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거란 잊혀진 유목제국 이야기
쳉후이 지음, 권소연 외 옮김 / 네오 / 2018년 6월
평점 :
품절
거란이라는 이름은 그저 역사책에서만 접했던 이름이다. 고려사를 배울 때 잠시 요나라라는 이름이 지나갈 뿐이지 그렇게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다. 서희의 외교, 강감찬의 귀주대첩이라는 역사적인 사건이 없었다면, 그리고 그것들이 시험에 자주 출제되는 것들이 아니었다면 절대로 관심 갖지 않았을 민족 가운데 하나가 거란이다. 몽골이나 청처럼 중국의 전역을 차지하고 통치해본 역사가 없기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바이킹, 거란 모두 지금은 많이 잊혀진 민족들인데 어느날 갑자기 알라딘에 "거란 잊혀진 유목 제국 이야기"라는 책 제목이 떠서 "오호~"라는 탄성과 함께 관심을 갖다가 어느날 읽기 시작했다. 그런데 정말로 책이 거시기 하다. 내용의 깊이가 없는 것은 물론이고, 동네에서 연애 편지 좀 쓴다는 사람들이 써도 이보다 잘 쓸것 같다는 생각을 해본다. 왜 가끔 내가 써도 이보다 잘쓰겠다라는 생각이 드는 책들을 만날 때가 있지 않은가? 감히 말하지만 난 이 책이 그런 책이라고 판단한다. 이 책에 대한 리뷰를 살펴봐도 딱 한편 나오는데 그 한편을 작성한 분의 이야기도 나와 대동소이하다. 정말로 책을 20페이지만 읽어보면 왜 그런 평가를 내리는지 분명히 알게 될 것이다.
내 생각에는 아마도 이 책은 거란의 유적에 대해서 연구하는 대학원 생이나 박사 과정에 있는 어느 사람이 기록한 것이 아닐까 한다. 그도 아니면 거란 관련 박물관과 유적지를 관리하면서 심심풀이 삼아 만든 안내책자 정도되지 않겠는가? 도대체 저자가 어떤 사람인지도 모르겠고, 찾아봐도 그가 기록한 책은 딱 이거 한권 나온다. 아니나 다를까 책 소개를 보면 2013년 중국 CCTV-10에서 탐색과 발현 시리즈 중에서 거란 왕조에 대한 대본을 모아서 편집한 것이라고 한다. 텔레비전을 통해서 방영되었던 내용들을 편집했다고 하니 호흡이 길지 못하고 걑은 것은 당연할 것이다. 게다가 책을 편집한 사람도 실력이 영 달리는 것 같기는 하다. 방송을 책으로 편집해도 실력이 있는 사람들이 붙으면 방송과 책은 전혀 별개의 물건이 되기 때문이다. 그 한 예로 누들로드를 뽑을 수 있다.
그런데 묘하게도 번역자가 3사람인다. "권소연, 안병우, 이민기" 이렇게 세 사람인데 어떤 사람인가 검색해봤다. 권소연이 가장 앞에 있는 것을 보니 그가 주 번역자인 것 같다. 그런데 안병우와 이민기는 누구인가? 안병우는 명예교수라고 하는 것을 보니 가장 나이가 많은 사람으로 보이며 고구려연구 재단에서 활동했던 것으로 보인다. 권소연이라는 번역자도 여기에서 활동했던 것으로 보이고, 이민우라는 번역자는 2013년에 석사 논문을 한신대에서 썼으니 권소연의 제자 정도 되지 않을까? 셋 다 한신대라는 연결고리를 가지고 있는데 이를 판단해 보자면 권소연과 이민기가 번역하고, 안병우가 숟가락을 얹은 것은 아닐까라는 의심을 해본다. 어쩌면 이민우가 거의 번역을 하고 둘이 숟가락을 얹은 것일 수도. 이것도 아니면 숙제로 냈던 것을 모아서 편집한 것일 수도 있겠지. 내가 너무 의심을 하는 것인가? 혹시 명예 훼손이라고 소송이 들어올 수도 있으니 이건다 거짓말이다. 어디까지나 소설이다.(심지어는 안병우와 이민우라는 번역자는 고려사 전공이다. 그것도 한 사람은 고려전기의 재정구조에 대한 논문을 썼고, 다른 한 사람은 고려전기 노부의 운용과 의미라는 논문을 썼다. 오직 권소연 한 사람만 중국의 역사 교육에 대해서 전공했을 뿐이다. 그것도 역사에 대한 전공이 아니라 역사 교육에 대한 전공이다. 물론 그 전공을 해야 번역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아니지만 껄쩍지근함을 털어버리기는 어렵다.
내용도 거칠다. 문체도 보기 쉽지 않고. 대안이 있으면 절대로 보지 않았을 책인데 거란에 관련한 책은 정말 이거 하나 뿐이다. 그러니 울며 겨자먹기로 봤는데 김용 선생의 영웅문 1부를 보는 것이 훨씬 재미있을 뻔했다. 이 책이 거란이라는 이름을 달고 버젓이 팔리고 있는 것, 그리고 어떤 사람들에게 좋은 평가를 받는 것은 거란이 잊혀진 민족이라는 명확한 증거라고 하겠다. 난 아무리 좋게 봐줘도 별점 2개를 줄수 있을 뿐이다. 그것도 책을 샀기 때문에 그 돈이 아까워서 긑까지 읽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