댄 애리얼리, 경제 심리학 - 경제는 감정으로 움직인다
댄 애리얼리 지음, 김원호 옮김 / 청림출판 / 2011년 2월
평점 :
절판






저자는 경제학자가 아니라 심리학자이다. 이미 행동 경제학이라는 학문으로 인해 경제학과 심리학의 경계가 사라지며 공동으로 연구하니 특별한 것은 없다만 기존의 행동 경제학을 넘어 경제 심리학이라는 용어로 우리의 행동에 대해 설명을 해 주고 있다. 책의 내용 내내 나오는 이야기가 자신의 화상 경험과 연결이 되어 있는 점이 특이하지만 각 섹터마다 덕분에 자연스럽게 연결이되고 더 집중하게 만들어 준다.

 

총 11장의 섹터로 되어 있는데 각 섹터마다 흥미로운 이야기로 우리들을 이끌어 준다. 평소에 궁금해 했거나 타이틀을 읽어보면 '어 정말로 그렇게 되면 어떻게 되는 거지?'라는 물음이 나오게 만든다. 책에 나온 모든 사례들을 하나씩 다 소개하고 열거하는 것은 글의 내용이 너무 길어질 수 있고 평소에 내 리뷰는 될 수 있는 한 책의 자세한 내용은 언급하지 않으려 하니 몇 가지만 추려본다.

 

경제학에서 인간은 인센티브에 의해 움직인다고 말한다. 실제로도 사람들은 자신에게 이익이 되어야만 비로소 관심을 갖고 행동을 하려 한다. 자신들에게 이익이 되지 않는다면 쉽게 엉덩이를 들썩이지 않으려 하는데 여기서 말하는 이익은 단순하게 눈 앞에 보이는 이익이 아니라 꼭 경제적으로 이익이 되거나 금전적인 보상이 있는 것이 아니라 심리적으로 만족도를 나타내는 것도 포함된다. 이를테면 타인에 대한 봉사는 이익으로 볼 수 없지만 본인에게는 그것이 심적으로 크나큰 이익이 되기 때문에 움직이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인센티브가 커지면 커질수록 인간의 행동은 더욱 더 이익에 집중하고 이익을 달성하기 위해 노력해야 하는 것이 맞겠지만 실험결과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적당한 인센티브는 각 개인의 행동을 이끌어내고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지만 과도한 인센티브는 오히려 독이 되어 무관심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고로, 각 개인이 적극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정도의 인센티브를 제공해야만 원하는 결과를 이끌어 낼 수 있다.

 

본인이 생각해도 터무니 없다고 생각될 정도가 아니라면 본인이 참여를 했거나 함께 만든 것에 대해 객관적인 잣대를 들이대지 못하고 타인보다 더욱 애정을 갖고 삐뚫어진(과도한 애정) 시선으로 바라본다. 이것이 바로 이케아라는 가구가 성공한 비결이라는 것이다. 어느 누가 봐도 전문가가 만든 작품이 아니라면 두 사람이 똑같이 만든 작품에서 타인의 작품보다 자신의 작품을 더 높게 평가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실험을 통해 자신이 만든 작품의 가격과 타인이 만든 작품의 가격차가 상당했다. 이 이야기는 마케팅을 하는 사람들에게 힌트가 될 수 있는 이야기가 아닐까 한다.

 

어느 회의 석상에서 팀장이 그날따라 기분이 안 좋은지 평소와 같이 떠들고 이야기하며 화기애애한 분위기에서 갑자기 "누가 회의 시작전에 이렇게 시끄럽게 구나!"라고 외쳤다. 당연히 회의 내내 분위기는 무거웠고 그 이후로 회의때마다 자유스럽게 의견을 개진하는 회의가 이루어지지 못했는데 당시에 팀장은 가족에서 안 좋은 일이 있어 그 감정을 삭이지 못하고 회사에서 풀어 버린 결과로 벌어진 일이였다. 이처럼 자신의 감정을 추스리지 못하고 벌어진 일로 인하여 그 이후로도 그 감정의 여파가 계속 실생활에서 벌어지는 일이 생겨 안 좋게 된다.

 

당연히 이런 일련의 과정과 생각과 행동을 알고 있다고 하여 대처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감정이 폭발된 상태에서 즉시 이성적으로 판단하고 행동한다는 것은 인간의 본성에 반하는 행동이기 때문이다. 더구나, 그런 인간은 너무 재미없고 인간은 로봇이 아니다. 때때로 인간은 지배하는 감정이 인류역사를 발전시키기도 한다. 처음 의도하는 상관없이 말이다.

 

그외에도 과연 잘생긴 남자는 여자가 사귀게 될까라는 물음에 실험을 해 보니 실제로 그렇다고 할 수있고, 용기있는 남자가 미녀와 사귈 가능성이 컸다. 남자는 여성의 외모를 중요시하지만 여자의 경우에는 외모로 판단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이고, 채팅으로 만나는 경우도 극히 희박한 이유에 대해 설명을 하고 있다.

 

평소에 감정이 생긴 곳과 다른 곳에 감정을 발산하지 않으려 하고, 한 가지 사건에 다른 사건을 대입하거나 그 전 사건을 들먹이지 않으려 노력을 하고 있는 것을 보면 나는 확실히 감정보다는 이성적인 인간인가 보다. 큰소리를 내며 전화를 하다가도 상대방이 이야기를 하면 다시 차분하게 '이야기하세요~!'라는 내 자신을 얼마전에 발견했는데 그건 아마도 이 책과 같은 심리학 책들을 통해 차곡 차곡 하나씩 내 머리와 가슴에 쌓아 놓았기 때문이 아닐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