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 상식에 딴지걸다 - 지적인 사람은 절대 참을 수 없는, 황당하고 뻔뻔한 역사의 착각
안드레아 배럼 지음, 장은재 옮김 / 라의눈 / 2015년 8월
평점 :
절판



책 제목이 좀 도발적이다. 상식에 딴지를 건다는 표현이 있어 내가 알고 있는 내용 중 잘못된 것을 정정해준다고 생각했다. 읽어보니 상식보다 역사라고 표현하는 것이 정확하다. 역사는 상식인가라는 의문이 떠오른다. 내가 알고 있는 역사지식은 누군가 알려준 정보를 바탕으로 알고 있다. 나만 알고 있는 것이 아니라 대다수가 인지하는 내용이라면 상식이 맞다. 나만 알고 있으면 지식일까. 그건 현대에서 정보에 가깝지 않을까.


각설하고 지금까지 너무 당연히 알고 있는 많은 상식이 잘 못 되었다는 걸 알려주는 책이다. 한 편으로는 이 책에서 알려주는 내용이 올바른 것일까라는 의문도 든다. 잘못되었다고 알려준다. 지금까지 그렇게 알고 있었다. 분명히 그걸 역사로 알고있었지만 터무니 없는 내용인데도 난 그렇게 알았다. 한국도 아닌 다른 국가의 역사니 그 국가에서도 내가 알고 있는 내용으로 알지 않을까. 오랜 시간동안 믿고 있는 내용이 갑자기 뒤집힌다. 이러니 진실과 사실은 늘 시대에 따라 달라지기도 한다.


책에 나온 내용이 꼭 알아야 할 것은 아니다. 그걸 안다고 인생이 더 윤택해는 건 아니다. 삶이 풍성해 질 수는 있다. 상식이 그렇다. 돈이 되진 않아도 살아가는 재미를 올려준다. 그런 것들이 모여 힘든 현실을 잠시 잊게도 만들어준다. 인문을 외치는 이유 중 하나인데 자꾸 돈과 연관시키고 자기계발식으로 접근하는 거 자체가 좀 아쉽다. 그걸 돈으로 만든 위대한 사람이 있지만 어려우니 위대한 거다. 난 그렇지 못해서.


정말 소소하고 살아가는 데 하등 지장없는 잘못된 상식은 다음과 같다.


바이킹은 뿔 달린 투구를 썼을까?

노예들이 이집트의 피라미드를 건설했다?

콜로세움에서 기독교도들이 사자에게 던져졌다?

아서 왕에게는 원탁이 있었다?

클레오파트라는 굉장한 미인이었다?

300명의 스파르타 병사가 페르시아 대군을 물리쳤다?

로빈 후드는 셔우드 숲에서 살았다?

피라미드의 저주가 왜곡되었다는 건 이미 익히 알려졌다. 이처럼 피라미드 건설한 사람들은 노예가 채찍을 맞아가며 건설했을 것이라 알고 있었다. 책에서는 전혀 그렇지 않다고 한다. 히브리인이라는 주장도 있지만 이집트 탈출한 년도를 볼 때 그건 아니다. 당시 노예 숫자가 많지도 않았고 노예도 거의 외국인 포로라 적었다. 대다수가 평민이었고 오히려 숙련된 기술자들로 대접받고 풍족하게 살았다고 알려준다. 심지어 자재부족으로 파업까지 했단다.


원탁의 기사 아서왕같은 경우도 전설이지만 실제 생존 인물로 알려져 있지만 아서왕은 아예 없었다고 한다. 6세기 브리튼 왕국에 아서왕은 어떤 기록에도 존재하지 않고 어디서부터 시작했는지도 정확한 단서도 없다고 한다. 평등을 뜻하는 원탁마저도 12세기에 추가된 내용이라고 한다. 현재 존재하는 원탁에도 후대인 튜더 가의 장미가 추가될 정도로 우리가 알고 있는 원탁의 기사와 아서왕은 그저 멋진 전설.


영화로도 유명한 300! 스파르타 병사 300명이 페르시아 대군에 맞서 싸웠다는 놀라운 내용이다. 19세기 스코틀랜드 시인 조지 바이런이 테르모필레에서 전사한 300인의 스파르타 병사를 기리는 시를 썼다. 이 덕분에 300명이 전설이 되었다. 실제 인원은 당시 여러 사료를 볼 때 대략 6,000~7,000명이 페르시아 군에 맞서 싸우다 전사한 것으로 보인다. 숫자 차이가 너무 거대하다.


여러 인물이 떠오르지만 로빈 후드는 허구의 인물이고 셔우드 숲에도 살지 않았다. 19세기 작가 월터 스코트가 1819년에 출간된 소설 <아이반호우>에서 셔우드 숲의 로빈 후드라는 표현 이후에 사람들이 믿게 되었다. 비슷한 윌리엄 텔이 아들 머리 위에 사과를 쏜 이야기는 당시 스위스 어떤 아이도 머리 위에 사과를 놓은 적도 없다. 그저 15세기 스위스 지역에 존재했던 세계적 전설이라고 쉴러의 희곡 <윌리엄 텔>의 1804년 판에 써져있다.


끝으로 나폴레옹이 키가 작았다는 건 이미 익히 알려진 사실이다. 키가 작아도 서양인답지 않게 엄청 작다고 알려졌다. 157.5cm로 알려질 정도로 작았다. 나폴레옹이 작긴 했지만 평균보다 정도였다. 실제 키가 약 167.6cm였는데 이는 당시 평균보다 살짝 큰 키라한다. 영국 단위 기준과 프랑스 단위 기준이 달라 환산 과정에 이런 오차가 발생했다. 어쩐지 아무리 그래도 나폴레옹 키가 너무 작다고 생각했는데 의문이 해결되었다.


<인문학, 상식에 딴지걸다>는 이런 저런 어떻게 보면 쓸데없는 상식이 넓어진다. 알아도 딱히, 몰라도 딱히 살아가는데 전혀 지장없는. 그래도 알아두면 어디가서 아는 체하며 잘못된 상식이라 정정해주는 잘난체 정도는 하는데 도움주는 책이다. 잘난 체 하고 싶으면 읽어보는 것도 좋다.


까칠한 핑크팬더의 한 마디 : 소소한 상식의 나열

친절한 핑크팬더의 한 마디 : 상식을 바로잡자


함께 읽을 책

http://blog.naver.com/ljb1202/97286113

엽기 세계사


http://blog.naver.com/ljb1202/138513290

세계사를 움직이는 다섯가지 힘 - 욕망,모더니즘,제국주의,몬스터,종교


http://blog.naver.com/ljb1202/207495962

스캔들 세계사 - 흥미로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