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비주의의 위대한 선각자들>을 리뷰해주세요.
-
-
신비주의의 위대한 선각자들 - 비밀스러운 종교의 역사
에두아르 쉬레 지음, 진형준 옮김 / 사문난적 / 2009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신비주의에 대해 무엇인가 밝혀줄 것이라는 기대감으로 책을 열었다. 거기에데가 출판사 이름이 사문난적이라. 저자는 프랑스의 유명한 철학자요, 1차대전 당시 많은 사람들이 전쟁터에서 읽었다는 책의 소개는 내 궁금증과 기대감을 증폭시켰다. 라마, 크리슈나, 헤르메스, 모세, 오르페우스, 피타고라스, 플라톤, 예수라는 챕터의 주인공들 또한 심상치가 않았다. 무엇인가 있는 책이라는 느낌이 그냥 팍팍 왔다.
그러나 500페이지라는 방대한 분량을 넘기면서 피식거리는 웃음과 실소가 그치지 않았다. 신비주의의 위대한 선각자들이라는 거창한 제목에 비하여 내용은 종교진화론에 입각한 환타지 소설일 뿐이었다. 아리안족에게서 부터 시작된 종교가 인도를 거쳐 이집트를 중심으로, 그리스와 메소포타미아 지역까지 아우른다는 생각은 도대체 어디에서 연유한 것인지 궁금하다. 태양의 아들들과 달의 아들들, 그리고 다신교와 일신교를 종교를 구분한 다음 둘 사이의 전쟁으로 인류의 역사를 정의한 것도 재미있다. 거기에다가 예수를 가장 진화한 단계의 선각자로 이해하는 것도 흥미롭다. 아마도 유럽 사람이기 때문에 이렇게 생각했겠지만. 이렇게 재미있는 환타지 소설은 한단고기 이후로 처음인 것 같다.
모르겠다. 많은 사람들이 좋았다고, 신비주의의 핵심을 알게 되어서 좋았다고 서평을 기록했는데 왜 나는 그렇게 흥미가 가지 않았는지. 읽으면서도 계속 시간이 아깝다는 생각을 했다. 마지막은 그래도 뭐가 있겠지, 이렇게 끝나지 않겠지라는 기대는 정말 기대였을 뿐이다.
신비주의가 인간의 존재에서부터 출발한다는 말에는 동의한다. 인간의 약함, 존재의 유한함, 상황의 불확실함에서부터 신비주의가 태동했다는 말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그렇지만 신비주의가 고작 남에게 알리지 않고 자기들끼리 돌려먹는 것이라면, 클럽제로 운영되는 것이라면 차라리 없는 것이 낫지 않을까? 라틴어 불가타 성경의 권위에 기대어 신도들을 농락했던 중세의 사제들과 다를 바가 무엇이겠는가?
또한 통과 제의라는 것을 통해 얻는 것 자체가 너무 유치하다. 죽음이라는 깊은 체험을 통해서 결국 얻게 되는 것, 배우게 되는 것이 강신술이고, 접신술이고, 마술이라면 너무 유치하지 않은가? 작두타고, 굿하고, 자신을 잃고 황홀경에 빠지는 것, 이것만이 신비주의의 전부인가?
게다가 위대한 정신이라고 부르는 초월자의 모습은 무엇인가? 각자 신의 이름을 부르는 것보다 더 추상적인 개념이 되어 전혀 느낌이 다가오지 않는다. 저자가 역시 철학자라는 말장난 잘하는 사람이라는 편견이 들 뿐이다.
마지막으로 일신교를 하나로 묶어 버리는 시도 또한 무모했다. 신비주의라는 틀에서 그리스 철학과, 종교, 유태교, 기독교, 힌두교, 라마교 등등 세상의 모든 종교를 섞어 버리는 이건 죽도 밥도 아닌 것이 되어 버렸다. 종교간의 배타적이고 공격적인 모습을 없애고자 각 종교의 특성을 없애버린 것은 빈대잡으려고 초가삼간 태운 격이 아니겠는가? 게다가 예수를 최종 진화형의 선각자로 그리다보니 이슬람이라는 거대 종교가 빠져버린 우를 범하게 되었다. 이슬람에는 마치 신비주의가 없는 것처럼 느껴진달까?
신비주의를 너무 마술적인 것으로 몰아간 것도, 그리고 너무 철학적이고, 관념적인 것으로 몰아간 것도 이 책을 재미없게 만든 이유가 아니겠는가? 시간이 아깝다는 생각이 정말 크게 들었던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