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 18일은 김탁환 작가의 독자와의 만남이 있었다.

 

그는 어쩌면 사진 보다 더 백발에 가깝고 훨씬 더 부드러운 인상을 가졌는지도 모르겠다. 아니 어쩌면 그 부드러운 인상은 차라리 어눌함에 가깝다고 해야할까? 아무튼 그만큼 그는 선하고 순수한 모습을 하고 있었다.

 

약속 시간에 맞춰 그가 나온다는 B 카페를 허겁지겁 들어서고 보니 입구에서부터 그를 알아 볼 수 있었다. 애써 못 본 척하고 적당한 자리에 앉았지만  그를 만나 보길 나는 또 얼마나 기대했던가? 

 

그는 이번에 조선시대 조운선 침몰 사건을 다룬 <목격자들>을 내고 민음사 주관으로 독자와의 만남을 가졌다.

 

인터뷰 형식으로 진행된 시작은 작품을 끝내고 난 그의 근황을 듣는데서부터 시작됐다. 아니나 다를까, 예상대로 그는 이렇게 독자를 만나는 스케줄을 계속하고 있었다(모르긴 해도 이날이 책을 낸 후 첫 스케줄은 아니었을까 싶기도 하다). 이번엔 지방 독자들을 위해 이런 강연회를 몇 차례 더 가질 것이고, 특별히 도서관 강연을 많이 가질 거라고 했다. 

 

언젠가 그는 자신을 단순히 소설가라고 하지 않고 집필 노동자라고 했던 것 같은데 그에 걸맞게 그는 작품을 마치면 곧 바로 그 다음 날 새로운 집필을 시작한다고 한다. 그런데 어찌된 일인지 이번엔 그러질 못했다고 했다. 그리고 쓰는 내내 몸이 젖어 있었다고. 그도 그럴 것이 나는 이 책이 처음 나왔을 때 조운선 침몰 사건에서 세월호를 생각해 냈는데, 정말 그는 세월호를 생각하고 조운선 침몰 사건을 썼다고 한다.   

 

실제로 그는 세월호 사건이 일어났을 때 한 달 반 정도 작업을 작파했었다고 한다. 집필 노동자를 자처한 그가 한 달 반을 글을 못 썼다는 건 그 사건이 꽤 충격적이긴 했었나 보다. 그래서 일까? 작가가 직접 읽어주는 낭독 시간을 가졌는데  2권 378쪽을 읽어 주었다. 그것은 조운선에서 타고 있다 운명을 달리한 사람들의 이름을 써 놓은 장이었는데 특별히 '제탁'이란 이름이 나온다. 그 이름은 다름아닌 작가 김탁환의 족보 이름이라고 한다. 그리고 그는 그렇게 자신의 이름을 끼워 넣은 것에 만족해 하고 있었다. 그것은 그렇게하므로 세월호 희생자들에 대한 미안함을 대신하고 싶었던 작가의 자의적 행동이기도 했다.

 

그런데 그는 오래 전부터 조선을 소재로 한 소설들을 써 오고 있는데 이 책 <목격자들>이 30, 31번째 소설이고, 그는 필생의 작업으로 이것을 60권까지 쓰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 벌써 반환점을 돈 셈이다. 마치 발자크의 <인간희극>처럼 말이다(이것에 관해서는 jpsartre.egloos.com/853064.을 찾아 보면 될 것 같다.) 그리고 보면 작가들 저마다 필생의 작업이란 게 있나 보다. 고은도 <만인보>를 아직도 쓰고 있다고 하지 않는가?

 

그렇다면 그는 왜 조선을 쓰는 것일까? 대답은 의외로 간단했다. 고려시대는 너무나 먼 과거여서 육체가 없다고 한다. 그래서 상상으로 써야하는 반면 조선시대는 파헤치고 연구하 보면 뚜렷한 뭔가가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이 <목격자들> 그의 많은 백탑파 시리즈 중 하나인 셈인데 알다시피 '백탑파'란 학문적으로는 연암파로, 원각사지십층석탑에서 당대 지식인들이 랜드마크 삼아 모이고 발전해 갔던 학파다. 그것을 작가 특유의 안목으로 파헤치고 소설로 형상화한다는 건 확실히 꽤 의미있는 일이 될 것이다.

 

특별히 이 책은 홍대용이 주인공으로 나오는데 작가의 말에 의하면 그는 우리로 말하면 신대철급 거문고 연주가라고 한다. 하지만 그는 단순히 연주가에서 머물지 않고 악기를 만들기도 하며 망원경을 만들기도 했고, 수학자이기도 했단다. 그는 유학자로 시작해서 묵가로 갔던 급진적 사상가였다고.

 

하지만 그런 작가도 한동안 백탑파를 쓰지 않았던 때도 있었다. 그리고 다시 돌아왔다. 왜 그랬던 것일까? 그는 한때 추리소설에 대한 회의 즉, 지나친 낭만주의와 사필귀정이란 독자들이 예측 가능한 소설을 쓰는 것에 회의를 느꼈다고 한다.  그는 또한 작가들이 잘 도전하지 않는 장편을 쓰는 것으로 유명한데 그는 장편을 쓸 때 보통 세 가지 질문을 한다고 한다. 첫째로, 순식간에 없어짐 또는 어떤 타락이나 부패를 통해 생명의 존귀함을. 두번째로 인간 존엄의 문제를. 세번째로 구경꾼과 목격자에 관한 이야기를 통해 곹고통에서 비극으로 어떻게 나갈 수 있을까? 특별히 비극을 평생의 화두로 삼아 영혼을 강건하게 하는 것을 주제 삼아 작업을 한다고 한다.

 

2부 순서에선 천문학자인 이명헌 씨가 게스트로 나왔는데 두 사람의 유대관계가 나름 돈독해 보인다. 이명헌 씨는 작가가 과학적 자식이 남다른 과학적 작가고, 김탁환 작가는 이명현 씨를 가리켜 과학도임에도 문학적인 사람이라고 추켜 주었다. 무엇보다 이명현 씨는 작가를 가리켜 혜성과 같은 작가라고 했다. 우린 흔히 어느 날 갑자기 나타난 스타를 가리켜 혜성과 같다고 표현하기도 하는데 사실 알고 보면 혜성은 그렇게 어느 날 갑자기 빛을 발하는 별이 아니라고 한다. 그것도 주기가 있는데 무려 76년이라고 한다. 그러니까 해왕성까지 갖다 오는 시간이 그렇다고 한다. 그동안 자기 살을 깎아먹고 돌아 오는 것이 혜성이라고. 그러고 보니 이해가 갈 것도 같다.  하지만 확실히 김탁환 작가가 걸어 온 길과 앞으로의 포부를 들어보면 그는 확실히 훗날 우리나라 문학사에 (어떤 의미로든)한 페이지를 장식할만한 작가임에 틀림없다.

 

이제 반환점을 돌았으니 나머지 반을 또 가야한다. 그가 자신의 작업을 마칠 때쯤이면 노년이 되어 있을 것이다. 그 작업을 마칠 때까지 아니 그 이후에도 내내 건강해서 우리가 오래도록 지켜볼 수 있는 작가로 남아줬으면 좋겠다. 김탁환 작가 파이팅!               

 

 

 


댓글(14)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장소] 2015-03-25 15: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저도 백탑파 책좋아하거든요..
작가관은 모르겠고..멋지다 생각했어요.
잘읽고..갑니다.

stella.K 2015-03-25 15:40   좋아요 1 | URL
그날 메모를 거지같이 하다보니 정리가 좀 안 되더군요.
여기까지가 한계다 싶어요.ㅠ
그래도 읽어주셔서 고맙습니다.^^

누구는 김탁환 작가는 스토리텔러로는 좋은 사람이라고 하더군요.
왜 그렇게 말하는지 이해가 갈 것 같긴해요.
그래서 그의 작품을 영화나 드라마로 만들기에 좋지 않을까 합니다.


[그장소] 2015-03-25 16: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드라마시나리오 뽑기로는 좋죠.저도 동감.그는 머릿속에 그려져있는 걸거라고..봐요.
입체적으로..의도치 않어도...그리되는 스타일인지도...
이번 책은 아직 안읽어서..뭐랄수없거든요.
그렇지만 조선시대 배경으로 ..저는 누구든 계속 해나가 주는 사람이 필요하다고 봐요.
미야베가..에도시대를 그리듯..우리작가도..있었으면 하는 거죠.
그 사람이 김작가임이..싫지않고..그역시 부지런히 tv시리즈등 해서 우리한테 이런 시대가 ..시대를 그릴 작가가 있다는게 알려지길원해요.

급히쓰신 건지..모르나 많이 써본 솜씨임은 단박에 알겠다고..프로시구나.
하고..
너무 잘 읽었어요.

stella.K 2015-03-25 18:16   좋아요 1 | URL
그렇죠. 미야베는 에도시대. 김탁환은 조선시대.
작가로서 다른 거 안 보고 자기 특화된 전문 분야를 갖는 게
좋을 거라고 봐요.

님의 칭찬을 받으니 어깨가 으쓱한데요? 고맙습니다.^^

blanca 2015-03-25 17: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스텔라님의
이런 작가와의 만남 후기글이 참 좋아요. 생생해요.

stella.K 2015-03-25 17:49   좋아요 1 | URL
저 안 죽었죠?ㅎㅎ
저도 작가와의 만남은 굉장히 오랜만이어요.
이것도 비교적 집에서 가까운 곳에서 해서 간 거지
강북에서 하는 것 같으면 못 갔을 거예요.
모처럼 갔다 오니까 기분이 좋더라구요.
기회되면 이런 글 또 올릴게요.
읽어줘서 고마워요.^^

붉은돼지 2015-03-25 18:1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부끄럽게도 저는 김탁환의 책은 한권도 못 읽어봤어요 ㅜㅜ
혜성과 같은 작가....그런 말 해주는 친구가 있다는 건 멋진 일인것 같아요. 조만간 제탁월드에도 입성해야 할 듯 ㅋㅋ

stella.K 2015-03-25 18:22   좋아요 1 | URL
제탁 월드. 그렇군요. 날렵하신데요?ㅋㅋ
김탁환 작가도 생각 못했을 겁니다.
저도 지금까지 두 권 정도 읽은 것 같아요.
이번에 백탑파 시리즈가 새롭게 나와서 정말 갖고 싶더라구요.
솔직히 그날도 책을 샀어야 하는 건데
읽을 책이 너무 많아 자제하느라고 혼났습니다.
사실은 예의상으로라도 샀어야 하는 건데...ㅠ

곰곰생각하는발 2015-03-25 18: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백탑파 지지합니다. 이런 시리즈 소설이 사실 한국 문학에서는 흔하지 않죠. 미국이나 일본만 봐도 된다 싶으면 시리즈물이 연속적으로 나오잖아요. 한국 문학이 지나치게 순문학 우선 정책을 펴고 장르 소설을 개차반으로 대접하는 경향이 있죠...

stella.K 2015-03-26 11:59   좋아요 0 | URL
순문학도 설 자리가 없으니 버텨보는 건 아니겠습니까?
요즘엔 장르문학이 순문학을 앞지른 거 같기도 하던데...
이젠 김탁환처럼 한 분야를 거름삼아 필생의 작업을 해도
밥 먹고 사는 그런 세상이 되야할 거예요.
이젠 순문학은 독자들도 잘 안 보잖아요.ㅠ

yamoo 2015-03-26 11: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좋은 정보가 포함된 유익한 글입니다~! 김탁환 작가 소설은 초기작만 보았는데..방각본..부터 안본거 같아요. 계속 조선 후기를 배경으로 쓰고 있는 김작가의 노력이 대단해 보입니다. 한때 즐겨읽던 작가였는데..

stella.K 2015-03-26 15:12   좋아요 0 | URL
김탁환 팬이시군요.
작가도 작품과 함께 나이들어 가죠. 코난 도일이 그랬다고 하더군요.
그걸 느껴보는 것도 꽤 의미있는 일일거라고 생각합니다.
저도 언젠가 이 사람 작품을 쭉 읽어보고 싶어요.
문학성은 모르겠으나 전문성과 대중성은 어느 정도 확보했잖아요.
그러면 되는 거 아니겠어요?^^

transient-guest 2015-04-02 02: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김탁환 작가 팬이에요. 구할 수 있는 그의 책들은 모두 갖고 있습니다. 절판된 몇 가지는 아직 손을 못 쓰고 있지만, 한국에 갈 기회가 생기면 헌책방을 돌아볼 생각입니다. 한국에서 살지 않아서 아쉬울 때가 있는데, 이런 작가만남이나 관심가는 교양강좌를 갈 수 없다는 점도 포함되네요.ㅎ

stella.K 2015-04-02 11:24   좋아요 0 | URL
아, 지금 님께서 계신 곳이 한국이 아니군요.
해외에 계시면 그점이 아쉬울 것 같긴 하네요.
그런데 이런 것도 부지런해야 할 수 있는 일이지
게으르면 말짱 꽝인 것 같아요.ㅋ

김탁환은 정말 컬렉션으로 가지고 있어도 좋을 것 같습니다.
요즘 절판된 작가의 작품들이 새로 나오기도 하는데
반갑기도 하더라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