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인 이야기 9 - 현제賢帝의 세기 로마인 이야기 시리즈 9
시오노 나나미 지음, 김석희 옮김 / 한길사 / 200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혼돈의 시절이 지나고 다시 로마에는 평화와 번영의 시기가 도래하게 된다. 번영의 시기라는 것이 로마인 이야기에 나오는 내용으로만 보면 그 시대를 살던 평민들의 의지와 노력이 아니라 전적으로 로마를 다스리는 황제의 의지와 현명함과 노력에 의해 달성되었다고 해야 하지 않을까 한다. 실제로 로마인 이야기 9권부터는 원로원이나 기사계급등과 같은 황제를 제외한 타 계급의 이야기는 크게 다루지 않는다. 그저 황제 이야기를 하기 위한 부속품의 하나 정도로 윤활유 역할을 위한 등장으로 밖에 보이지 않을 정도이다.

 

기존에 황제와 대립하고 공존하는 반목하는 세월을 지나는 동안 드디어 본격적으로 누구나 인정하는 황제 1인 체제가 로마에 정립되어 나라의 모든 사람들이 이 점을 인정하고 황제에게 충성을 맹세했기 때문이 아닐까 한다. 중간 중간 황제를 위협하는 인물들이 있었지만 그도 역시 황제체제를 전복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자신의 이익을 위한 욕망에서 나온 행동의 결과일 뿐이다.

 

로마가 지금까지 조금씩 영토를 확장하고 정복 민족들을 다스렸지만 여전히 불안감은 국가 곳곳에 있었다. 특히, 지금과 달리 정보와 권력이 미치기 힘든 로마로부터 먼 지역에서 더더욱 로마에게 반기를 든 민족은 얼마든지 나오게 마련이고, 이에따라 로마도 정복보다는 수성에 촛점을 맞추고 국가를 다스려 왔는데 뒷 이야기에 어떤 반전이 혹시 있을 지 몰라도 트라야누스 황제시대부터 지금의 로마의 국경과 체제가 확립되고 사람들에게 인정되어 누구나 로마라는 우산으로 들어가게 된다.

 

무엇보다 더욱 대단한 것은 한 민족이라는 이름으로 알게 모르게 타 민족을 차별하는 - 내 자신도 겉으로 아니라고 하고 노력을 하지만 나도 모르게 색깔이 다른 민족에게 무의식적으로 갖고 있는 걸 발견하게 된다 - 우리나라 관점에서 볼 때 대단하게 로마민족이 아닌 로마인이라는 이름으로 순수한 로마민족이 아니여도 로마의 황제가 되었다는 것이다.

 

로마 민족이 아닌 로마인이 황제가 되기까지 꽤 긴 시간이 걸렸지만 그만큼 로마라는 나라가 당시 시대에는 전 세계적인 초 일류 국가가 된 것이 아닐까 한다. 지금의 미국을 보더라도 앵글로 색슨족이 몇 백년동안 권력을 가졌지만 타 민족이 권력을 갖게 된 것처럼 말이다. 이를 보면 우리나라나 지금 한 참 초일류 국가로 가고 있다는 중국을 볼 때 분명한 한계가 있을 것이라 보여진다. 서양과 동양의 가치관과 문화관이 달라 획일적인 잣대로 비교하는 것은 적절하지 못할지라도 지금과 같은 동시대성이 지배하는 지구라는 단일체 세상에 과연 통할지 모르겠다.

 

트라야누스황제를 뒤이은 하드리아누스 황제에 이르면 그는 황제라기 보다는 와교관이라고 해야 하지 않을까 싶다. 지금과 같은 교통체계와 시간 단축 장치가 없어 벌어지는 일이지만 몇 년동안 수도인 로마를 떠나 각 속주 지역을 돌아다니며 내치와 외치를 힘 쓴 것을 보면 황제는 못할 것이라는 생각이 들고, 확실히 권력이라는 것을 탐한다는 것은 욕심도 갖고 있어야 하지만 나라의 운명과 미래를 내다보며 움직여야 하는 힘들고 어려운 자리라는 것을 알게 된다. 나라면 절대로 하지 않았을 것 같다만.

 

아무리 뛰어난 업적을 살면서 했더라도 말년에 엉뚱한 일을 벌이고 주변 사람들로부터 평판이 나뻐지면 그 사람의 인생 자체가 부정당하는 경우가 있는데 두 명의 황제가 전부 그런 일을 당하게 되는데 확실히 마지막에 웃는자가 진정으로 웃는 것이 아닐까 한다. 오랜 역사가 지난 후에 두 명의 황제가 전부 훌륭했다는 재평가를 받게되지만 사후 직전에 받은 평가를 보면 인간은 역시 보고 싶은 것만 보게 만들어진 단순한 존재다.

 

오히려, 이 책에서 세번째로 나오는 안토니우스 피우스 황제같은 경우에는 워낙 태평성대를 이룩하여 특별한 사료가 없다고 저자가 이야기를 했지만 실제로 저자도 달랑 20페이지 정도로 소개하는 것이 전부다. 단 몇 개월 동안 로마를 다스린 황제들보다 적은 분량으로 소개하고 있다. 엄청난 태평성대를 이룩한 황제라고 하여도 그 사료자체가 거의 없다고 소개하면서 저자도 이렇게 짧게 소개하는데 그치고 있으니 당사자가 알았다면 조금은 억울하지 않았을까 한다. 차라리 이런 저런 사건이라도 터뜨릴걸 하고 말이다.

 

로마인 이야기 9에서 나온 세 명의 황제중에 가장 소개가 짧은 안토니우스 피우스 황제이지만 나와 가장 궁합이 맞는 황제가 아니였을까 한다. 이미 모든 것을 이어 받아 공세적인 전략보다는 이미 이룩한 위대한 업적들을 더이상 흔들리지 않고 유지하는데 힘쓰고 여러 속주들을 돌아다니기 보다는 부하들을 통해 믿고 맡기며 다스린 점들이 볼 때 말이다. 사실, 수성이 더 까다롭고 티도 나지 않는 일이지만.

 

이렇게 로마의 화려한 꽃은 지게 된다. 올라가는 일이 있으면 떨어지는 법이다. 산이 높으면 골이 그만큼 깊을 수 밖에 없는 이치다. 키우고 가꾸는 것은 어렵지만 망치는 것은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 가능하니 말이다. 역사책이라 위대한 인물이나 권력자들에게만 집중되어 책이 서술되는 것이 좀 아쉽지만 서서히 로마의 이야기는 이제 화려함보다는 과거의 역사를 되살리려는 사람들과 한 인간의 수명처럼 수명을 다한 로마의 몸부림으로 마무리 되지 않을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