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인 이야기 11 - 종말의 시작 로마인 이야기 시리즈 11
시오노 나나미 지음, 김석희 옮김 / 한길사 / 200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토록 위대했던 로마도 서서히 그 빛을 다하기 시작했다는 의미에서 종말의 시작이라는 부제가 있는 로마인 이야기 11권인데 그렇게까지 종말의 시작인지는 잘 모르겠다. 혼돈의 시기라고 하면 그것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수긍이 갈 듯 한데, 11권에 나오는 내용을 갖고 종말의 시작이라고 하기에는 아직까지 로마의 체계와 시스템은 잘 돌아가고 있어 보인다.

 

로마라는 이름으로 만든 온갖 시스템과 공공시설이 워낙 기초가 튼튼하게 사회 곳곳에 잘 뿌리 내리고 있고 부자가 망해도 삼대가 간다는 말처럼 여러가지 문제가 생긴 시점이라 말할 수 있지만 그 전에 오현제가 통치하기 전에도 혼란이 있었지만 그 이후에 로마는 다시 온현제라 불리우는 현명한 통치자들에 의해 여전히 그 빛을 발했기 때문에 11권에 나온 내용만으로 로마라는 나라가 서서히 오그라지고 있다고 볼 수는 없지만 이 책을 쓰고 있는 저자와 읽고 있는 나는 그 이후의 일들을 알고 있기 때문에 종말의 시작이라 할 수 있을 듯 하다.

 

로마 역사 몇 백년 동안 많은 황제가 나타났다가 사라졌지만 여전히 로마는 그 체제안에서 주변국가들을 복속시키고 굴복시키고 동화시키면서 로마라는 나라가 사라질 것이라고는 생각하기에는 여전히 힘든 시절이였다. 마르쿠스 아울렐리우스 황제가 다스린 시기는 로마라는 수도에서만 국가를 다스렸어도 특별한 문제가 현세에는 나타나지도 않았고 오히려 태평성대를 이룬 시기였다.

 

그 후의 황제인 콤모두스부터 로마라는 시스템이 여기저기서 조금씩 그 뿌리가 흔들리게 된다. 이것을 보면 본인이 훌륭한 황제가 되더라도 그 후대를 제대로 키우지 못하면 망가지는 것은 순간이라는 것을 알 수 있게 해 준다. 성공을 하는 것과 성공을 지속하기 위한 노력은 또 다른다는 것을 알 수 있게 해주고 그보다 더 힘든 것은 자신의 영광이 그 후대까지 이어지게 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알게 해 준다.

 

그 세가지 각각 다른 노력때문에 부자가 삼대를 넘어서까지 지속되는 것이 어렵다고 하는 것이다. 성공을 이룩한 세대와 그 성공을 지켜 보았기 때문에 지속하기 위해 노력하는 2세대에 비해 3세대부터는 자신이 갖고 있는 것을 너무나 당연하게 여기기 때문에 힘든 것이다. 이런 한 점 때문에 다시 한 번 교육의 중요성을 알게 해 준다. 진정으로 현명한 사람이라면 자신만의 성공이 아니라 그 후대까지 자신의 영광이 지속되기 위한 노력을 게을리 하면 안 된다.

 

그런 점에서 로마인 이야기의 저자가 로마인 이야기라는 책의 내용 내내 그토록 칭송을 아끼지 않는 카이사르의 안목과 후세를 배려하는 모습은 대단하다고 밖에 볼 수 없다. 자신이 보고 싶은 것만 보는 것이 아니라 미래까지 내다보는 그 혜안이 바로 시대를 앞서가는 리더의 진정한 면목이 아닐까 한다. 로마인 이야기를 통해 더욱 많이 알게 된 카이사르야 말로 시오노 나나미의 편견에 전염된 생각일 수 있어도 인간이라는 한계를 갖고 극한까지 갔었던 인물이 아닐까 한다.

 

로마를 본격적으로 뿌리부터 흔들게 만들었던 콤모두스는 '글리디에이터'덕분에 더더욱 이해하기 쉽게 받아들일 수 있었는데 상대적으로 영화의 내용에 너무 많이 할애를 한 점은 과유불급이 아니였나 하는 생각도 든다. 이런 콤모두스 이후의 황제도 막가는 인물이 아니라 로마라는 나라를 위해 노력한 점을 보면 로마라는 나라의 수명이 서서히 사라질 수 밖에 없는 운명이였나 보다.

 

아무리 뛰어난 제도와 문화를 갖고 있어도 세월에 흐름에 따라 서서히 잊혀지고 고맙게 받아 들이는 것이 아니라 너무 당연히 받아 들이고, 쓰지 않는 기술은 점점 퇴색하는 것처럼 로마가 갖고있고 각 지역에 퍼뜨린 사회제도와 문화가 이제는 빛이 아니라 거추장스러운 짐이 되어버리면서 필연적으로 로마의 흥망성쇠에서 점점 흥에서 망으로 이전하는 시기에 나왔던 황제일 뿐이였던 사람이라고 몇 백년 몇 천년 후를 살아가고 그 시대를 바라본 내 감상이라고 하면 너무 염세적인 역사관이 되어 버리는 것일까?

 

종말의 시작이라고 하지만 여전히 로마인 이야기는 아직도 4권이나 더 남았다. 보통 1권이 50년 이상은 이야기되고 있으니 아직도 200년 정도의 이야기는 남아 있는 듯 하니 로마라는 큰 빛을 발했던 - 서양 역사 사상 가장 큰 빛을 발하고 위대했던 국가 - 불이 서서히 꺼지는 모습을 이제부터 지켜봐야 할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