셰어하우스 시대가 온다 - 빈방 왜 놀려? 건물 없이도 건물주보다 월세 많이 받는
김결(필명 달토끼) 지음 / 트러스트북스 / 2017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미 셰어하우스는 어느 정도 인지도를 쌓았다. 여전히 관심없는 사람들이 대다수겠지만 알고자 하는 사람은 거의 대부분 그 개념은 익숙하다. 공유경제라는 단어와 함께 셰어하우스도 에어비앤비, 게스트하우스 등과 함께 각광을 받고 있는 중이다. 몇 권의 책도 읽기는 했다. 어찌보면 트렌드에 뒤쳐지지 않기 위해 배우는 것이라 할 수도 있고, 다양성을 모색하며 발전하기 위한 하나의 과정으로 보는 것도 없지 않아 있다.


상당히 색다른 방법으로 떠오른 방법이다. 에어비앤비같은 경우 일부러 강남 대형 아파트에 월세로 거주하는 경우도 들었다. 40평 정도 되는 집에 거주하며 월세로 산다. 방 하나를 에어비앤비로 돌려 월세를 충당한다. 거기에 아이들과 자연스럽게 영어도 할 수 있는 교류도 만들어 여러 가지 긍정적인 효과를 내고 있다는 이야기다. 그렇게도 접근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들며 충분히 강남 아파트에 입주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셰어하우스는 여러 명이 함께 거주하는 시스템이다. <셰어하우스 시대가 온다>를 읽고 깨달은 것은 "이건 월세구나"였다. 어차피 집을 매수하고 임대를 놓는다. 전세가 아니면 월세다. 여기서 월세를 놓는다면 한 가구를 들이게 된다. 임차인이 무엇을 하든 대체적으로 집주인은 잘 모른다. 한 마디로 임차인이 하우스메이트 등을 구해도 알 방법은 사실 없다. 의외로 월세가 부담스러워 그렇게 하는 임차인들이 꽤 있다.


셰어하우스는 또 다시 생각해보면 결국 원룸 주택이 소규모로 변한 형태다. 다가구 주택을 원룸부터 투룸까지 다양하게 구성한 주택에 임차인을 들여 관리하는 것과 차이가 없다. 규모의 경제라는 측면에서 소규모로 이를 실천하는 입장으로 보였다. 내가 보유하고 있는 다세대 주택 중 하나에 방 숫자만큼 임차인을 받는다. 이들은 전부 월세로 계약을 한다. 단기도 있고, 장기도 있다. 단기는 짧으면 3개월 정도이다. 


단기일 경우는 월세를 한꺼번에 받는다. 대신 보증금은 없는 형태이다. 의외로 이런 수요가 꽤 있다. 방구하는 사이트 등을 가 보면 1~3개월 정도만 거주할 수 있는 단기 방 없냐는 문의가 꽤 있다. 이런 사람에게 공실이라도 맡기기는 다소 애매하다. 다시 생각해 볼 때 여러 명이 함께 거주하는 구조라면 괜찮을 듯하다. 공동으로 사용하니 본인 혼자 집을 훼손할 일은 다소 드물다. 서로가 서로를 나름대로 견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굳이 이야기하면 '죄수의 딜레마'의 다른 형태라고 할까. 원룸은 대체적으로 시스템이 모두 구비되어있다. 셰어하우스도 마찬가지다. 방마다 침대는 물론이고 대부분 거주하기에 불편하지 않은 것이 있다. 세탁기도 있고, 냉장고도 있다. 구조로 볼 때 원룸과 크게 다르지 않다. 원룸이라는 표현처럼 각자의 방이 있다. 방이 넓으면 2명 정도가 함께 거주하고, 방이 좀 작으면 혼자 거주한다. 거기에 따라 월세부분이 약간 다르다.


그렇다면 무엇때문에 개인 사생활이 보장되는 원룸에 거주하지 않고 셰어하우스를 택할까. 다양한 이유가 있겠지만 가장 큰 이유는 아마도 보증금때문인 듯하다. 셰어하우스는 대부분 청년 층이 거주한다. 이들은 이제 막 사회생활을 시작했다. 보유한 현금이 그다지 많지 않다. 한국은 현재 신용으로 이뤄지지 않고 있으니 대부분 월세를 내지 못하는 경우를 대비하기 위해 보증금을 높게 받는다. 리스크 관리차원이다.


이 부분에 있어 셰어하우스는 보증금이 외국처럼 월세의 1~3달 정도 밖에 되지 않는다. 부담없이 좋은 집에서 거주하고 싶은 욕망을 채워주는 역할을 셰어하우스가 한다. 내가 쓴 '집살래 월세살래'에서 예측한 것처럼 이런 사회적인 문화가 점차 퍼진다면 보증금은 갈수록 적어질 가능성이 크다. 청년층은 서서히 보증금은 적은 대신에 월세를 조금 더 내는 문화를 받아들이고 익숙해진다. 이미 외국에서 정착된 문화다. 이를 위해 좀 더 보완되는 것들이 있을텐데 그 부분을 난 내 책으로 예측했다.


셰어하우스는 그렇게 이동하는 과정에서 초창기 역할을 크게 할 것이다. 이미 외국에서는 나름 보급된 개념이기도 하다. 한국도 갈수록 이런 거주 유형이 좀 더 늘어날 것이다. 아직까지 이들이 혼자 거주하기에는 보증금 문제가 있으나 점차적으로 한국도 보증금이 적어지는 대신에 신용을 보고 임차인을 늘리는 쪽으로 갈 가능성이 있다. 이 책에서는 셰어하우스를 운영하는 방벙이나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인테리어 방법을 사진과 함께 설명하고 있다.


거기에 셰어하우스를 반지하로 시작했다는 것이 꽤 신선했다. 남들은 기피하는 반지하를 셰어하우스로 만들어 수익률을 올린다. 입지가 좋은 곳으로 한다는 점이 중요해도 일반인들과는 다른 역발상으로 성공했다. 기술이 발달해서 반지하도 충분히 나쁜 점을 해결하면 된다. 사실 셰어하우스를 월세라는 개념으로 다시 바라보니 다른 것들이 보였다. 임차인이 변경될 때 내부를 다시 꾸미고 셰어하우스로 해볼까하는 뜬금없는 생각도 해보고.


까칠한 핑크팬더의 한 마디 : 인테리어 내용이 상당히 많음

친절한 핑크팬더의 한 마디 : 셰어하우스를 알아보자.


함께 읽을 책

http://blog.naver.com/ljb1202/221029862549

셰어 하우스 부자들 - 공유경제


http://blog.naver.com/ljb1202/220979749835

공간의 가치 - 부동산


http://blog.naver.com/ljb1202/220798375209

청년, 난민 되다 - 아시아 청년 주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