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폰, 잔폰, 짬뽕>을 읽고 리뷰해주세요.
-
-
차폰 잔폰 짬뽕 - 동아시아 음식 문화의 역사와 현재
주영하 지음 / 사계절 / 2009년 10월
평점 :
절판
한중일의 음식이 어떤 재료로 어떻게 소비되고 있는지 알고 싶다면 이 책을 읽지 마라. 분명히 말하지만, 이 책에서 VJ 특공대식의 음식문화 기행을 원한다면 실망하게 될 것이다. 이 책은 이런 음식이 있다는 것을 설명하는 것이 주목적이 아니라 한중일 삼국의 음식들이 어떻게 영향을 주고받았는지, 그리고 오늘날 각국의 음식들은 어떤 과정을 밟아가면서 변화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들의 미래는 어떻게 되어야 하는지에 대하여 분석하는 인문학 책이다. 내용이 묵직하지만 소재가 너무 친숙한 것이라 가볍게 느껴질 뿐이다.
중국집에서 식사를 하기로 결정하고 메뉴를 정하다보면 항상 갈등하는 것이 있다. 짜장면이냐, 짱뽕이냐는 것이다. 짜장면(표준어는 자장면이라고 되어 있지만 그 이유 자체가 골때리기 때문에 별로 인정하고 싶지 않다. 게다가 말도 짜장면이라는 것이 더 입에 붙어서 일부러 짜장면이라고 쓴다.)을 선택하자니 얼큰한 국문에 쫄깃한 면발로 유혹하는 짬뽕이 울고, 짬뽕을 선택하자니 기름지 좔좔 흐르는 검윤 윤기의 짜장면을 거절할 수 없다. 이런 생각을 하는 것이 나만이 아니었던지, 인자하신 중국집 사장님은 짬짜면이라는 획기적인 음식을 내놓았지만 여전히 짜장면과 짬뽕 사이에서 갈등아닌 갈등을 하게 된다.
누구나 살면서 수없이 하게 되는 갈등인데, 짜장면과 짬뽕이라는 이름에, 특히 짬뽕이라는 이름에 한중일 3국의 문화 현상이 담겨 있다는 것은 이 책을 읽기 전까지는 잘 몰랐던 사실이다. 중국에서는 차폰이라고 불리던 것이, 일본에 유행하면서 잔폰으로 불리게 되고, 이것이 한국에 수입되면서 짬뽕으로 불리게 되었다는 사실 한가지만으로도 신기한데 저자는 여기에서부터 출발하여 한국과 중국, 그리고 일본이 서로 영향력을 주고 받으면서 문화를 발전시켜왔음을 설명한다. 한류와 더불어 일본에서 유행하는 김치 붐, 전주비빔밥의 유명세, 일본식 매운맛, 중국식 매운맛, 한국식 매운맛이 복잡하게 얽혀서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며 변화하고 있는 음식문화의 변화는 비단 음식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각국의 경제, 문화, 더 나아가 민족성에게까지 영향을 주고 있다.
이렇게 경계를 넘나드는 음식문화는 드디어 민족주의, 국가주의에 포섭되어 선별과 도태의 과정을 겪게 된다. 지금까지 중국에 55개만 존재한다고 생각했던 소수민족이 사실은 수백개가 넘는다는 사실, 그리고 그들을 통치하기 쉽게 인위적으로 55개의 소수민족으로 중국당국이 묶었다는 사실, 그 결과 각 민족들은 고유의 문화를 잃어가게 되었고, 남아 있는 소수민족들의 문화도 결국은 관광상품화하여 소비의 대상으로 전락해 버리고 말았다는 것을 저자는 분명히 지적한다.
한국에서도 비슷하세 제주도의 향토 음식이 사라져 버리고, 어디에 가나 똑같이 볼 수 있는 횟집이 제주도의 해변을 점령하고 있으며, 그 결과 사라져버린 제주도의 문화와 교란된 생태계를, 일본에서는 사쓰마 번에 의한 아마미 군도의 수탈과 이 과정에서 망가져버린 아마미의 문화를 이야기한다. 음식문화가 사라져 버린다는 것은 단순히 음식 하나가 사라져 버리는 것이 아니라 그 음식을 만들어 먹던 문화가 주변부로 밀려나 소멸하게 되는 것이며, 일부 살아남은 것들은 껍데기는 있지만 의미는 사라져버리고 관광 상품이라는 소비의 대상이 되어 버린다.
서로 영향을 주고받던 삼국의 음식 문화, 그리고 주변부로 밀려나 도태되고 소비의 대상이 되어버린 소수민족의 문화와 향토문화의 예를 살펴보면서 한국 문화가 지향해야 하는 것이 무엇인지 설명한다. 그 대안으로 아야초의 로컬푸드 시스템을 제안하면서 한국도 앞으로는 먹거리의 안정과 자급율을 높이는 방향으로 농업정책을 진행해야 한다는 진단을 내린다.
이 책의 결론은 음식도 결국 문화라는 것이다. 문화는 다양성이 생명이다. 만약 문화라는 것을 도식화하고, 범주화하고, 우열을 가린다면 필경 낮은 문화로 평가받은 문화는 주변부로 밀려날 수밖에 없다. 그런데 과연 그 문화가 진정으로 급이 낮은 문화인가? 아니다. 급이 낮은 문화란 존재하지 않는다. 모든 문화는 각자가 처한 환경에 가장 잘 적응한 형태로 변화해왔고, 변화해 나가고 있다. 다만 그 문화권에 속하는 사람들이 강자이냐, 약자이냐는 것이 문제가 될 뿐이다. 만약 그 문화권에 속한 자들이 강자라면 그 문화는 다른 문화에 비하여 살아남을 확률이 크다. 결론은 힘을 가진 이들이 타인의 문화에 대하여 어떠한 태도를 취하느냐가 중요하다는 말이다.
한국에서 농업을 바라보는 모습은 어떠한가? 말로만 농자천하지대본이다. 말로만 신토불이이다. 이미 중국산 농산물이 시장을 점령하고 있으며, 판로가 막힌 농부들은 쌀과 채소를 그대로 갈아업는다. 서민들은 치솟는 식료품 값을 보면서 농부들이 배가 불러서 밭을 갈아업는다고 생각한다. 정치인들은 식량의 위기라는 말로 외국에서 농산물은 물론 육류까지 수입하고 있다. FTA는 자동차를 팔기 위하여 농업을 내어주는 빅딜을 성사시켰다. 이제 한국의 식문화는 어디로 가는가? 30년 후에도 우리 자식들은 쌀밥과 김치를 먹고 있을 것인가?
멜라민 파동, 불량 색소 첨가물, 가짜 달걀, 폐지 만두. 도대체가 안심하고 먹을 먹거리가 없다. 그런데도 우리는 여전히 식량을 외국에서 수입하고 있다. 날이갈수록 농촌의 인구는 고령화되어 가고 있다. 30년후면 농촌은 아마 자연스럽게 소멸하게 될지도 모른다. 그럼에도 농협은 농민으로부터 이익을 취하기 위하여 혈안이 되어 있으며, 정부는 농지를 공업용지로 바꾸려고 노력한다. 요즘은 물길을 정비한다고 수조원의 돈을 쓰겠다고 하면서도 농가부채는 나몰라라 한다. 30년 후 한국의 식문화는 어떤 모습으로 변해 있을까? 확실한 것은 이대로는 안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