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문장의 두려움을 없애라 - 당신을 위한 글쓰기 레시피
김민영 지음 / 청림출판 / 2011년 5월
평점 :
품절


나처럼 거꾸로 하는 사람이 있을까. 보통 글을 쓰기 위해 관련 책을 읽은 후에 참고하여 글을 쓴다. 지금까지 벌써 4권이나 되는 책을 펴 냈는데 이제서야 글쓰기와 책쓰기 책을 읽고 있다. 그것도 아주 많이. 이쪽 분야에 관심이 있어 읽는 것도 있지만 한 단계 발전 된 글쓰기를 통해 보다 좋은 책을 쓰고 싶은 욕망이 관련 책을 읽게 만드는 듯 하다. 늘 부족한 것을 깨닫고 노력하는 것이니 분명히 좋은 것이라 판단한다.

 

글쓰기 책들은 글쓰기를 독려하거나 글쓰기에 대한 기술적인 부분을 언급한다. 어떤 책을 읽든 글쓰기에 관심이 있고 보다 좋은 글을 쓰려는 사람에게는 도움이 된다. 단 하나라도 얻을 것이 있다. 덕분에 내 글이 훨씬 좋아질 것이라 믿는다. 언제 좋아질지 확실하지 않지만. 지금까지 글쓰기를 전문적으로 공부하고 배워 가르치는 사람이 아닌 우연히 글쓰기를 직업으로 하게 된 사람의 책이었다. 내 출신이 그래서 더 공감이 갔는지도 모르겠다.

 

이 책의 저자인 김민영시는 스윗도넛이라는 닉네임으로 유명하다고 한다. 글쓰기와는 전혀 상관없는 인생을 살다 어느 순간 모든 것을 다 포기하고 글쓰기를 전업으로 하고 있다. 기자도 하고 영화평론가도 책 리뷰도 하며 여러 가지 글을 쓴 후에 지금은 글쓰기 강의까지 하고 있다. 생활비도 힘든 시절이 있었지만 그 모든 고난을 이겨내고 지금은 생활비를 글을 쓰고 글쓰기 강의를 하며 벌 수 있게 되었다고 하니 성공했다고 할 수 있다.

 

글쓰기를 독려하는 책으로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글쓰기 강의를 하며 코칭할 때 학생들이 주로 어려워하는 부분에 대해 책을 통해 정확하게 예문을 통해 알려주고 훈련할 수 있게 만들어 '첫 문장의 두려움을 없애라' 책을 교재 삼아 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각 장에서 주요 부분을 알려주고 내용을 근거로 독자가 직접 글을 쓸 수 있게 장 끝에 공란과 함께 글쓰는 훈련을 할 수 있다. 비록 나는 읽는데 집중하며 넘어갔지만 글쓰기 훈련을 원하는 사람은 하면 좋을 것이라 본다.

 

나도 지금 블로그 글쓰기를 블로그에 쓰고 있는 중인데 책을 읽다보니 표현하는 방법은 다소 다를지라도 내용은 같다고 느꼈다. 책의 제목이 '첫 문장의 두려움을 없애라'이다. 글을 쓰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앉아 무엇이든지 쓰는 거다. 그 이상은 없다. 아무리 거지발싸게같은 글이라고 해도 일단 쓰면 된다. 처음부터 뛰어다니는 아기는 없는 것과 마찬가지다. 뒤집기부터 해야 기어다니고 걸어다니고 뛰어 다닐 수 있다. 아주 단순하다.

창피해야 할 이유가 없다. 남을 의식하지 말고 써야 한다고 하는 이유다. 글쓰기를 독려하는 내용은 내가 쓴 글보다는 보다 친근감있게 써져 있다. 그래도 어떤 글을 쓸 것인지 글을 어떻게 풀어낼 것인지 좋은 글이란 어떤 것인지 알려주는 내용은 확실히 글쓰기 코칭을 하는 사람답게 글을 처음 쓰려는 사람이나 글을 쓰는데 어려움을 겪는 사람에게 도움이 될 듯 하다. 신기하게도 전공이 아닌 사람에게 전공자가 와서 교육도 받는다.

 

전공을 한 사람이 논술교사도 하는데 본인의 글을 잘 쓰지 못해 글쓰기 수업에 듣는다는 이야기는 개인적으로 참 신기했다. 그 이유는 자신의 눈이 워낙 높아 글을 쓰는 것에 어려움을 호소한다고 하니 나로써는 또 다른 세계로 느껴졌다. 글쓰기에 대한 눈높이가 워낙 낮다. 나는 사람들이 참 좋은 글이라고 하는 글과 책을 읽어도 전혀 모르겠다. 묘사가 많은 글은 좋은 글인지 설명을 잘 하는 글이 좋은 글인지 여부를 난 모르겠다. 

 

책에는 학생들이 쓴 글을 갖고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알려준다. 저자가 직접 자신의 판단에 따라 고쳐주는데 동의하는 부분도 있고 동의하지 않는 부분도 있다. 재미있는 것은 그냥 읽으면 읽겠는데 저자가 첨삭을 위해 제시한 글이라 나도 모르게 저절로 눈여겨 보니 고쳐야 할 부분이 보였다. 글이 너무 길다든지 단어 중복이 이어진다든지 글이 매끄럽게 연결되지 않는 것이 보였다. 그런 것을 보니 나도 충분히 첨삭이 가능하겠다는 판단이 들었다. 실제로 책의 저자가 쓴 글 중에 프롤롤그를 쓰보니 쉼표가 너무 많이 들어간다. 느낌표도 그렇고. 이런 식으로 사람마다 각자의 글쓰는 형식은 다들 다르다.

 

감히 이런 생각을 한다는 것이 교만한 것이 아닌가하는 우려도 들지만 신경써서 읽어보니 보였다. 블로그에 올라온 글을 보고 첨삭도 가능하겠다는 판단이 들었다. 책에서는 리뷰를 쓰는 방법에 대해서도 교육을 한다고 하는데 내 리뷰는 정통적인 리뷰는 아닐지라도 내가 제일 자신있는 분야이니 책쓰기 강의를 하기 전에 가볍게 워밍업으로 책리뷰 쓰는 방법에 대한 강의를 해 볼까하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을 읽어보니 나도 충분히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인지 자만인지가 생겼다. 글쓰기 강의가 대단히 거창하고 전문가가 해야 하는 영역이라 봤는데 책을 읽어보니 나도 전문가정도는 못해도 얼마든지 이제 막 시작하려는 사람들에게 도움주는 정도는 할 수 있을 것 같다. 한 번 고민하고 내년 년초에 이벤트로 하는 것도 재미있을 듯 하다. 리뷰에 이런 내용을 쓰는 것 자체가 잘못된 것인데 가능할지 모르겠다. 제대로 된 리뷰쓰는 것을 모르는 바는 아니니.

 

글쓰기에 대한 책에서 알려주는 방법이 더 어렵게 느껴지기도 한다. 책에서 알려주는 내용을 거의 의식하지 않고 쓰고 있는데 팁이나 방법을 의식하며 쓰면 글이 더 힘들지 않을까 우려도 된다. 그저 짧은 문장으로 쓰도록 하고 쓸때마다 더 잘쓰려고 노력하며 꾸준히 글을 쓰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글쓰기 책을 수 백권 읽는 것보다 수 백편의 글을 쓰는 것이 훨씬 더 좋다. 난 그렇게 글을 썼기에 늘었고 책까지 펴 냈으니.

 

 

 

함께 읽을 책(사진클릭)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