안에 어떤 내용이 기록되어 있는지는 아는데 읽어본 사람이 극히 드물다는 것이다. 물론 나도 안 읽어본 많은 사람 가운데 한 사람이다. 호질, 허생전, 양반전 같은 내용들이야 대입 준비하면서 읽어보기는 했지만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다 읽어본 일은 없다는 말이다. 하긴 많은 학생들이 호질과 허생전과 양반전이 열하일기에 수록되어 있는 글이라는 것을 모를 것이니 이 사실을 알고 있는 나는 비교적 낫다고 자부해도 되겠지만...


  고미숙은 자신이 박지원의 열하일기는 만난 것이 클리나멘이었다고 말한다. 박지원의 해학에 대해서, 좋은 출신 성분에도 불구하고 세상을 마이너로 살아가면서 노마드적인 삶을 살았다는 것에 대해서, 그리고 왕성한 지식 욕에 대해서,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에 대해서 끝없는 상찬을 늘어 놓는다. 특히 들뢰즈와 가타리의 용어가 심심치 않게 등장한다. 메이저가 아닌 마이너가 되어 자신이 살아가서 시대를 바라보던 박지원의 삶을 표현하기에 들뢰즈와 가타리의 개념만큼 훌륭한 것들은 없겠지만, 내가 고미숙과 부딪히는 지점이 바로 이 부분이다. 역시 배운 사람이구나라는 생각이 드는 순간 책에 집중을 하기 어렵다. 끊임없이 쏟아져 나오는 들뢰즈와 가타리의 이야기들, 인문학 용어들이 책에 집중하기 어렵게 만들며 박지원의 해학을 박제로 만들어 버렸다.


  요즘 아재개그가 유행이다. 아재개그의 특징은 유치하지만 직관적이라는 데 있다. 한번 더 꼬아서 생각하고 웃게 만드는 아재 개그는 실패다. 유치해도 직관적이어야 듣는 순간 빵 터진다. 박지원의 해학도 그렇다. 일단 듣는 순간 웃는다. 한참 웃고 난 다음에 무엇인가 생각을 해보게 된다. 호질, 양반전, 허생전이 그렇다. 그런데 이 작품들을 밑줄 긋고, 이 부분이 웃기고, 이 부분은 당시 상황이 이렇고 해설하고 분석하면 재미가 없다. 수험생들이 호질, 양반전, 허생전을 보고 웃지 않고 생사의 대적을 눈 앞에 둔 것처럼 심각한 이유도 이런 것이 아닐까?


  일단 읽기 시작했기 때문에 마지막까지는 읽었다. 여러가지 생각할 만한 이야기들도 많다. 고미숙은 역시 내공이 장난이 아니다. 다만 아쉬운 것은, 말이 너무 어렵다는 것, 그리고 박지원의 글이 웃기다는 것을 분석했다는 것이다. 이 책을 덮으면서 강렬하게 드는 생각은, "젠장! 열하일기를 읽어야겠군."이다. 원전을 읽지 않고는 박지원이 얼마나 웃긴 사람인지 도무지 모르겠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16-11-10 14: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세인트님의 리뷰를 오랜만에 봅니다. 저도 열하일기 완독을 달성하지 못했습니다. 올재 클래식스 시리즈로 나온 열하일기를 가지고 있는데, 읽어야겠다는 생각만 하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