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는 야당을 갖고싶다
금태섭 지음 / 푸른숲 / 2015년 8월
평점 :
품절


금태섭의 730일 정치 분투기
이기는 야당을 갖고싶다

 

 

 
20150912_082119.jpg

 


푸른숲 출판사 편집부에서 제목 한번 잘 뽑았다는 생각이 거듭 들었다. 저자 금태섭 변호사가 원래 마음에 두었던 제목을 출판사 측에서 살짝 비틀어 뽑았다는 <이기는 야당을 갖고싶다>! 대한민국 사회에서, 이런 호기심 끄는 제목을 모른 체 지나칠 이는 많지 않을 것이다. 야당이 건실하게 제 몫을 다하고, 여당을 아름답게 이기는 모습을 보고 싶은 이들은 많을 테니까. 

*

'이기는 야당'이란, 단순히 국회의원 의석수 경쟁이나 대선에서 승리한 정당만을 말하지 않는다. 금태섭 변호사가 고심하며 제안한 "이기는 야당이 갖춰야 할 4가지 조건"은 책의 가장 마지막 장에, 그야말로 농축액처럼 달이고 달인 문장으로 등장한다. 먼저 야당은 현 여당인 새누리당의 특징인 '일사불란함'이 없을지라도 야당 고유의 스타일인 '토론과 비판정신'으로 밀고 나가야 한다. 둘째, 야당은 남의 잘못만 비판하지 말고, 의제를 설정하고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 셋째 20대 위원장을 둔 청년위원회가 있어야 한다. 다시 말해, 직업인으로서의 정치 정문가가 필요하다는 말인데, "이번에 많이 배웠다. 다음에는 더 잘하겠다"라는 변명은 더 이상 소통되지 않는다는 말이 가장 와 닿았다. 정치는 개인이 경험쌓으러 드나드는 영역이 아니니까 말이다. 넷째, 영리한 충고를 받아들이며 몸을 사리기 보다는 결단하고 위험을 감수할 때 이기는 야당이 될 수 있다.

*

그렇다면 예비 독자들의 마음에는 이런 질문이 떠오를 것이다. 저자의 말마따나 "정치에 관심이 많았던 대한민국의 보통 아저씨"가 어떻게 이런 초강수 훈수를 대한민국 야당에 둘 수 있느냐고? 금태섭은 그럴만하다! 또 스스로 그래야 한다고 생각했다!  무엇보다도 일수로는 730일을, 정치최전선에서 대선, 단일화, 창당과 합당의 과정을 지켜보고 관여하며 일반 국민들에게 전하고픈 말이 많았으니까. 동시에 지난 2년 자신을 돌아보면서 "가장 고귀한 형태로서의 애국"이라는 비판을 던짐으로써 야당에 대한 사랑고백을 하고 싶었으니까.

<이기는 야당을 갖고싶다>의 곳곳에서, '바른정치'를 향한 금태섭의 열망과 야당에 대한 애정이 느껴지는 동시에 안철수 의원과 거리두기 위해 깔아놓은 포석을 발견할 수 있다. 포털 사이트에 검색해보면, '안철수의 남자'라는 수식어가 따라붙는 금태섭은 "나는 그를 선택한 것이 아니다"를 명확하게 해둔다. 애당초 정치에 뜻이 있어 찾아갔던 것은 조국 교수였고, 시골의사 박경철 원장의 적극 영입 권유로 안철수 캠프에 합류하게 되었을 뿐이라는 설명이 자세히 이어진다. "좌절과 환희의 롤러코스터"라니 "최고의 시절과 최악의 시절"이라는 소제목이 금태섭 변호사가 안철수 캠프에서 겪은 일을 압축하는 듯하다. 좋은 취지에서 참여했더라도 예상치 않았던 문제들이 불거지고 소통부재로 인한 불쾌감까지 캠프에서 좌절을 많이 겪었나보다.

전체적으로 금태섭 변호사는 안철수 의원에 대해서는 말을 아끼는 듯 하나, 그리 우호적인 코멘트를 하지는 않는다. 우선, 출마를 선언하기까지 좋은 말로는 고뇌의 시간, 나쁜 말로는 질질 끌었던 시간을 기술한다. 이어 단일화 협상에서의 고충과 예상 밖의 사퇴에서 금태섭 변호사가 느꼈던 실망감은 정점에 이른다. "적어도 지지자들에게 묻는 절차는 거쳤어야 하는데 (162쪽)" "안 후보의 갑자스러운 사퇴로 뒤통수를 얻어맞은 것처럼 힘이 빠졌다 (163쪽)"고 말한다. 안철수 의원을 궁금해하는 이들에게 금태섭 변호사는 두 가지 에피소드를 이야기해준다고 한다. 하나는 안 의원이 얼마나 규칙을 잘지키는지를 보여주는 에피소드이고, 다른 하나는 살짝 비꼼의 의미도 내포하는 에피소드이다. 금태섭 변호사가 안 후보가 두 시간을 걸으며 이야기를 했는데, 금태섭 의원은 좁은 보행길을 둘이 나란히 걷다 보니 부득이하게 울퉁불퉁한 진흙 위를 걸느라 신발이 엉망이 되었는데도 안 후보가 전혀 보르더란 에피소드이다. 금태섭은 "두 시간 동안 이야기를 나누면서 나한히 함께 걷는에 옆 사람이 어떤 길을 걷는지 눈치를 못 채는 것은 정말로 인상적" (211쪽)이라며 초강력 한 방을 날린다.


  금태섭 변호사의 책 읽기 취미와 뛰어난 글재주 덕분에 <이기는 야당을 갖고싶다>는 몹시도 매끈한 문체로 독자를 즐겁게 해준다. 비단 정치권에 이해관계를 둔 사람이 아니더라고, 한국 사회에서 뒷무대(back stage)에서 작용하는 생존 논리, 구역질나는 구태의연, 고질병의 환부에서 나는 역한 냄새가 궁금한 이들도 얻어갈 것이 많은 책이다. 금태섭 변호사는 그래도 희망을 말하고, 비전을 제시한다. 그래서 더 재미있다!


20150912_082129.jp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주변이 섹시해지는 정리의 감각 - 잡동사니에서 탈출한 수집광들의 노하우
브렌다 에버디언.에릭 리들 지음, 신용우 옮김 / 처음북스 / 2015년 8월
평점 :
절판


주변이 섹시해지는 정리의 감각

 

 


 

20150903_151857.jpg


 

STUFFology101_Audible-Daily-Deal_09052015.jpg



잡동사니 정리 경험 46년 차 브렌다 에버디언 (Brenda Avadian)과 경력 37년 차인 에릭 리들 (Eric Riddle), 모두 83년의 정리 경험을 가진 이들이 함께 쓴 책의 제목은 몹시 섹시하다. <주변이 섹시해지는 정리의 감각>. 처음북스 출판사에서 원제 (홈페이지: http://stuffology101.com) 를 재치있게 옮겨 주었다.  저자들에 따르면 잡동사니(STUFF)의 일차적 의미는 "우리가 생각하기에 언젠가 필요할 것 같은 물건 (20)"을 말한다. 물질적 잡동사니(다 읽지도 못할 텐데 사들인 책 무덤!), 정신적 잡동사니(감정, 후회, 걱정!), 디지털 잡동사니(일 년째 열어보지도 않은 이메일!), 시간의 잡동사니, 감각적 잡동사니(감각의 과잉으로 인한 부작용!)으로 세분된다. 잡동사니(STUFF)를 달리 풀어 말하자면 "시작 (Start), 신회 (Trust), 이해 (Understand), 집중 (Focus), 마무리 (Finish)의 과정으로 분해된다(169쪽). 즉 잡동사니 정리의 핵심은 일회성 행사가 아니라 삶과 함께 가는 과정이다.  

 


 

20150903_152004.jpg

 

20150903_151915.jpg


 

 

<주변이 섹시해지는 정리의 감각>은 주제는 섹시할지 모르나, 문체만큼은 전혀 섹시하지 않다. 현란하여 어지럽기까지 한다.  '해요'체와 '하다' 체를 넘나든다거나, 문장마다 줄 바꾸기를 하는 통에 독자 입장에서는 친절함을 느낄 여지가 없다. 신문기사 한 꼭지를 빌어오기도 하고, 온라인 상에 올린 글의 조각조각을 옮겨오기도 한다. 저자가 둘이다 보니, 주어도 자주 바뀐다. 게다가 저자들은 1인칭 시점이 아닌, 3인칭 시점에서 자기 이야기를 풀어내니 페이지 넘길 때마다 정신을 바짝 차려야 한다.

미국에서라면 독자는 99센트에 책을 살 수도 있고, 저자들에게 돈을 내고 정리 컨설팅을 받을 수도 있다. 3개월 동안 2주 간격으로 전화를 걸어, 클라이언트가 잡동사니를 알아서 버릴 수 있도록 도와주나 보다. 하지만 이 같은 옵션이 일본이나 한국의 독자들에게 그렇게 매력적이지는 않을 듯하다. 다다미방으로 대표되는 일본의 주거문화와 한국의 성냥갑 아파트 문화에서는 저자들이 강조하는, 트레일러며 당구대가 놓인 차고나 30년 전 교과서가 놓인 다락방을 정리할 필요가 거의 없을 듯 하다. 애당초 차고와 다락방 있는 저택에서 살지 않기 때문이다! 저자들이 말하는 잡동사니 분류에서 문화적인 차이를 느낀다.

반면, 저자들이 제안하는 정리의 기술 중 가장 도움을 많이 받은 항목은 "디지털 잡동사니 치우기"였다. 나야말로 책을 읽다 말고 메일함을 열어서  몇 년 묵힌 메일들을 지우고, 노트북 파일을 일일이 열어 부피를 줄여버렸을 정도였으니……. 저자들의 정리 철학을 한마디로 요약하자면, "천 리 길도 한 걸음부터!"라 할 수 있다. 강박적일 만큼 저장(compulsive hoarding)하지 않는다면 잡동사니에 치여 못 살 정도는 아니겠지만, 대부분의 사람 집에는 '읽으려고 모셔둔' 정기 간행물에 오래 묵은 청첩장과 보험 관련 서류들이 있을 것이다. 하루, 한 자리에서 다 치우려 조바심내지 말고 마라톤 하는 심정으로 치워 나가라는 것이 저자들의 충고이다. 새겨듣게 된다.
*
<주변이 섹시해지는 정리의 감각>에서 이 두 가지 질문은 확실히 취하고 넘어가자! 첫 번째, 재난이 닥쳐 이 물건이 없어진다면 대신할 물건을 구하는 데 오래 걸릴까? 둘째, 잡동사니가 없어진다면, 그 공간이 어떤 느낌이 날까? 상상해보라. 홀쭉해진 공간, 가뿐해진 마음. 버린 만큼( 혹은 기부한 만큼) 삶이 가벼워진다. 정말 중요한 것에 집중할 여력이 생길 것이다.


<주변이 섹시해지는 정리의 감각>과 함께 소린 벨브스의  <공간의 위로 (SoulSpace)>와 도미니크 로로의 <심플하게 산다>도 함께 읽기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꿀잼 경제학 - 알면서도 손해 보는 당신을 위한 행동경제학!
포포 포로덕션 지음, 김지영 옮김, 김웅철 감수 / 매일경제신문사 / 2015년 8월
평점 :
품절


꿀잼 경제학

 


 


20150820_184830.jpg

일본 잡지를 읽다보면, 정보를 콤팩트하게 꾹꾹 눌러 담으면서도 부담 없게 전달하는 특유의 편집력이 있다는 인상을 받는다. <꿀잼 경제학> 역시, '경제학'이라는 거창한 단어를 포함한 제목의 책이지만 잡지처럼 쉽고 재미있게 읽을 수 있다. 독특하게도 이 책은 1인 저자가 아닌, 포포 포로덕션(Pawpaw poroduction)이라는 일본의 기획 제작 사무실에서 태어났다.  색채심리와 인지심리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심리학을 활용한 상품개발이나 기업 컨설팅을 하는 단체로 추정한다. 

*

제목 그대로 '꿀잼'을 추구하는 <꿀잼 경제학>은 전반적으로 행동경제학의 기본 개념과 이론, 이론의 실제 응용 사례를 소개한 책이다. 경제학이 수에 능한 완벽주의자들의 학문이라는 편견이 있던 독자라면 <꿀잼 경제학>을 읽다 보면 숨통이 좀 트일 것이다. 그도 그럴 것이, 행동 경제학에서는 인간을 '합리적이지도,' '합목적적으로만' 움직이는 존재로만 보지 않는다. 즉 호모 이코노미쿠스(Homo Economicus)의 기본 전제에 반기를 들고 논의를 진행한다. '행동경제학'에서의 인간들은 최소지출의 최대효용을 추구하는 합리적 소비자가 아니라 편견과 감정에 휘둘린 선택을 종종 하는 비합리적인 존재이다. 행동경제학을 쉽게 대중에게 소개한 많은 책들이 시중에 나와있지만, <꿀잼 경제학>은 특히나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일상(주로 일본 사회의 맥락)의 사례가 많이 등장하고, 각 이야기마다 짧은 만화로 정리를 한 번씩 더 간명하게 해주기 때문이다.

 <꿀잼 경제학>의 Part 1에서는 ‘행동경제학이란 무엇인가’를 전반적으로 설명한 후,'신기한 경제 심리'라는 소제목의 Part 2에서는 경제활동 이면에 작동하는 심리에 집중한. 이런저런 학문 자료와 실사례를 얽어 소개하니 설득력도 있고 재미도 있다.  Part 3에서는 사람들이 잘못된 판단을 하는 이유와 합리적인 판단을 방해하는 심리적 기재를 집중 파고 든다. Part 4에서는 경제활동의 기본 원리인 ‘비교’와 ‘모방’을 키워드로, 사람들이 왜 자꾸 비교하고 모방하려는지 그 메카니즘을 추적한다. Part 5에서는 투자와 도박의 행동 경제학을, Part 6에서는 행동경제학의 실 응용법을 소개한다. 비지니스를 하거나 취업활동을 하는 이들에게 특히 유용할 마지막 챕터에서는 프레젠테이션 비법이나 첫인상에서의 호감도 높이기, 효과적인 협상법, 판매 실적을 높이는 판매전략 등 행동경제학을 전략적으로 응용하는 법을 가르쳐준다.  

*

'19,800원이 주는 매력,' '가격이 빨간색으로 써 있으면 무심결에 구입한다,' '홈쇼핑으로 물건을 팔 때는 다섯 가지 색으로! ' '선택지가 많으면 구매율이 오히려 떨어진다' '비싼 메뉴를 팔고 싶다면 ‘더 비싼’ 메뉴를 넣어라' '비싼 것부터 팔아라!  등 판매자를 혹하게 할 정도로 재미난 제목만큼이나 재미있다. 비단 경제 분야에서뿐일까? 통계의 기술에 속고, 숫자에 기만당하며 스스로는 '합리적 선택자'라고 믿는 유권자들도 많을텐데....모르면 코 베어질지도........읽고, 공부하자!

 

20150820_184850.jpg


 

20150820_185133.jpg

 

20150820_185208.jp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이오그래피 매거진 5 최재천 - 최재천 편 - 살아 있는 것들을 위하여, Biograghy Magazine
스리체어스 편집부 엮음 / 스리체어스 / 2015년 7월
평점 :
절판


Biography Magazine 최재천

 

 


 

20150809_090156.jpg


 

진화생물학이 생소하다는 이조차도 그 이름, 세 글자와 자주 마주친다. 최. 재. 천. 리처드 랭엄의 <요리 본능 (원제: Catching fire : how cooking made us human> 서문이나 전중환의 <오래된 연장통> 추천사에서 각종 대중 강연과 심지어는 <이 사슴은 내 거야> 등 어린이 그림책의 해설에서까지 그 이름은 자주 등장한다. 최재천 교수가 비범한 팔방미인임은 익히 짐작했지만, 『 biography magazine Issue. 5』를 읽고 나니 그 다재다능함에 질투가 날 정도이다. 4형제의 맏이로 태어나 어린 시절 또래에 뒤지지 않을 만큼 마음껏 뛰놀았다. 책을 좋아해서 커서도 스스로 '책벌(閥)'이라고 자칭하는 그는 중학생 때는 시인을 꿈꾸며 문예반 활동을 하고, 고등학생 때에는 미술반을 하며 기대를 받았다고 한다. 군인이신 아버지의 권유로 서울대 의예과를 목표로 재수하면서, 당구장과 볼링장을 드나들고 DJing을 했는데도 결과적으로는 서울대에 입학했다. 1지망인 의예과가 아닌 2지망인 동물학과에 붙었지만 말이다. 지금도 크게 다르진 않겠지만 '동물학'이 워낙 생소하다 보니, '독문학?'이라고 되묻는 이들에게 굳이 부연 설명하지 않았을 정도로 최재천은 자신의 전공학문에 대한 애정도 자부심도 낮았다.

 

 

20150809_090305.jpg


 


 대학 3학년 말 평점이 2. 0 (4.3 만점)이 안 될 정도로 학업과 담을 쌓았던 그였지만 4학년 때 미국 유학을 결심하고는 열심히 공부한다. 1979년 펜실베니아 주립대학으로 유학을 떠났고, 사회생물학의 창시자인 에드워드 윌슨을 지도교수로 하버드 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땄다. 남들 다 개미 연구를 할 때, 민벌레 연구를 주로 했다. 초등학교 문예반 시절부터 갈고 닦은 아름다운 문장력은 영문에서도 인정받아, 미국에 남을 수도 있었으나 서울대에서 교수 제의를 받아 한국으로 들어왔다. 아들과의 저녁 시간을 소중히 하는 부성으로 저녁 술자리를 마다하고 저녁은 집에서 아들과 함께하였다고 한다. "그러다 출세 못 한다"는 선배 교수의 따끔한 지적에 "이 땅에서 서울대 교수됐으면 출세 다 한 거 아닌가요?"라고 반문했더라는 일화는 최재천 교수의 성품을 보여준다. 그는 집에 와 아이를 재우고 새벽까지 '자신만의 시간'에 많은 논문을 쓰고 강연을 준비할 수 있었다고 회고한다. '<성적 맞춰서 들어온 서울대생'에서 '과학 대중화에 앞장서는 학자'가 되기까지> (<<서울대저널>>. 2015. 3)이란 기사 제목이 시사하듯, 최재천은 평점 2.0 미만의 평점의 학생에서 이화여대 석좌교수이자, 국립생태원 초대원장, 한국을 대표하는 진화생물학자로 활약하고 있으니 '대 반 전'의 성공스토리라 할 만하다.


 

20150809_090228.jpg


 이런 재미난 이야기들을 어떻게 알았느냐고? 신개념 잡지 <바이오그래피 매거진> 덕분이다. 1호 이어령을 시작으로 김부겸, 심재명, 이문열, 그리고 5호 최재천에 이르기까지 바이오그래피는 결월로 인물을 집중 소개한다. 편집장 이연대가 직접 심층 인터뷰를 하여 인물에 대한 밀도 높고 체온 느껴지는 기사를 중심으로 세련되고 감성적인 그래픽이 어우러진 잡지이다. 여느 인물전과는 달리 잡지 형식을 빌려, 사진 등 인포그래픽의 비중을 높인 점도 마음에 든다. 유익하고 심도 있는데, 재미까지 있다. 편집진의 노고가 페이지 한 장 한 장 넘길 때마다 느껴지는 양장본 잡지이다.

이번 5호 덕분에 평소 관심이 컸던 최재천 교수의 삶과 철학을 조금이나마 엿볼 수 있었고, 덤으로 진화생물학의 기본적인 개념 정도도 익혔다. 다음 6호에 소개될 인물이 벌써 궁금해진다.

 

20150809_090425.jpg


 

20150809_090329.jpg


 

20150809_090445.jp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외식업 컨설팅 - 대한민국 창업자를 위한
이준혁 지음 / 스타리치북스 / 201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외식업 컨설팅

 

 


 

20150731_215157.jpg


 

외식업에 종사할 만큼의 부지런함이나 치밀함이 없는지라외식업 창업하거나 컨설팅받을 일은 없을 것이다. 그런데도 <대한민국 창업자를 위한 외식업 컨설팅>을 집어 든 이유는 외식업에 종사하는 지인들에게 도움을 주고 싶었고외식 장소 선택할 때 어떤 항목을 눈여겨봐야 할지 깐깐한 소비자의 눈으로 배우고 싶었기 때문이다. 이준혁이 쓴 <외식업 컨설팅> 을 다 읽어보니 이 책이, 위 두 가지 목적에 부합한다는 결론. 관광경영학을 공부하고, 하야트호텔 웨이터를 시작으로 30여 년간 호텔, 외식 사업 분야에서 활동해온 저자는 현재 상지대학교에서 외식경영론과 외식창업론을 강의하고 있다.

 


저자가 이 책을 쓰게 된 계기가 인상적이었다. 30여 년간 오직 외식업 한길만 달리며 외식업 성공을 위한 엄청난 노력을 기울였다는 저자가 하는 말은 충격적이게도, "식당 창업은 절대로 해서는 안 된다"(5)니……. 저자의 솔직함은 신선함을 넘어 충격에 가까웠다. 저자는 말한다. 외식업으로 성공할 확률은 10%도 되지 않으며, 창업 후 3년 내 폐점하는 식당 비율이 전체의 80%를 넘는다고. 그래도 부득이한 사정으로 창업을 고려 중이거나 현재 외식업에 몸 담고 있는 이들을 위해 이 책을 썼다고 한다. 대박 비결을 알려주려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해야 '폐업의 리스트를 줄일 수 있나'에 초점을 두었다니, '외식업 = 잘하면 대박'이라는 단순한 생각으로 책을 집어 든 독자로서는 당혹스럽기까지 했다. 하지만 이런 당혹감은 저자의 진정성 덕분에 곧 사라졌다. 행간에서, 외식업 종사(혹은 예비 종사자)들을 향한 저자의 애정과 외식업 종사자가 지닌 자부심과 사명감이 느껴졌기 때문이다.


 총 7 챕터로 구성된 <외식업 컨설팅>은 먼저 업종 선정 및 입지 선정 등 창업준비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부터 시작하여 운영 콘셉트에 맞는 인테리어, 마케팅, 종업원 관리, 상품 관리 등 현장에서 유용할 실용적인 충고를 전한다. 실제 저자가 현재 샤브샤브 전문점을 운영하고 있는데다가, '희망창업연구소'라는 사설기관에서 자영업자들에게 외식업 컨설팅도 하고 대학 강의도 하는 만큼, 구체적 사례 중심의 정보가 실려서 독자의 귀에 쏙쏙 들어온다. 특히 실전 컨설팅은, 저자가 실제 컨설팅해준 업체의 약점과 강점, 보완점들을 낱낱이 파악해주기에 비슷한 상황에 있는 동종업자에게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듯 하다.

20150731_215539(1).jpg

 

 

독자 스스로 이 책을 깊숙이 이해했는지 자문을 던지려면, 저자가 제시하는 '이익에 관한 2개의 공식'의 차이점을 아는지 확인하면 된다. 매출 - 비용= 이익이라는 공식과 이익= 매출 -비용이라는 공식은 쌍둥이처럼 보이지만, 기저의 마인드가 다르게 작동한다. 그 차이점이 궁금하다면 책을 직접 읽어보시길. 힌트를 주자면, 저자는 후자의 공식을 선호한다.

 

 

저자가 <외식 컨설팅>을 통해 진정 전하고자 하는 메세지는 "외식업이 쉽게 망하니 만만하게 보지 말라"는 선배로서의 충고도 있겠지만, "지피지기 백전불태이니 철저히, 치밀하게 준비하고 창업하면 성공의 문이 보인다"란 희망적 메세지 아닐까?

 

 20150731_215240.jpg


 

20150731_215358.jpg


 

20150731_215424.jpg



 

20150731_215449.jp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