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인간 -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 오에 겐자부로의 50년 독서와 인생
오에 겐자부로 지음, 정수윤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15년 7월
평점 :
절판



노벨 문학상을 받은 작가가 독서에 대해 이야기를 한다고 하니 관심이 갈 수밖에 없다. 어떻게 읽었을지 궁금하고 어떤 이야기를 들려줄 지 궁금했다. 책은 독서와 인생을 함께 이야기한다. 거기에 작가인 오에 겐자부로가 쓴 책도 함게 곁들여서. 세가지가 따로 구분되는 것이 아닌 인생 전체에 걸쳐 서로 엮여 있다. 인생을  살아가며 책을 읽고 책은 나 자신에게 영향을 주고 그걸 근거로 또 작가는 새로운 책을 쓰면서 말이다.


책을 읽으면 밥이 나오냐는 말을 한다. 책을 읽는다고 뭐가 달라지냐는 말도 한다. 실천이 더 중요하다는 이야기를 하려는 의도다. 책을 읽으면 달라진다. 사람은 책을 읽어 변한다. 책은 알게 모르게 자신도 모르게 변화된 모습을 보게 만든다. 개인적으로 책에 관련되어 어쩌구 저쩌구 하는 사람의 이야기를 들으면 그에게 되묻고 싶다. 그런 이야기를 할 정도로 책을 읽으셨냐고 말이다. 당신 주변에 책을 읽는 사람이 어느 정도 독서를 하기에 그런 말을 하느냐.


대체적으로 그런 이야기를 하는 사람은 책을 거의 읽지 않을 뿐더러 주변에 책 읽는 사람도 거의 없다. 아마도 주변에 책을 읽으면서 움직이지 않는 사람을 본 것이 아닐까싶다. 독서란 한 달에 몇 권을 해야 하느냐는 정해진 룰은 없다. 단 한 권을 읽어도 된다. 다만 양이 질을 능가한다고 많이 읽은 사람이 좀 더 이해의 폭이 넓고 변화할 가능성이 더 크다. 딱 한 권의 책을 읽고 변한 사람은 얼마 가지 못해 원래대로 돌아가는 경우가 많다.


독서라는 세계에 빠지면 헤어나오지 못하는 것이 사실 맞다. 내가 경험하지 못한 무수한 세계가 펼쳐진다. 전혀 생각지도 못한 지식이 그 안에 있다. 단 한 번도 상상조차 못한 것들이 펼쳐진다. 책을 읽지 않았다면 그런 세계가 있을 것이라고는 꿈도 꾸지 못한다. 그런 과정을 거치며 사고의 폭이 넓어지고 세상을 바라보는 시선이 달라진다. 자신도 모르게 움직여야 한다는 자각도 한다. 이런 단계를 거치지 못한 사람이 책이 어쩌구 저쩌구 한다.


최근에 SNS가 발달하며 예전보다 사람들은 더 많은 글을 읽는다. 비록 단문 위주의 글이라 하더라도 10년 전과는 비교도 할 수 없을 정도로 사람들은 글을 읽는다. 제대로 된 정보인지 상상인지 여부가 중요하다. 카더라 이야기가 난무하다. 편협한 사고를 가진 사람도 참 많이 보인다. 그들의 글을 읽으며 - 아주 짧은 한 토막 - 어떻게 저런 생각을 갖고 있을까 궁금할 때도 있다. 그가 쓴 글은 지식과 정보가 아닌 믿음일 때도 참 많다.

아쉽게도 자기들끼리 확대재생산하며 제대로 된 정보와 지식은 전혀 전달되지 않는 걸 많이 목격한다. 그런 글을 읽을 때 나도 믿음의 영역일 수 있다는 점을 고백하지만 그래도 될 수 있는 객관적인 균형감을 유지하려 노력한다. 이는 전적으로 독서로 가능하다. 나와 다른 지점의 이야기도 들어야 한다. 이를 차분하게 논리적으로 풀어놓은 책보다 좋은 것은 없다. 한 두 줄짜리 글이 아닌 책은 최소한 200페이지나 되는 분량을 채워야 한다. 이를 위해 논리적으로 상대방을 설득해야 한다.


이처럼 책은 우리에게 수많은 정보를 전달한다. 쓰다보니 논점이 엉뚱하게 샜다. 이 책의 작가는 소설가다. 신기하게도 소설을 주로 읽는 분들은 이런 책을 펴 낼 때 어김없이 특정 작가에 대해 길게 설명하고 자신에게 미친 영향력을 설명한다. 그와 함께 아주 디테일하고 조목조목 분석하는 식으로 해당 작가의 책을 설명한다. 한 마디로 심하게 표현해서 단 하나의 문구를 갖고 이리 보고 저리 보면서 다양한 각도로 자신의 생각을 설명한다.


그런 걸 볼 때 작가는 아무나 되는 것이 아닌가하는 생각도 한다. 그렇게 집요하게 물고 늘어지며 다양한 생각으로 접근하는 걸 보면 감히 나는 꿈도 꾸지 못할 듯하다. 작가는 아이가 장애가 있었다. 이로 인해 느끼는 다양한 감정을 당시에 읽었던 책으로 깨닫고 또 다시 이를 소설로 풀어냈다. 작가에게는 모든 것이 소재이고 책 내용이다. 자신에게 벌어진 일들이 어떤 방식으로든 작품에서 드러나는 경우가 참 많다. 그러니 작가들 앞에서는 조심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도.


작가들은 기억력도 좋아 아주 어릴 적 이야기도 많이 작품으로 소개된다. 어떻게 어릴 적 이야기를 그렇게 디테일하게 기억하는지 그저 신기할 뿐이다. 물론, 기억은 왜곡되기 마련이라 본인 스스로 썼던 내용은 픽션이라는 이름으로 가공되고 스스로 믿으며 살아갈 수도 있다. 누구도 과거를 돌아갈 수 없으니 말이다. 한편으로 이렇게 다양한 경험을 갖고 있으니 작가가 된 것일까라는 생각도 든다. 또는 누구나 이런 경험이 있는데 이를 글로 풀어내지 못했을 뿐이라고도 생각되고.


<읽는 인간>은 내용이 다소 어렵다. 쉽고 편하게 담소를 즐기는 내용은 아니다. 어려운 책이 다소 포함되고 이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저절로 어렵게 표현된 것들도 있다. 작가 자신이 워낙 진중해 그런 것도 있는 듯하다. 작가에게 현실과 작품속 세계는 구분이 애매하게도 느껴진다. 현실 속 이야기가 작품 속 세계로 투영되어 사람들에게 전달되니 말이다. 현실에 발을 딛고 사는 인간이기에 자연스러운 전이라고도 생각되지만. 생각보다는 다소 별로였지만 - 아마 어렵게 써서 - 읽을만 했다.


까칠한 핑크팬더의 한 마디 : 제목과는 다소 내용이.

친절한 핑크팬더의 한 마디 : 작가의 삶과 독서


함께 읽을 책

http://blog.naver.com/ljb1202/220792597049

텍스트의 포도밭 - 읽기


http://blog.naver.com/ljb1202/186881953

왜 책을 읽는가 - 좋아서


http://blog.naver.com/ljb1202/175774992

밤의 도서관 - 책이 있는 곳이 도서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