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월한 사유의 시선 - 우리가 꿈꾸는 시대를 위한 철학의 힘
최진석 지음 / 21세기북스 / 2017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철학은 어렵다. 이런 이미지가 있다. 철학이 쉽다고 하는 사람은 없다. 먹고 사는 것도 다 철학이라는 말을 하는 걸 보면 어려운 것이 맞다. 먹고 사는 것이 쉬운 사람은 없다. 이건 어디까지나 돈을 많이 번다는 것과도 완전히 다른 개념이다. 철학은 한국에서 철학관이 떠오르기도 한다. 내 미래가 무엇이냐, 내가 어떻게 될 것이냐. 이런 질문도 참 좋다. 나쁠 것은 없는데 중요한 것은 질문 자체는 너무 좋은데 질문에 대한 답을 자신이 찾는 것이 아닌 타인에게 의지한다.


이런 별 것 아닌 개념이 한국에서 철학이 제대로 체계를 잡지 못한 이유다. 철학 부재가 비극이기도 하지 않을까. 철학은 철저히 자신이 생각하고 행동하는 바탕이 되어야 하는데 타인에게 의지한다. 자꾸 남 탓을 하게 된다. 무엇을 하는데 자신이 내린 판단이 아닌 알수 없는 미지의 것을 의지하는 것이다. 이런 표현은 좀 과하다 할 수 있지만 한국인의 중심에 흐르는 정서를 알 수 있게 해 준다. 철학이란 무엇인가를 생각하는 것이다.


우리는 철학이란 무엇인가 딱딱하고 어렵고 고리타분한 것으로 받아들인다. 플라톤, 소크라테스, 공자, 장자 등. 이런 위인들의 이야기를 듣는다. 책을 읽는다. 그런 후에 그들이 한 이야기를 이해하려 노력한다. 그런 후에 자세한 내용을 하나씩 풀어내며 그 뜻을 안다. 그리고선 깨닫는다. 세상을 다르게 본다. 아마도 철학을 배우는 이유는 그런 것이 아닐까. 자꾸 철학이 어려운 이유가 과거에 했던 걸 읽으려 하니 그렇다. 현대와 다른 용어라 더욱 힘들다.


이렇게 과거의 글을 읽고 이해하려하니 고리타분하고 힘들다. 정작 철학은 플라톤의 내용을 이해하는 것이 아니다. 생각해보면 어느 누구도 다른 사람의 생각과 마음을 읽을 수 없다. 최대한 노력해도 완벽하게 파악하기 힘들다. 대체적으로 그럴 것이라 판단하고 유추하는데 그친다. 철학을 공부한다는 것은 맹자에 대해 완벽하게 알았다는 뜻이 아니다. 맹자에 대해 아무 것도 몰라도 된다. 그보다는 위인이 했던 단 한마디의 철학이라도 그걸 내 입장에서 세상을 바라보느냐다.


여기서 핵심은 내 입장이다. 플라톤의 입장과 공자의 입장이 아니다. 그들이 한 설명을 듣고 내가 바라본 세상이다. 아무리 플라톤의 입장에서 세상을 바라본다고 해도 나는 플라톤이 아니다. 내가 살고 있는 시대도 플라톤과 다르다. 최근 유명한 철학자가 하는 이야기에 감탄해도 그가 살아가는 세상과 내가 살아가는 세상은 똑같아도 각자 살아가는 방식은 다르다. 거기에 처한 환경과 상황도 다르고 지금까지 자라온 배경도 다르다. 이런 실정에 누군가의 입장에 맞는 세상 바라보기는 중요하지 않다.


중요한 것은 내가 바라보는 세상이다. 세상에 대한 정의를 내리는 것은 나다. 잘못 오독하거나 지나친 편견에 사로잡혀 세상을 잘 못 바라볼 수도 있는 문제는 있다. 그렇기에 세상을 바라보는 내 시선을 제대로 정립하고 올바로 서기 위해 끊임없이 공부하고 읽고 생각하며 생각의 확장하고 어제는 몰랐던 것을 오늘은 알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독서다. 이 중심에는 철학자와 그들의 사상이 있는 것이 아닌 내가 있다. 내가 바라보는 시선을 갖기 위해 철학을 공부하는 것이지 플라톤을 배우기 위해 공부하는 것이 아니다.

개인의 차원에서 철학이 부재하다보니 국가 차원의 철학도 부재하다. 아무리 시스템이 어쩌구 저쩌구를 외쳐도 국가 철학이 없으니 늘 같은 패턴이 반복된다. 지금까지 한국은 늘 패스트 팔러워였다. 늘 따라가는 입장이지 먼저 앞서는 입장이 선 적이 없다. 단 한 번도 어젠다를 선정해서 치고 나간 적이 없다. 최근 유행하는 4차 산업 혁명 - 개인적으로 이거 그다지 와닿지 않고 별로지만 - 도 한국에서 논의 된 것이 아닌 외국에서 들여온 개념이다. 어느 누구도 4차 산업 혁명에 대해 언급하지 않다 누군가 이걸 네이밍한 후 개념으로 정립해서 퍼뜨리자 한국에서도 난리인데 정작 외국도 그런가라는 의구심은 있다.


한국만이 갖고 있는 시선이 있어야 한다. 이 부분에 대해 책과 다소 달리 내가 생각한다. 큰 틀은 동의한다. 먼저 한국이 중진국이라고 하는데 무엇보다 선진국과 중진국의 함의부터 정확히 해야 하지 않을까. 선진국이 무엇인지 너무 추상적이다. 한국은 G20에 들어가는 국가다. 이 정도면 선진국 아닌가. 미국, 영국, 일본 등이 선진국이고 그에 따라 자신만의 시선으로 세상에 강력한 문화 등을 전파한 것은 맞다. 중국은 그렇다고 하기에는 아직 아니다. 과거엔 그런 적이 있다. 이 부분은 두루뭉실하게 중국도 그렇다고 하는 것은 현재 맞지 않다.


어찌 되었든 지금 이 순간은 중국보다 한국이 훨씬 잘 살고 있다. 또한 대부분 선진국으로 전 세계적인 영향을 갖고 선도한 국가들은 꽤 인구가 많다. 그런 점에 대해 개념 설명없이 무조건 이야기하는 것은 다소 억지스럽다. 다른 국가에 비해 한국은 전략은 소홀히 하고 전술에만 치중하니 큰 그림을 그리지 못한다는 점도 동의한다. 늘 단기간 성과에만 치중하는 점도 아직까지 한국은 해 보지 못한 걸 먼저 한 적이 없어 그렇다. 이런 부분에서 타인 의지가 드러난다. 


남이 아닌 나 자신부터 출발해야 하는 이유다. 내가 무엇을 할 때 타인의 시선을 의식하니 자꾸 하지 못한다. 내가 만족하는 것이 아닌 남들이 볼 때 창피하지 않은 모습. 스스로 부끄럽지 않은 모습이 아니라 말이다. 남에게 왜 그러냐고 하며 자신은 그러고 있는 모습. 이런 것들이 굳이 이야기하면 각자 철학의 부재다. 철학을 배우는 이유는 나로써 살아가기 위함이다. 이런 중요한 개념을 모르니 자꾸 인문학이 어쩌구 저쩌구 하면서 성공하기 위해 배우려고 한다. 이러니 정작 중요한 것은 놓치고 단기 속성으로 철학마저 접근한다. '아는 것이 힘이다'를 이야기한 사람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것이 내 삶에 어떤 적용이 되고 어떻게 할 것인지 고민하고 실천하는 것이 철학의 핵심이다.


성현들의 가르침을 배울 필요는 없다. 자신이 주체적으로 살아가면 된다. 내가 고민하는 걸 먼저 고민한 성현의 가르침을 읽는 것이지만 그렇다고 내 고민이 다른 것은 아니다. 어디까지나 그 고민은 성현의 고민과 해답이지 내 고민과 해답이 아니다. 현대는 과거보다 더 복잡하고 다르기에 나는 나만의 질문과 대답을 찾아야 한다. 이런 사유끝에 나온 시선으로 세상을 바라보고 실천하느냐가 핵심이다. 이 책 <탁월한 사유의 시선> 저자인 최진석이 주장하는 바 아닐까. 라고 썼지만 정확하게는 내가 읽고 생각한 바다. 내 생각인지 최진석의 생각인지 모른다. 이렇기에 또 다시 다른 책을 읽으며 나만의 생각을 찾아간다.


까칠한 핑크팬더의 한 마디 : 철학이 아닌 경제는 개념 정리를 해야 하지 않을까.

친절한 핑크팬더의 한 마디 : 내 삶의 중심을 찾기위한 사유.


함께 읽을 책

http://blog.naver.com/ljb1202/220694170689

사피엔스 - 인지능력


http://blog.naver.com/ljb1202/220412554632

우리는 어떻게 여기까지 왔을까 - 벌새효과


http://blog.naver.com/ljb1202/220118580306

생각의 시대 - 로고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