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 밸류 - 초저평가주 투자법
토비아스 칼라일 지음, 김인정 옮김 / 이레미디어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 제목이 <딥 밸류>다. 어딘지 무척이나 깊게 공부하고 조사해서 투자해야 하는 기업을 발견해야 할 듯하다. 투자는 크게 가격이 하락한 기업을 투자한 후 제 가치를 찾을 때까지 기다리는 방법이 있다. 두번째는 가격이 상승하고 있는 기업을 찾아 발 빠르게 편승해서 버는 방법이 있다. 둘 다 가치 투자와 성장주 투자라는 말을 할 수도 있지만 꼭 그렇지도 않다. 재수좋게 저평가라고 생각한 기업을 발견해서 투자를 시작하자마자 상승할 수도 있으니 말이다.

주가가 저렴한 기업을 매수해서 제 가치를 받을 때까지 기다렸지만 실패 할 수 도 있다. 해당 기업의 가치는 내가 몰랐을 뿐이지 주가에 다 반영되었기 때문이다. 이런 건 또 다시 현대 금융 투자의 기본이 된다. 이렇게 투자를 한다는 것은 무척이나 어렵다. 어떤 방법을 선택해서 투자를 하든지 자신에게 맞는 걸 잘 찾아 잘하면 된다. 무엇이 올바른지에 대한 정답은 없고 그저 돈을 벌면 된다. 이렇게 이야기하면 다소 천박한 듯은 한데 결과는 그런 듯하다.

다만 이렇게 돈을 벌기 위해 자신만의 방법을 터득해야 한다. 하다보면 자신의 기질과 맞는 것이 있다. 시장이 몰라줄 때 사놓고 기다리는 방법. 시장이 알아준다고 생각할 때 함께 뛰어드는 방법. 다양한 방법이 있다. 이 책에서 알려주는 것은 아직 남들이 인지하지 못하거나 인정하지 못한 기업을 내가 발견하고 투자하는 것이다. 주가는 언제나 꼭 해당 기업의 가치에 함께 가지 않는다. 분명히 매출과 이익이 늘어나는데도 주가는 제자리이거나 오히려 내려갈 때가 있다.

이런 의미로 볼 때 가치투자는 역발살 투자다. 다들 관심이 없을 때 해당 기업을 매수한다. 매수를 한 후에도 기업의 주가가 더 떨어질 수도 있다. 이렇게 볼 때 저렴하게 사는 것이 핵심이다. 저렴하게 샀는데도 또 다시 주가가 하락한다. 결국에는 저렴하게 산 것이 아닐수도 있다. 완전히 싸게 사는 것은 엄청난 인내를 요구한다. 내가 알게 된 기업을 분석하면 나도 모르게 아주 좋아보인다. 나만 이 기업에 대해서 발견한 듯하고 남들이 알기 전에 빨리 매수하려 한다.

사 놓고 보니 다소 성급하게 들어갔다는 걸 알게 된다. 안타깝게도 미숙한 인간인지라 이런 일이 자주 반복된다. 그럼에도 저평가 된 기업을 사놓고 기다린다면 주가가 상승한다고 믿고 참는다. 가치투자로 성공한 사람들의 특징이 이런 것이 아닐까한다. 좋은 기업이 많지만 이들 기업을 싸게 사는 것은 쉽지 않다. 주가가 하락하는데 확신을 갖고 매수하는 건 어렵다. 실적이 좋다고 해도 주가가 선반영하는 경우도 있다. 실적은 과거일 뿐이라 그렇다. 좋을지 알았는데.

실적이 시간이 갈수록 좋아지지 않는다. 이럴 때 주가는 다시 상승하지는 않는다. 그렇기에 투자자들은 해당 기업의 미래에 대해서 전망을 한다. 기업의 미래가 좋아질 것 같으면 실적이 다소 부족하더라도 사려고 한다. 그런 기업이 실적까지 뒷받침되면 주가는 더욱 상승한다. 남들이 고평가라고 해도 주가는 하늘높이 치솟는다. 이런 투자는 아무나 할 수 있는 건 아니다. 자신의 성향과 또 맞아야 한다. 이 책의 본류는 벤저민 그래이엄에서 출발해서 워런 버핏까지 간다.

아이칸 이야기가 초반과 마지막에 나온다. 한국에서 아이칸의 이미지는 안 좋다. 정작 미국 주식 투자 책을 보면 다들 아이칸에 대해서 좋게 평가하고 가치투자자라고 평한다. 아이칸이 다른 점은 대부분 투자자들은 저평가된 기업을 매수한 후에 기다린다. 몇 년이라도 기다리면서 가치를 제대로 평가받을 때까지 참는다. 아이칸은 그렇지 않다. 자신이 저평가되었다고 생각한 기업을 매수한다. 어느 정도 지분이 확보되면 최대한 기업의 가치를 제대로 평가받기 위해 언론플레이도 한다.

그 과정에서 다소 공격도 받고 사람들에게 안 좋은 평가를 받는다. 그런 노력으로 최종적으로 아이칸은 자신들이 원하는 바를 달성한다. 이런 걸 최근에는 행동주의 투자자라고 한다. 이런 유명한 투자자와 달리 개인 투자자가 어떤 식으로 접근할 것인지 알려준다. 흔히 알고 있는 저PER등의 방법으로 투자하는 것이다. 단순히 기계적으로 저평가된 기업을 매수하고 기다린다. 최근의 워런버핏처럼 가치가 어느 정도 평가를 받고 있지만 사업 밸류나 프랜차이즈가 확실한 기업을 투자한다.

대부분 사람들은 인기주에 집중한다. 이런 기업은 주가가 계속 오르기 때문이다. 정작 평균회귀라는 관점에서 볼 때 사람들의 관심에서 먼 기업의 주가가 시간이 지난 후에 상승한다. 책에서도 많은 비교를 하는데 시간이 흐른 후에는 저평가된 기업의 수익이 더 좋다는 결론을 내린다. 이렇게 볼 때 결국에는 얼마나 인내를 잘 할 수 있는지가 관건같다. 실적이 꾸준히 좋은 기업이 어떤 일로 인해 주가가 하락했을 때 남들과 달리 매수를 한 후 기다린다. 이게 어떻게 보면 책의 전부다.

까칠한 핑크팬더의 한 마디 : 내용이 좀 장황하다.
친절한 핑크팬더의 한 마디 : 배워야 수익이 난다.

함께 읽을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