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진 소녀들
안드레아스 빙켈만 지음, 서유리 옮김 / 뿔(웅진) / 2011년 8월
평점 :
절판


아무런 이유없이 단지 책 표지와 제목을 비롯한 전체적인 분위기때문에 끌리는 책이 있다. 재미있을지 아닐지는 전혀 모르는 상태에서 거의 도박과도 같은 선택을 하게 되는데 전적으로 도박과 같은 선택이라고만 볼 수는 없는 것이 어느정도 그 책을 선택하기 전에 광고등을 통해 나도 모르게 정보에 노출되어 그 정보가 내 뇌리에 영향력을 발휘했다는 사실은 미처 깨닫지 못한다.

 

이 책도 분명히 사전에 분명히 여러 광고를 통해 어느 정도 인지하고 있었기에 선택을 했을 것이라고 본다. 스릴러 장르는 어느 책이든 어느정도의 재미는 있다. 읽는 독자로 하여금 재미가 없다면 스릴러 장르의 책을 선택해서 읽을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언제, 범인의 존재를 드러내느냐의 문제와 실제적인 주인공이 누군가의 문제와 - 실제로 초반에 주인공이라 생각한 인물이 그냥 도입부분을 이끄는 경우가 많다. 거의 대부분 주인공이 형사인 경우가 또한 많다 - 문제를 풀어가는 과정을 얼마나 재미있게 끝까지 감추면서 흥미진지하게 묘사하느냐가 관건이다.

 

스릴러 장르를 그다지 많이 읽지는 않았지만 이상하게도 미국보다는 유럽쪽의 스릴러 책을 많이 읽게 되었다. '사라진 소녀들'도 독일 출신의 작가가 만든 책으로 중간에 꽤 자세하게 묘사하는 장면은 솔직히 책을 계속 읽을까를 아주 살짝 고민하게 만들었다. 사이코패스가 소녀를 만지는 행위가 상당히 거슬렸기 때문에 이런 장면이 계속 묘사될 것 같은 느낌에 아주 살짝 고민했지만 그 장면이 다였다.

 

사이코패스 범죄는 많이 나오지만 이 소설처럼 귀머거리의 소녀를 납치한 것은 기억이 나지 않는다. '양들의 침묵'이라는 영화를 통해 처음으로 사이코패스와 스릴러 장르를 제대로 알았다면 이 소설에서는 기존 소설과 달리 납치뿐만 아니라 그 후 과정까지 나오는데 뭐 약간 색다르기는 하지만 그다지 참신하지는 않았다. 무엇보다도 범인을 잡는 것까지는 좋았는데 그 후 과정에서의 이야기가 제대로 된 설명이 부족하다고 느꼈기 때문이다.

 

우연히 스릴러 장르라는 것을 모르고 빌려줘서 봤던 '시인'이후에 하다보니 꽤 읽게 되었는데 아직까지 '시인'을 뛰어넘는 작품을 만나지 못해 아쉽고 스릴러 장르를 계속 읽을까하는 고민도 조금 된다. 갈수록 그다지 재미가 있지 않다. 그래도 호기심에 지속적으로 읽게되기는 한다. 딱딱한 책만 읽다 이런 호기심을 자극하고 킬링타임용이라 할 수 있는 책을 통해 그것도 세상을 다른 면으로 보는 하나의 과정이 되기 때문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