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으로부터, (하와이 에디션)
정세랑 지음 / 문학동네 / 2020년 6월
평점 :
품절


제목만 보고 좀 거창하게 생각했다. <시선으로부터>라는 제목은 저절로 떠오르게 만든다. 작가가 의도적으로 지은 제목으로 보인다. 시선이라고 하니 무엇인가를 보는 자신만의 시선으로 알았다. 그런 측면도 분명히 배제할 수 없지만 시선은 사람 이름이었다. 심시선이라는 여성의 이름이었다. 심시선은 현재 작고한 상태다. 지금은 남은 식구들만이 살아가고 있다. 다소 복잡하다보니 책을 시작하기에 앞서 작가가 친절하게 알려준다.

가계도를 그려서 보여주는데 3대까지 가다보니 출연진(?)이 많다.거기에 심시선의 결혼은 두번이고 두번째 결혼한 남편의 가족도 나온다. 이런 인물이 전부 다 나오니 작가는 모든 캐릭터를 머릿속에 담고 알려주고 있을지 몰라도 읽는 내 입장에서는 누가 누군지 책을 다 읽은 지금까지도 잘 모르겠다 오로지 심시선이라는 이름만 정확히 기억할 뿐이다. 그럴 수밖에 없는 것은 이 책은 제목에도 나온 것처럼 시선의 이야기가 주뼈대다.



대체적으로 심시선과 관련된 이야기가 매 챕터마다 나온다. 그가 했던 일이나 글 등에 대해 설명하는 책이나 잡지 등이 나온다. 그 후에는 현재를 살아가는 가족들의 이야기가 진행된다. 여기서 가족들은 시선에 대해 이야기를 하는데 엄마라고도 하고, 할머니라도 하면서 추억아닌 추억을 한다. 가장 큰 이유는 가족 모두가 하와이로 여행을 간다. 심시선은 무척이나 현대적인 여성이었다. 거기에 개방적이었기에 여러 화제도 몰고 다녔다.

제사에 대해 좋아하지 않았기에 절대로 자신에 대한 제사를 지내지 말라고 말한다. 가족들은 거의 10년 동안 유지를 잘 받들어 제사없이 지냈다. 그러다 갑자기 10주년으로 제사를 지내자고 제안한다. 다들 반대하지만 엄마의 10주년이니 한 번 정도는 제사를 해도 괜찮을 것이라는 말과 함께 제사를 하와이에서 하자고 말한다. 다들 어이 없어 하면서 하와이에서 제사를 지낸다는 것이 말이 되냐는 불평을 하지만 거기서 가볍게 하면 된다는 주장에 다들 수긍한다.

여기서 대단한다고 생각한 것이 바로 하와이에 가자는 말과 함께 모든 가족이 갈 수 있다는 사실이었다. 해외 여행을 여러 가족이 함께 가려면 스케쥴도 맞춰야 하지만 돈도 문제다. 그럼에도 다들 곧장 간다. 소설이라 생략한 것인지도 모르겠지만. 마지막에 가서 해외여행을 시선의 인세로 갔다는 표현이 나오긴 한다. 식구들이 살았던 곳이 부암동과 평창동이었다. 평창동은 부촌이다. 그런 시선과 달리 임차로 살았다고 말을 하긴 한다.

그럼에도 시선은 독일과 미국을 다니면서 일을 배웠다. 미술을 배우기 위해 외국을 갔다. 당시가 아마도 1960년대가 아닐까하는데 그 시대에 대학을 다녔고 외국까지 공부하러 갔다는 점에서 꽤 부유했던 듯하다. 너무 자본주의 관점에서 본 것도 같지만 내가 속물이라 그런지 몰라도 제일 먼저 그런 점이 떠올랐다. 이들이 하와이에서 가서 벌어지는 일들과 그들이 이야기를 하면서 과거를 회상한다. 하외이에서는 주로 서핑관련이 기억에 남는다.



서핑을 배우기 위해 매일같이 연습해서 마지막에 조금이라도 타게된다. 나름 성취지향적인 인물이 나라서 그런 점이 더 기억에 남는지도 모르겠다. 전체적으로 책에서 딱히 기억에 남는 것은 많지 않았고 그다지 재미있게 읽지는 않았다. 딱히 이렇다할 내용이 전개되지 않고 뭔가 지지부진하다는 느낌이 들었다. 차라리 시선에 대한 내용만 좀 더 많이 나왔다면 훨씬 재미있게 읽지 않았을까한다. 시선은 상당히 특이한 인물이라 해도 된다.

시선이 살아갔던 시대에는 가부장적인 사회였는데도 이런 것에 전혀 개의치않고 자신의 할 말을 똑부러지게 한다. 그것도 전혀 주눅들지 않고 말한다. 할머니이자 엄마인 시선의 이런 세상을 바라보는 시선과 삶을 바라보는 태도, 생활은 분명히 자녀와 손자녀들에게 전달되었을 것이다. 시선이 결코 자신의 멋대로 살아갔다는 것은 아니다. 자신이 바라보는 시선에서 남들과 다소 상충되는 지점이 있었겠지만 그런 점에서 딱히 트러블을 만들면서 살아간 것도 아닌 듯하다.



시선이 살아간 인생의 궤적을 볼 때 남을 가족들이 계승해서 살았냐고 묻는다면 내가 읽은 책에서는 그래 보이진 않는다. 내가 오독했을 수도 있겠지만. 그저 지극히 평범하게 살아가고 있다. 그걸 또 다시 본다면 시선이 그렇게 했던 것이 지금 살아가는 사회에서는 지극히 평범하기 때문이 아닐까한다.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은 눈에 띄지 않을지라도 점차적으로 발전하며 개선되어가고 있다. 나는 그렇게 알고 믿고 있다. 그나저나 하와이에서 제사라니 신박한 건 사실이다.

까칠한 핑크팬더의 한 마디 : 뭔가 제자리인 듯하게 읽었다.
친절한 핑크팬더의 한 마디 : 시선의 시선이 좋았다.

함께 읽을 책

https://blog.naver.com/ljb1202/221201143996

82년생 김지영 - 공존과 평등

상당히 큰 화제를 모은 베스트셀러 소설이다. 딱히 볼 생각은 없었다. 베스트셀러가 된 책을 굳이 읽으려 ...

blog.naver.com

https://blog.naver.com/ljb1202/221548830142

쇼룸 - 단편 소설

독서가 상당히 카테고리가 넓다. 세상 모든 것에 대해 전부 다 있다. 지식이나 상식을 넓히기 위해 독서하...

blog.naver.com

https://blog.naver.com/ljb1202/221519197654

우리가 녹는 온도 - 소설과 에세이

얼핏 책을 봤을 때 에세이라 생각했다. <우리가 녹는 온도>의 작가인 정이현은 <달콤한 나의 도시...

blog.naver.co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