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편한 편의점 불편한 편의점 1
김호연 지음 / 나무옆의자 / 2021년 4월
평점 :
품절


어느 순간부터 편의점이 생겼다. 그 전에는 구멍가게라고 불렀다. 그 후에는 마트라는 이름을 했었다. 구멍가게나 마트까지는 어느 정도 동네에서 아는 분이 하는 가게 느낌이었다. 대신에 청결이라는 측면에서는 다소 소홀히 했었다. 먼지가 다소 껴 있어도 그러려니 하면서 과자 등을 집어 먹은 걸로 기억한다. 그다지 세련되지도 않았고 인테리어라고 할 만한 것은 없이 가게 안에 있는 모든 것이 그 자체로 꾸며줄 뿐이었다. 한국이 세련되지면서 마트도 변했다.

처음에는 세븐 일레븐처럼 일본에서 들어온 편의점 위주였다. 점차적으로 편의점은 늘어나더니 구멍가게나 마트가 하나씩 사라졌다. 어떻게 보면 구멍가게를 운영하던 분이 편의점으로 변신했을 뿐이었다. 그럼에도 이전까지는 평상복을 입고 있더니 이제는 제복을 입고 고객을 맞이하니 제법 다른 느낌이었다. 그렇게 시골에도 편의점이 전부 점령했다. 프로세스가 있고 교육을 받은 점원이 있어 훨씬 더 세련되고 깔끔해졌으니 고객 입장에서는 좋을 수밖에 없었다.

편의점의 특징 중 하나는 24시간이었다. 언제든지 찾아가면 되는 곳이라 야간에는 하나의 보호막 역할도 한다. 편의점을 그다지 많이 자주 이용하지 않는 나지만 엄청나게 많은 사람이 간다. 그곳에서 식사까지 해결할 정도로 현대 사회에서 빼놓을 수 없는 필수 요소가 되었다. 편의점이 하나의 소품처럼 활용된 적은 많지만 전면에 나서서 주인공이 된 적은 기억에 없다. <불편한 편의점>은 제목에서부터 편의점을 전면에 내세운다. 편의점은 편리성이 최고인데 불편하다고 한다.

책은 시작하자마자 염영숙 여사부터 나온다. KTX를 타고가다 파우치를 잃어버린 걸 알았는데 전화가 온다. 뭔가 이상하다 생각해서 파우치 주운 사람을 만났더니 노숙자였다. 어눌한 말투에 한끼만 해결하길 원했다. 자신의 파우치를 빼앗으려는 다른 노숙자에게 지키는 모습에 신뢰가 가서 그를 자신의 편의점인 always로 데리고 온다. 그곳에서 식사를 하게 한 후에 자신의 편의점에서 일을 하자고 제안한다. 마침 야간 업무를 보던 사람이 그만 두게 되어 하기로 했다.

술을 하도 마시면서 과거에 대한 기억은 전혀 나지 않는다며 이름도 알 수 없는 '독고'라고 말한다. 서두는 이렇게 시작하지만 편의점과 연관된 다양한 캐릭터의 이야기가 펼쳐진다. 소설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구조기도 하겠지만 그보다 캐릭터가 핵심이다. 소설 속에 살아 있는 캐릭터는 각자 생명을 부여받고 작가의 의지와 상관없이 자신의 삶을 이어간다. 작가는 그저 캐릭터가 펼치는 삶을 잠시 엿보고 자신도 모르게 써 나갈 뿐이다. 이런 사실은 이 책에서도 얼핏 나온다.

여러 캐릭터가 나와 각자 자신의 삶을 이어간다. always 편의점을 지나쳤던 인물은 다들 각자의 사연이 있다. 아주 평범해 보이지만 다들 남에게는 미처 하지 못할 자신만의 사연이 있다. 우리의 삶이 그렇다. 누가 봐도 멀리서보면 다들 별 문제 없이 잘 살아가는 것처럼 보이지만 가까이 다가서면 각자 자신만의 잡다한 사연이 있다. 행복한 사연일 수도 있고, 불행한 사연일 수도 있다. 책에 나온 사람들의 사연은 엄청나게 불행하진 않지만 행복한 것도 아닌 상태다.

어떻게 보면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기도 하다. 차이라면 각자 어느 정도 그런 사연을 갖고 있지만 좀 심한지 여부의 차이다. 어느 가족은 슬기롭게 헤쳐나가며 별 문제 없이 살아간다. 어느 가족은 심해져서 되돌릴 수 없기도 하다. 더욱이 이 책에 나온 사람들은 그 어느 누구도 성취지향적인 삶을 살아가는 것은 아니다. 그저 자신이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최선을 다하면서 운이 좋은 경우도 있다. 편의점에서 일을 하면서 친절히 업무를 가르쳐주었을 뿐이다.

그걸 우연히 유튜브에 올렸는데 이를 보고 알바가 아닌 매니저로 스카웃 된 경우도 있다. 그 외에도 편의점에서 근무를 하거나 자주 이용하는 사람들의 에피소드가 나온다. 어느 작가의 에피소드도 있는데 책을 다 읽은 후에 작가의 후기를 읽어보니 자신의 이야기인 듯했다. 완벽하게 똑같진 않지만 하나의 사례로 나왔는데 어떻게 보면 가장 성공한 사례처럼 느껴지기도 했다. 읽다보니 초반에 여사님이 운영하는 편의점이었지만 중심이 독거로 이동하면서 모든 내용이 전개되었다.

그 과정에서 정작 독고의 사연은 전혀 나오질 않았다. 말없이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려주고 낮은 자세로 그들에게 다가가고 핵심적인 한 마디를 하는 것만으로도 주인공처럼 생각되었다. 그와 만나 함께 한 사람들이 전부 이전과는 다른 삶을 살게 되는 전개였다. 마지막에는 역시나 독고의 이야기로 마무리를 한다. 가장 큰 사연이 있으면서 영웅물처럼 숨겨진 재능이 있었다는 것도 밝혀진다. 소설은 이런 전개에서 모든 사람들이 다 따뜻하게 자신의 삶을 살아가게 된다는 내용이다.

까칠한 핑크팬더의 한 마디 : 좀 판타지 같다.
친절한 핑크팬더의 한 마디 : 우리 주변에 살아가는 이야기.

함께 읽을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