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페이지 책 - 찢고 낙서하고 해체하는 발칙한 책 읽기
봄로야 글.그림 / 시루 / 201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읽다보니 책을 소개하는 책도 있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관련 책들을 보니 상당히 많은 책들이 나와 있는 것을 알게되었다. 과거부터 지금까지 얼마나 많은 책이 쏟아져 나왔는지 헤아릴 수 없을 정도이니 그 중에서 선별해서 책을 읽는데 도움이 되는 것이 나쁘지 않다고 보인다.

 

될 수 있는 한 책을 직접 읽고 내가 생각한 것을 적으려고 하다보니 갈수록 내가 읽은 책에 대한 것은 읽어도 아직 읽지 않은 책은 일부러 그에 관련된 내용을 보지 않으려고 한다. 내가 읽은 그 느낌을 적어야지 다른 사람의 글을 읽게 되면 나도 모르게 그 생각에 전염되어 글을 쓸 때 반영될까하는 쓸데없는 우려때문이다.

 

시중에 나와 있는 책이 몇 천권도 아니고 수백만권도 넘을텐데 그중에 단 1%도 못 읽을 확률이 클테니 책을 소개하는 책을 읽고 판단하는 것이 좋은 이유는 그나마 책을 읽는 편이지만 그렇지 못한 사람들에게는 그렇게 누군가의 추천을 통해 읽고 싶은 감정이 들어 읽게 될테니 말이다. 내가 이렇게 올리는 리뷰를 통해서도 사람들이 내 리뷰를 읽고 책을 집어들었다는 이야기를 들으면 기분이 좋기도 하다.

 

그러한 대부분의 책들은 한 권의 책이나 같은 분야의 여러 책을 소개하며 저자의 생각을 전달하거나 이 책을 읽어야 하는 이유나 읽으면 좋은 부분에 대해 설명을 해 준다. 어떨 때는 책을 읽는 것보다 그 사람의 리뷰를 읽는 것이 더 좋은 경우도 우습지 않게 있을 정도다.

 

'0페이지책'은 분명히 책을 소개하는 범주에 들어가는 책이지만 독특하고 참신하며 어떤 식으로 다뤄야 할지 감이 잡히지 않는 책이다. 예전에 책을 읽을 때 책 중에 괜찮다고 생각하는 문구를 따로 적어서 그에 관한 내 생각을 쓴 적이 있다. 완전히 새 책으로 보전하는 나로써는 그런 작업을 따로 워드로 쳐서 했다.

 

책을 읽는 좋은 방법중에 하나가 책을 읽다가 좋은 부분이 있으면 밑줄도 치고 여백에 자기 생각도 적으면서 읽는 것이라고 한다. 좋은 책은 굳이 밑줄 치지 않아도 저절로 읽으면서 잠시 책을 나도 모르게 덮고 여러가지 생각을 하게 만드는 힘이 있다. 아주 사소한 것이라도 생각할 것을 주는 책은 소중함을 일깨워준다.

 

저자가 그림을 그리는 사람이라 그런지 책을 피자마자 엄청난 정성이 쏟아진다. 활자중독까지는 아니라도 책을 책으로 보는 편이라 대체로 책에서 글을 읽는데 집중하고 그림은 소홀히 하는 편인데 이 책은 도저히 그럴 수 없다. 저자 자신이 직접 그린 그림들이 책 가득히 펼쳐지는데 무척 원색적이고 화려하다.

 

책을 읽으면서 중간 중간 나오는 그림에 페이지를 잠시 멈추고 찬찬히 보게 된다. 워낙 강렬한 그림들이라 편안한 마음으로 보기보다는 집중해서 눈을 부랴리며 보게 된다. 솔직히 어떤 의미인지는 절대로 나는 알 수 없지만 그저 그림을 잠시 들여다 보는 것도 이 책을 읽는 의미가 된다.

 

워낙 풀어쓰고 주절주절 하는 줄거리나 글에 익숙한 나에게 이 책은 상대적으로 어렵게 느껴졌다. 글만 읽으면 템포를 스스로 올릴 수도 있지만 수시로 나오는 그림으로 잠시 읽는 것을 멈추고 그림을 보기도 하고 저자가 읽은 책중에 특정 문구만 따로 소개하는데 이것도 예술이다.

 

단순하게 문구에 밑줄을 쳐서 기억나게 하는 것이 아니라 문구만 살리고 그 외에 글과 여백은 온통 그림으로 점철되어있다. 문구와 관련된 그림을 그리거나 문구와 상관없는 글들은 전부 문구를 돋보이기위한 도구로 만들어 저절로 그 문구이외에는 허락을 하지 않는다.

 

페이지를 아예 뜯어 만든 듯 한데 대단한 정성이 들어갔다는 것이 보인다. 일일히 하나씩 하나씩 글자를 그림으로 지우기도 하고 모든 글자를 배경으로 만들고 글이외의 여백에 오히려 문구와 관련된 그림을 그려 문구에 집중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은 솔직히 나같이 문자만 읽고 그냥 저냥 술술 글만 읽는 사람에게는 도저히 따라할 수 없는 방법으로 보인다.

 

한편으로는 책 전체와는 전혀 상관없는 특정 문구만 보여주다보니 정작 소개한 책의 내용에 대해서는 아무런 정보도 얻지 못하게 된다. 이미 읽은 책은 어떤 내용인지는 알면서 저자가 자신에게 깊히 다가온 문구를 읽게되지만 읽지 못한 책은 그저 보여주는 문구만 알게 된다. 사실, 책에 대한 소개를 저자가 자신의 느낌이나 책의 주인공이나 주인공 친구가 되어 이런 저런 이야기를 하기는 하지만 워낙 개인적인 글이라 내가 저자가 말하는 의식의 흐름을 따라가기가 버거웠다.

 

몇 작품을 소개하면서 저자가 느낌 감정이나 마음에 다가온 문구에 대해 아무런 설명도 없이 그저 그 문구를 보여주는 것이 다라서 작품과는 전혀 상관없는 문구일 수도 있지만 그 자체로 저자가 새롭게 그 작품을 보여주는 것이라 이 책에서 소개하는 '찢고 낙서하고 해체하는 발칙한 책 읽기'라는 표현은 더할 나위 없이 적절한 표현이다.

 

이상하게도 책을 읽으면서도 이 책을 다 읽은 지금도 이 책을 다시 한 번 집어 읽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마음만 먹으면 1시간에도 다 읽을 수 있는 책이고 찬찬히 긴 호흡으로 읽으면 일주일도 걸릴 책이다.

 

누가 어떤 마음과 생각에 따라 읽느냐에 따라 지금 본인이 처한 환경이나 상황에 따라 다가오는 정도와 깊이가 다라지는 책이라 보인다. 단순하게 책만 소개하는 책이라면 다시 읽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지 않았겠지만 워낙 독특한 책이라 다시 한 번 읽어봐야 겠다는 생각이 든다. 이번에는 글자보다는 그림에 보다 집중해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