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스의 탄생 - 전 세계 관리자들의 고민을 해결한 하버드 경영대 리더십 전략
린다 A. 힐 & 켄트 라인백 지음, 방영호 옮김 / 시드페이퍼 / 2012년 2월
평점 :
절판


보스는 탄생하는 것일까? 만들어 지는 것일까? 분명한 것은 만들어 지는 것이라 본다. 타고난 리더들이 있는 것은 사실이다. 다만, 그들은 남들보다 선천적으로 약간 나서기를 좋아하고 어떤 일이 생기면 앞 장 서서 한다는 것이지 그들이 사람들을 전체적으로 잘 아우르고 여러가지 문제들을 잘 해결한다는 것은 아니다. 그렇게 자주 남들보다 앞장서다 보니 자연스럽게 하나씩 그 해결책을 터득한 부분이 있을 것이다.

 

역사를 보더라도 위대한 리더라고 이야기되고 칭송받는 사람들이 늘 성공한 것도 아니고 늘 모든 사람들에게 존경을 받고 충성을 받은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알게 된다. 이렇게 거창한 부분까지는 가지 않더라도 한 회사의 리더가 된다는 것도 이러한 리더로써의 특징을 잘 헤쳐나가야만 하는 자리이다.

 

여러 사람들을 관리 해 본적이 없다. 군대 시절이나 그나마 사람들을 관리한 경험이 있을 뿐이지 그 외에는 조직생활을 해도 그 조직내에서 내가 좀 유별난 위치라 특별히 사람들을 관리하거나 내가 그들을 잘 컨트럴할 일들이 거의 없다 보니 이 책을 읽는 것이 그다지 쉽지는 않았다. 간접경험이라면 있기는 하겠지만 책에서 나온 것과 같은 미묘한 뉘앙스까지 내가 조직생활에서 느끼는 것이 쉽지는 않으니 말이다.

 

책은 각 단락마다 처음에는 이제 막 새롭게 리더로 들어 온 사람의 이야기를 소설형식으로 실은 다음에 이러한 상황에 맞는 해결책을 하나씩 내용에 맞게 알려준다. 책에서는 크게 세 가지로 리더로서 행동해야 한다고 이야기해 준다. 자신을 관리하라. 인맥을 관리하라. 팀을 관리하라.

 

총 세 가지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잘 하느냐에 따라 진정한 보스로써 탄생할 수 있느냐가 결정된다고 말 한다. 뭐 사실 저렇게 구체적으로 꼭 집어 이야기를 하지만 그 어느것 하나 보스로써 중요하지 않은 것이 없다. 단 하나도 소홀히 하면 안되는 것이 바로 보스라는 직책의 어려움이 아닐까한다.

 

무엇보다 자신을 잘 관리하지 않으면 스스로 무너질 수 밖에 없고, 조직생활을 하면서 혼자 모든 것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주변 인맥을 잘 활용해야만 하고, 자신이 속한 팀을 제대로 내 편으로 만들고 공동체 의식을 형성하지 않는다면 보스는 바지사장이라는 표현과 같은 보스가 되고 만다.

 

누구나 보스가 되고 싶어 한다. 보스가 되고 싶다는 것은 내가 속한 조직에서 일정한 수준까지 올라가야만 얻을 수 있는 위치라는게 문제다. 되고 싶다고 해서 될 수 없는 것이 보스다. 내가 보스가 되고 싶다고 해도 될 수 없는 자리이기 때문이다. 본인의 의지와는 전혀 상관없이 보스가 되는 인물도 있다. 타고난 능력자인 경우라면 그나마 좋은데 태생의 조건으로 되는 것은 예측할 수 없는 도박이다.

 

이러한 보스가 누구에게나 전부 다 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일정 수준의 보스는 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도 과장, 부장 또는 팀장이라는 직책을 통해 제한된 인원일 지라도 그 인원을 관리하고 공동체를 만들어 더 발전된 조직으로 만들어야 하는 책임이 주어지게 된다.

 

5대 경영 필독서라고 하는데 내 자신이 그러한 조직생활을 많이 한 것이 아니라서 그런지 이 책이 그정도로 대단한 책인지는 잘 모르겠으나 분명히 어리버리하게 한 부서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된 사람들에게는 어떤 식으로 조직을 이끌어 가야 하는지 알려주고 스스로 어떤 준비를 하고 노력해야 하는지 설명하며, 혼자서 조직을 이끌어 갈 수 없다는 사실을 알려줘서 여러 도움을 받을 책으로 보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