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윤기의 그리스 로마 신화 1 - 신화를 이해하는 12가지 열쇠 이윤기의 그리스 로마 신화 1
이윤기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00년 6월
평점 :
일시품절


 



이윤기의 그리스 로마 신화는 너무 유명하여 이 책 자체가 역설적으로 신화가 되었다. 이 책 이후에 무수한 그리스 로마신화류의 책들이 쏟아져 나왔으니 말이다. 이런 이야기를 하는 나는 10년이나 지나 이 책을 보게 되었지만 말이다. 의도하지 않았지마 저자가 작년에 고인이 되셨기에 다시 한 번 출판사에서는 이를 통한 마케팅도 하고 다시 보게된 것도 같다.

 

저자의 프로필을 보다보니 내가 아주 즐겁고 재미있게 읽었던 움베르토 에코의 '푸코의 진자'를 번역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다시 읽게 되면 어떨지 몰라도 '푸코의 진자'는 다시 한 번 읽어보고 싶은 소설이다. 깨알같은 글씨에 흥미진지한 추리와 서스펜스와 음모론이 버무려져 너무 재미있게 읽어 사실 '다빈치 코드'보다 훨씬 재미있다고 생각하는 소설이다.

 

그리스 로마신화는 어떻게 보면 상당히 중구 난방으로 책에 써져 있다. 연대순으로 사건의 흐름을 쫓는 구성에 익숙하다보니 연대순으로 책이 엮여 있는 것도 아니고, 영웅 중심의 신들 위주만으로 써져 있는 것도 아니고, 특정 주제를 큰 개념으로 잡고 서술한 것도 아니고 그리스 로마신화를 이해하기 위한 12가지의 챕터로 구성한 후  그에 맞는 신화를 소개하고 있어 머리속에 큰 흐름이 잡힌다고 할 수는 없다.

 

이런 점은 신화가 갖고 있는 특수성에 기인한 것이 아닐까 한다. 그리스 로마신화를 읽어보니 연대순으로 일어난 사건에 대해 쓰기에는 신화의 세계에서 시간이라는 개념이 중요한 요소가 아니다보니 각각의 신들이 활동을 한 시기가 겹치기도 하지만 서로 말도 안되게 뒤죽박죽 섞여 있어 힘들었을 것이라는 판단이 들고, 1권에 그리스 로마 신화에 대한 이야기를 연대순으로 한다는 것이 모무한 도전이 아니였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책의 시작은 이런 점 때문인지 모르지만 미궁과 실타래에 대해 소개하는 것부터 시작한다. 신화의 세게 자체가 미궁속에 빠져 뜻하지 않게 여러 신들을 만나는 것과 같은 것이라 이야기하고 싶었던 것이 아닐까 한다. 12가지의 장으로 나눠 그리스 로마 신화를 이해하는데 있어 길잡이가 되고자 하는 의도에서 서술한 작품이기 때문에 말이다.

 

각각의 상징성을 갖고 있는 신화를 소개하여 그에 맞는 신들과 고대부터 현재까지에 내려오는 의미를 간략하게 소개하고 있으나 여전히 그리스 로마 신화라는 미궁에서 올바른 길을 찾는 것은 워낙 방대한 신화와 신들로 인해 이 한 권을 읽는 것으로는 부족하다는 것을 스스로 깨닫게 된다.

 

동양에 살고 있는 동남 아시아 사람들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불교와 유교를 공부해야 하는 것처럼 서양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헬라이즘과 히브라이즘을 알아야 도움이 될 수 있는데 확실히 이 책을 읽어보면 지금 서양 세계에서 쓰이고 있는 많은 문자와 문장, 예술과 그들이 쓰고 있는 제스처와 의도에 대해 각각의 의미가 함축하고 있는 부분에 대해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무엇보다 뜨문 뜨문 여기 저기서 조금씩 주워듣거나 만화를 통해 각색된 여러 이야기들을 그리스 로마 신화를 통해 원본의 이야기를 들은 점은 - 비록, 순수하게 서양인의 관점에서 서술한 이야기가 아니라 동양인이면서 한국인인 이윤기씨의 관점 - 피상적으로 알고 있던 신화에서 구체적인 의미를 알 수 있어 도움이 될 듯 하다. 문제는 아마도 읽었던 여러 의미를 기억의 한계로 많이 잊게 되겠지만.

 

신기한 것은 서양과 동양이라는 지리적, 거리적 문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각각의 지역에서 전래되고 구전되는 신화나 토테이즘과 같은 여러 설화들에서 유사성이 많이 발견된다는 것이다. 그리스 로마신화가 갖고 있는 특이성은 아마도 신이라는 이름으로 여러 신화가 내려오고 있지만 그 내용이 신이라는 외피를 벗어버리고 인간이라는 존재로 대체하더라도 하등 상관이 없다는 것이다.

 

실제로 그리스 로마신화에서 중요한 것은 다신이 존재한다는 것이고 살아 있는 인간도 죽으면 신으로 승격이 되어 그의 업적을 기리고 신으로 추앙하고 그 앞에서 제의를 지내고 복을 빌었다. 그리스 로마인들에게는 신이라는 존재는 두려움과 절대적인 모습보다는 인간과 같이 약간은 부족하고 인간과 같이 헛점을 갖고 있는 존재로 그려진다.

 

그리스 로마 신화를 통해 서양에 대해 조금이나마 이해의 폭을 좀 더 넓혔다는 것이 이 책을 읽은 가장 큰 수확이라고 생각한다. 특히, 영어에서 쓰이고 있는 많은 부분이 그리스 로마신화에 나오는 용어들에서 유래된 것들이 참으로 많아 그에 따라 단어의 숨어있는 의미와 각 지역의 고유명사나 서양에서 쓰이고 있으면서 의미를 모르고 떠들던 여러 용어의 의미를 알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