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위의 작업실>을 리뷰해주세요
지구 위의 작업실
김갑수 지음, 김상민 그림, 김선규 사진 / 푸른숲 / 200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단 이 책은 내 취향이 아니다. 서평단 도서가 아니었다면 절대로 사지도 읽지도 않았을 책이다. 겉멋이 들어서인지 일상의 소소한 이야기들을 기록한 에세이나 신변잡기를 그다지 좋아하지 않는 까닭이다. 오죽하면 법정 스님의 무소유 외에는 읽어본 에시이 집이 손에 꼽을 정도가 되겠는가? 그런 이유로 의무감을 가지고 책을 읽기시작했다. 간간이 보이는 사진들, 책의 넓은 공백이 있었다면 무척이나 힘든 작업이었을 것이다.  

  그런데 어느 순간 내가 이 책에 빠져들기 시작했다. 커피 때문이다. 차를 즐겨마시던 나이지만 군 전역 후, 그리고 아이들이 태어난 후 차를 마실만한 시간적인 여유를 갖지 못했기 때문에 커피를 달고 살기 시작했다. 접근이 용이한 스타벅스에 가서 원두를 사오고, 일렉트로럭스 커피 메이커를 책상에 올려 놓고 매일 커피를 내린다. 가지고 있던 전동 그라인더는 리콜 제품인지라 반품시켜 버렸고, 결국은 매일 스타벅스 매장에 신세를 지고 있다. 스타벅스 커피를 마시는 이유는 간단하다. 자주, 그리고 소량의 커피를 스타벅스 제품에 한해서 갈아준다는 것이다. 그라인더가 없는 나에게는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일주일에서 이주일치 분량만 갈아서 보관했다가 그것이 다 떨어지면 다시 가서 갈아오는 것이 나에게 주어진 상황 가운데 가장 신선한 커피를 마시는 방법이다. 언젠가는 더치커피를 마시겠다는 일념으로 자주 워터드롭을 인터넷으로 찾아본다. 아직 돈이 없어서 쳐다만 보고 있다.(나는 솔로가 아니다.) 또한 에스프레소 머신에도 혹해 있다. 그러나 역시 워터드롭과 같은 이유로 침만 삼키고 있을 뿐이다. 이런 처지의 나에게 저자의 커피머신과 바는 꿈에 그리던 물품들이니 내가 책에 빠져드는 것이야 당연한 이야기가 아니겠는가? 침을 꼴깍 삼키면서 책을 보노라면 자연스럽게 풍겨오는 커피 향기에 취해 나도 모르게 몸 안에 카페인을 충전하곤 한다. 언젠가는 나도 워터드롭과 에스프레소 머신을 장만하고 말리라는 다짐과 함께. 

  오디오 편을 보고 있노라면 당최 무슨 말인지 못알아 먹겠더라. 그래서 다시 책임감 모드로 돌입했다. 그러다 "내 이름은 톤팔이, 실은 나 불안하다."라는 제목에서 눈이 멈췄다. 그리고 한동안 멍하니 바라보았다. 그렇다. 저자가 작업실이라는 동굴을 마련한 이유도, 오디오와 판에 미친 이유도, 커피에 꼭지가 돈 이유도, 내가 이 책에 빠져들게 된 이유도 다 여기에 있었던 것이다. 실은 불안했던 것이다. 내 삶이 불안하고, 미래가 불안하고, 지금 내가 하는 일이 불안했던 것이다. 매일의 일상이 줄타기이다. 사람들이 내 뜻대로 안된다. 힘들다는 이야기만 하면서 내 자신감과 자존심과 자존감은 애초에 무너졌고, 그저 악으로만 버티는 지금 내가 느끼는 감정은 불안이다. 남아야 하는가, 옮겨야 하는가라는 선택의 기로에서 어떤 선택을 해도 불안했던 것이다.  

  한 집안의 가장이 되었다. 아내가 있고, 연년생인 두 아이가 있지다. 그들을 정말 사랑하지만 때론 혼자만의 시간이 한없이 그리울 때가 있다. 다른 사람을 만나고 싶어서도 아니다. 그냥 나혼자 뒹굴거리다가 책이나 잔득 읽다가, 그것도 아니면 문명이나 삼국지 같은 게임을 하면서 천하통일이라는 목표를 달성한 순간 의기양양해 하는 그런 유치한 삶을 누려보고 싶어서이기 때문이다. 아내오 아이가 불편해서가 아니라 그냥 그러고 싶을 때가 1년에 한두번은 있다는 것이다. 나만의 공간과 시간 속에서 정신줄을 놓고 싶다는 말이다. 이런 면에서 김갑수씨가 부럽다. 작업실에서 말 그래도 산수갑산 세월아 네월아 하면서 자신만의 시간과 공간을 점하고 있는 갑수씨가 부럽다.  물론 그의 커피머신이 한없이 부럽다. 이게 욕심인가? 

  오덕후의 기질로 불안을 달래고 그 불안을 안고 살아가는 그의 모습이 한없이 부럽다. 내게 이런 것이 무엇일까? 나에게 작업실은 어떤 것일까? 불안을 달래고, 그 불안 안으로 들어가서 불안과 함게 살아갈 수 있게 만드는 약간은 건설적인 오턱후질이 무엇일까? 현재로서는 책이 아닐까? 아직 읽을 책이 많이 남아 있음에도 불구하고 필이 꽂히는 책이라면 일단 지르고 보는, 그리고 꽂아 놓고 언젠가는 보리라 다짐하면서 혼자 흐뭇해 하는 책질이 나에게는 작업실이 아닐까? (물론 이런 짓때문에 1년에 50~60권 정도의 책은 읽지만) 

  오디오질이나 커피질을 좋아하는 사람, 오덕후질로 불안해 하는 사람들에게 한번은 권해 주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