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인의 해석
제드 러벤펠드 지음, 박현주 옮김 / 비채 / 2007년 2월
평점 :
품절




책 표지를 보면 프로이트와 융이 살인사건에 직접 뛰어들어 해결한다는 아주 아주 흥미로운 이야기가 담겨있다. 이것이 사실이라면 이 책을 읽어볼 만한 가치가 아주 아주 충분하다. 두 학자의 생애에 대해 거의 알지 못하지만 살인 사건을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었다는 이야기를 들어보지 못했으니 책에 나온 이야기는 분명히 허구라는 것을 인지하더라도 도대체 어떤 식으로 이야기를 풀어 냈을 것인지에 대해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예전에는 모든 사건을 형사들이 추리하고 범인의 심리를 분석했겠지만 지금은 각자 자신들의 분야가 나름 분리되어 있어 심리학자들이 범인들의 심리를 분석하는 세상이 되었으니 심리학은 분명히 우리 생활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고 할 수 있다. 책의 배경에 프로이트가 등장하고 있으니 아직까지 심리학이라는 분야가 제대로 대접을 받지 못한 시기일 것이라는 판단이 들었다.





게다가 프로이트와 융은 제자관계였지만 나중에 프로이트에게 반기(??)를 들었다는 정도의 상식을 갖고 있었는데 책의 서두에는 프로이트가 미국을 방문한 시점이 있는데 그 방문에 대해 프로이트는 좋지 못한 기억을 하고 있다는 이야기를 하며 과연 그 방문 기간동안 프로이트에게 어떠한 일이 일어났는지에 대해 궁금증을 유발하면서 시작한다.





이렇게 많은 궁금증과 호기심을 갖고 프로이트와 융이 혹시 서로 적대적인 관계로 살인 사건을 서로의 관점에서 풀어내는 이야기로 진행되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상상을 하며 읽었는데 결론적으로 전혀 아니올씨였다. 프로이트가 좀 많이 나오고 융은 거의 존재감이 없었다. 굳이 이야기하자면 프로이트와 융은 이 책에서 나오지 않았어도 하등 영향이 없다고 해도 무방할 정도다.





책의 줄거리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눠서 하나는 살인사건을 해결하는 과정을 그리고 있고 다른 하나는 프로이트가 미국에 왔지만 제대로 된 대접을 받지 못하고 씁쓸하게 다시 빈으로 돌아가는 부분을 묘사하는데 그 와중에 프로이트와 연관이 있는 - 제자라 해야 할 것이다 - 사람이 살인 사건에 피해자를 치료하는 의사로써 도움을 주며 프로이트로부터 도움을 받는 정도가 프로이트가 나오는 이유이다.





그렇다 해도 프로이트와 융이 나오는데 심리학적인 이야기가 나오지 않는다면 책을 읽는 사람에 대한 모독이 될테니 그에 걸맞게 심리학 부분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실려있고 작가의 전공이 세익스피어라고 하던데 세익스피어를 프로이트 관점에서 해석하는 모습도 보여준다. 특히, 'to be or not to be' 같은 경우에 우리가 흔히 '사느냐 죽느냐'로 해석하지만 책에서는 그것이 아니라 보여 지는 존재가 될 것인가 보여 지지 않을 것인가라는 이야기로 해석한다. 내 외부모습과 내부 모습을 일치 시킬 것인가, 내 내부 모습을 숨키고 외부모습을 보여 줄것인가를 고민한다는 해석을 한다. 쓰고 보니 이렇게 하지 않았나 하는 생각도 든다.





책 자체는 상당히 흥미진지할 것 같았지만 책 내용은 쓸데없이 글만 잔뜩있고 상당히 지루하게 전개되면서 몰입하기가 쉽지는 않았다. 작가가 두 가지를 섞으려고 한 노력은 가상하지만 두 가지 이야기를 따로 놓고 봤을 때 그다지 매력적으로 읽히지는 않게 보인다. 그나마 후반부에 사건이 해결되는 과정이 유일하게 흥미진지하기는 했지만 그건 추리소설로써 마지막 결말에 대한 호기심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프로이트와 융의 이야기는 사실 그 사람들의 책으로 접하면 무슨 말인지 글을 읽다보면 저절로 멍때리게 되는데 추리 소설을 통하여 융의 이야기는 비록 알 수 없어도 프로이트의 사상과 그의 심리학에 대한 논점을 알 수 있게 도움을 준다는 점에서는 이 책이 오히려 심리학을 처음 접하는 사람들에게 쉽게 다갈 수 있는 책이 되지 않을까 한다. 단순히 프로이트의 사상을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살인 사건을 통해 그의 사상을 어떻게 적용하는지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으니 말이다.




이 책이 영화로 만들고 있다고 하는데 아직까지 만들어지지 않은 것을 보면 영화로 만들기 쉽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영화보다는 몇 부작 미니시리즈로 만드는 것이 더 재미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책이 두꺼운데 상당히 잡다한 이야기들이 계속 전개되어 좀 산만하고 추리소설로써도 사실 좀 그렇지만 내용의 아이디어와 프로이트를 통한 사건의 해석이라는 측면에서는 분명히 흥미로운 소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