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개의 키워드로 읽는 자본주의 이야기 - 산업혁명에서 피케티까지 50개의 키워드로 읽는 시리즈
김민주 지음 / 미래의창 / 2015년 6월
평점 :
품절



우리는 현재 자본주의 사회에 살고 있다. 자본주의 라는 단어 자체가 재미있게도 자본주의하에서 가장 이익을 보고 있는 부르주아가 한 이야기가 아니라 마르크스쪽에서 한 이야기다. 부르주아라고 불리는 보수파들은 자본주의라는 단어보다 시장경제라는 단어를 선호한다. 자본주의가 약간 부정적인 이미지가 있어 그렇다. 무엇이라 부르든 현재 우는 자본주의하에서 살고 있고 나는 앞으로도 자본주의는 사라지지 않을 것이라고 본다. 인간의 본성이 변하지 않는한.


<50개 키워드로 읽는 자본주의 이야기>는 자본주의와 관련되어 있는 다양한 이야기를 알려준다. 자본주의 역사에서 중요한 인물이나 사건등에 대해 알려주고 있어 자본주의 만물사전이라고 해도 될 듯 하다. 총 다섯가지 섹터로 구성되어 있다. 자본주의의 특성, 자본주의의 주요 이슈, 자본주의를 만든 혁명, 자본주의를 만든 핵심 산업, 자본부의를 만든 인물. 전체적으로 자본주의와 관련된 것을 묶어 알려주는 것은 좋은데 내용이 단편식으로 되어 있어 전체적인 체계를 잡는 것은 좀 아쉽다.


자본주의는 사유재산 제도가 핵심으로 인간의 욕망중 소유욕을 만족시킨다. 이론적으로 무한대로 소유욕을 가진만큼 소유할 수 있다. 인간의 욕심이란 끝이 없다는 점에서 이보다 더 좋은 제도는 없다. 개인이 모든 제품과 서비스를 거래할 수 없어 기업을 만들었다. 기업은 인간의 소유욕을 더욱 만족시킨다. 이들을 위해 완전 개방시장을 주장하지만 현실에서 무한한 소유욕을 가진 개인을 억제할 필요와 도태되는 자를 위해 정부가 적절한 수준에서 규제등으로 관리해야 한다. 


자본주의가 발달하는데 대량생산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포드사는 자동화 기능으로 더 많은 대량화가 가능하며 일정 부품만 단순 조립하는 사람이면 충분하게 되었지만 현대에 와서 복잡다단해지며 절충되고 있다. 수요와 공급에 따라 가격은 결정되지만 어느 쪽이 좀 더 잉여가 생기느냐에 따라 이득을 취하는데 대체적으로 자본자와 투자자들이 잉여를 취해 이득을 갖는다. 기업을 더욱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경영에 대한 이론적인 부분이 발달하며 자본주의는 더욱 발달한다.


자본주의는 필연적으로 버블을 발생시키고 이에 따라 불황이 오는 경기순환을 갖는다. 사회가 발달하며 1,2,3차 산업이 차례대로 발전한다. 대체적으로 잘 사는 나라들은 3차 산업이 발달했지만 금융위기 이후에 2차 산업을 잘 갖고 있는 나라가 덜 흔들렸다. 기업은 더 많은 이득을 위해 독점을 원하고 이로 얻은 부가 일정계층에 편중되어 노동자들은 노동조합을 통해 자신의 권리를 주장한다. 대안으로 협동조합이 생겨 상생을 모색하고 있다.


기술이 발달하며 지리혁명, 교통혁명, 통신혁명이 생기며 지구는 단일 경제처럼 움직이게 되었다. 이런 세계화는 각 국가가 서로 무역을 하며 같은 공동체 안에 경제활동을 하게 만들었다. 이로 인해 더 많은 이득을 취하려 이미 산업화를 통해 제품 판매와 자원 필요성을 느낀 나라들이 제국으로 변모한다. 초창기 동인도회사등으로 유럽에서 아시아등으로 이득을 얻은 회사들이 있었고 이해관계가 달라지며 강대국끼리 전쟁까지 벌인다. 


지식 독점을 해체한 활판 인쇄는 다수의 사람에게 동등한 지적 지위를 부여했다. 더 많은 자원을 원한 해양국가들이 대항해시대를 연다. 이에 맞춰 신에 종속된 인간들은 종교혁명을 통해 부 축적하기 위해 노력하는 걸 자연스럽게 인정한다. 늘어난 인구는 농업의 기계화와 자동화등으로 식량이 공급된다. 자급자족하던 인류는 무역이 발달하며 중상주의로 자국의 이익을 증대하기 위해 노력한다. 시계와 더불어 체계적으로 정확한 시간으로 표준화가 이뤄지고 전 세계적으로 경도 15도씩 시간을 설정하게 된다.


자본주의는 영국의 산업혁명이 출발점이다. 대량생산, 대량 소비가 이뤄지며 폭발적으로 인구는 증가했고 비관적인 예측과 달리 인류는 의학과 위생학의 발달, 식량 생산성 증대로 평균 수명이 함께 늘어나게 된다. 인류는 교통이 발달하며 이제 전 세계는 하루 생활권으로 변모했다. 에너지가 개발되며 석탄을 넘어 석유로 에너지공급이 되며 각종 기계를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이에 어느 곳에서나 어떤 정보도 얻을 수 있는 정보혁명은 현대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이 되었다.


최초의 대량생산은 면직산업이었다. 그 후 증기기관이 나오며 교통수단의 발달을 촉발시켰으며 보다 강력한 철강산업이 발달하며 인류는 과거와 달리 내구성 강한 물질로 제품을 만들게 되었다. 강한 움직임에도 튼튼한 강철로 만든 철도는 수송물자의 획기적인 이동수단이 되었다. 이 모든 발달은 궁극적으로 전기로 꽃을 발한다. 우리 실생활에 쓰는 거의 대부분이 전기로 작동하게 되었다. 대량생산과 대량 소비로 인해 백화점과 같은 소비를 더욱 충족시키는 장소뿐만 아니라 럭셔리 상품까지 발달하며 인간의 욕망을 충족시켜 준다.


현재 자본주의를 발달시킨 원동력중에 하나는 특허이다. 자신만 갖고 있는 것을 보호받고 이익을 취할 수 있다는 것은 엄청난 욕망을 자극한다. 자본주의가 발달하며 유대인이 지배하는 세상이라 표현한다. 자본주의의 핵심인 자본을 쥐고 흔들고 있는 민족이라 여기는데 정확한 진실은 모른다. 자본주의 이론 토대는 애덤 스미스의 <국부론>이다. 카를 마르크스의 <자본론>은 역설적으로 자본주의를 더욱 풍성하게 발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존 메이너드 케인스를 통해 자본주의의 부족한 부분을 채우는 역할을 했다. 


<50개 키워드로 읽는 자본주의 이야기> 책에 나온 내용을 간략하게 엑기스만 뽑아 썼다. 생략한 부분도 있는데 대략적으로 자본주의는 단순히 자본관점에서 볼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복합적이다. 자본을 근거로 인간의 욕망과 결부되어 전방위적인 인류역사에 기여를 했다. 지금 자본주의가 특정 계층에 자본이 집중되는 부작용도 생겼지만 인류를 지금까지 그래왔듯이 계속해서 진화하고 발전하고 발달하며 과거와는 다른 세상을 펼쳐질 것이라 본다.



까칠한 핑크팬더의 한 마디 : 자본주의에 대한 체계적인 이야기는 아니다.

친절한 핑크팬더의 한 마디 : 자본주의에 대해 이모저모를 알게 된다.


함께 읽으면 좋을 책

http://blog.naver.com/ljb1202/153318422

부자나라는 어떻게 부자가 되었고 가난한 나라는 왜 여전히 가난한가
부자나라는 어떻게 부자가 되었고 가난한 나라는 왜 여전히 가난한가 작가 에릭 라이너트 출판 부키 발매 2012.01.13 ...
blog.naver.com
본문으로 이동

http://blog.naver.com/ljb1202/170886364

경제를 읽는 기술 HIT - 경제는 미스터리
경제를 읽는 기술 HIT 작가 고영성 출판 스마트북스 발매 2011.10.10 리뷰보기 경제는 미스터리와 퍼즐에서 미스터리라는 이...
blog.naver.com
본문으로 이동


http://blog.naver.com/ljb1202/220370975528

그림속 경제학 - 미술 작품으로 경제를 배우다
그림 속 경제학 작가 문소영 출판 이다미디어 발매 2014.06.26 리뷰보기 당신이 현재 보고 있는 모든 것은 ...
blog.naver.com
본문으로 이동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