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수의 질문법 - 최고들은 무엇을 묻는가
한근태 지음 / 미래의창 / 2018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질문이 중요하다는 것은 누구나 안다. 모든 것의 출발은 질문이다. 좋은 답을 듣기 위해서는 좋은 질문이 반드시 필요하다. 원하는 답을 듣지 못했다면 전적으로 올바르지 못한 질문을 한 탓이다. 핵심을 찌르는 질문을 하지 못하니 상대방은 질문에 그저 답할 뿐이다. 질문은 언제 어디서나 중요하지만 그 중요성을 늘 까먹게 된다. 좋은 대화에서도 질문은 으뜸이다. 질문을 요소에 적재적소로 하는 사람들이 대화 잘하는 비결이다.


상황에 따라 나는 대화가 달라진다. 어떤 사람과는 참 많은 이야기를 내가 한다. 상황이 날 그렇게 만든다. 나에게 요구하는 바가 있다는 걸 알기에 나도 덩달아 더 이야기를 하기도 한다. 어떨 때는 질문을 많이 하기도 한다. 상대방이 한 이야기를 근거로 꼬리에 꼬리를 물고 질문한다. 또는 파생된 궁금증을 계속 물어보기도 한다. 그 덕분인지 나랑 이야기한 사람들은 참 편하게 대화를 했다고 한다. 내가 한 것은 그저 질문을 던졌을 뿐이다.


그 질문이란 상대방이 이야기하고 싶었던 것이 아닐까싶기도 하다. 많은 사람들은 이야기를 하고 싶어한다. 내성적인 사람이라도 각자 사연이 있고 떠들고 싶은 것이 있다. 이 점을 잘 이끌어 내면 많은 이야기를 들을 수 있고 대화가 가능하다. 여기서 핵심은 질문이다. 내가 듣고 싶은 걸 질문하는 경우도 있지만 상대방이 이야기하고 싶은 걸 질문할 때 가장 이상적인 대화가 된다. 이런 대화가 이어질 때 별 이야기를 하지 않았어도 많은 이야기를 했다는 착각마저 든다.


질문은 이런 것만 있는 것은 아니다. 스스로에 대한 질문도 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나는 누군인가' '나는 지금 무엇을 원하는가' '내가 궁극적으로 꿈꾸는 것은 무엇인가' '내가 진짜 하고 싶어 하는 것은 무엇인가' 이런 질문들이다. 이런 질문은 무척 거창하고 철학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그렇다해도 인생을 살아가며 반드시 스스로에게 한 번 정도는 던져야한다. 세상에 태어나 열심히 살아가는 사람은 참 많다. 문제는 열심히만 살아간다.


열심히 살아간다고 의문이 해소되지 않는다. 무엇인가를 잊기 위해서는 열심히 살아가는 것만큼 좋은 것도 없다. 그보다는 내가 왜 이렇게 살아가는지에 대한 고민을 해 보는 것이 좋다. 이런 것을 위해 스스로에게 질문은 반드시 필요하다. 질문을 했을 때 아무런 답이 안 나올 가능성이 크다. 그렇다해도 의미없는 질문은 아니다. 그런 질문부터 나 자신에 대해 알게 되고 고민하고 생각하게 된다. 그런 과정을 거쳐 좀 삶을 의미있게 살아가게 된다.

이 책인 <고수들의 질문법>을 읽어보니 내가 스스에게 질문을 안 하며 살았다는 생각도 든다. 솔직히 나 자신에게 질문하며 살아가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가끔 '이게 맞나' 이런 식의 질문을 하긴 하지만 자주 하는 편은 아닌 것 같다. 그나마 나는 스스로 어떤 질문을 하는 것은 아니지만 다양한 글을 쓰며 질문 아닌 질문에 대답을 한다. 글을 쓴다는 것은 자신과의 대화다. 나 자신에게 대화를 하려면 나에게 질문을 해야만 한다.


어떤 글을 쓰는데 갑자기 느닷없이 어떤 내용이 나올리가 없다. 나도 모르게 어떤 질문을 했으니 그런 글이 나오는 것이 본다. 이 책에서도 글쓰기의 효용성이 나오는 것처럼 말이다. 이 책의 저자는 '고수'시리즈를 펴내고 있다. 다양한 고수 시리즈를 내고 있는데 여기서 말하는 고수는 그저 하나의 상징적인 의미다. 특정 대상이 나오는 것은 아니다. 각 분야에서 고수라는 호칭을 들을 정도의 사람이라면 이렇지 않을까하는 식이다.


다양한 질문에 대한 이야기를 책에서는 한다. 그런 면에서 대단하다는 판단을 했다. 질문 하나를 갖고 이렇게 집요하게 물고 늘어지면서 사람들에게 질문한다. 한편으로는 굳이 질문이라는 표현이 없어도 되긴 한다. 그걸 질문이라는 상징으로 다양한 면에 대해 저자의 생각을 우리에게 전달한다. 개인과 개인, 개인과 집단, 집단내에서 개인, 리더로 할 질문. 이런 다양한 질문에 대해 여러 방면으로 하나씩 접근해서 알려주는 책이다.


내가 어떤 조직에 속해 있지도 않고 저자처럼 기업을 대상으로 컨설팅을 하고 있지도 않아 그런 쪽의 질문에 대한 이야기보다는 개인에 대한 질문이 더 눈이 갔다. 무엇보다 본질에 대한 질문이 가장 눈에 들어왔다. 내가 하고 있는 이 일의 본질은 무엇인가. 이런 이야기는 참 많이 듣고 들었다. 현재 내가 하고 있는 다양한 일에 있어 나는 제대로 질문하고 그에 대한 답을 찾아 하고 있던 것인지 물어본다. 아니라는 판단은 든다. 아예 생각 안 한 것은 아니지만 진짜로 깊게 생각해 본 적은 없는 듯하다.


아마도 그런 부분에 있어 깊고 깊은 생각을 하는 것만으로도 도움이 되지 않을까한다. 이런 것이 바로 질문이 갖고 있는 힘이 아닐까한다. 굳이 누군에게서 듣는 질문이 아닌 스스에게 한 질문에 답하는 자문자답만으로도 성장할 수 있다. 그런 질문이 또 다시 타인에게 좀 더 슬기로운 질문을 할 수 있는 토대가 되지 않을까도 한다. 질문해서 나쁠 것은 하나도 없다. 타인에게 상처를 주는 질문이 아니라면 스스로에게든, 타인에게든 괜찮지 않을까 한다. 오늘부터 질문하는 삶을 살아보자.


까칠한 핑크팬더의 한 마디 : 개인에게 좀 더 집중했다면

친절한 핑크팬더의 한 마디 : 질문 자체가 힘이다.


함께 읽을 책

https://blog.naver.com/ljb1202/221209747491

성취습관 - 환경


https://blog.naver.com/ljb1202/220821109749

내 안의 나와 나누는 대화 - 본질


https://blog.naver.com/ljb1202/220202958682

일생에 한 번은 고수를 만나라 - 멀리서 찾지 마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