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님이 기가 세요 - 유쾌한 여자 둘의 비혼 라이프
하말넘많 지음 / 포르체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딱히 찬성하지는 않는다. 비혼을 주장하거나 페미니스트라고 외치는 것을. 자연스럽게 결혼을 안 할 수도 있고 할 수도 있다. 굳이 꼭 결혼을 할 필요는 없다. 그럼에도 비혼이라고 외치는 것은 아마도 스스로 결혼이라는 것에 나도 모르게 함몰되고 에너지를 쏟는 것이 싫어 그럴 수도 있다. 페미니스트도 역시나 비슷하다. 그저 남녀의 차이를 인정하고 상대방을 이해하면 된다. 내가 이렇게 이야기하는 것은 무척이나 이상적이지만 역지사지 입장에서 다를 수 있다.

나는 남자라서 모든 것을 너무 당연하게 받아들인 측면도 있다. 여자로 살아가는 삶과 남자로 살아가는 삶은 분명히 다르다. 남자가 좀 더 편하고 득을 보는 것도 있다. 이런 부분에 있어 내가 자랄 때는 별 의식없이 받아들였다. 시간이 지나면서 남녀 구분을 그에 따른 차별을 인식하게 되었다. 당연히 자연스럽게 인식해다기 보다는 누군가 설명한 걸 듣고 맞다고 생각했기에 스스로 개선하거나 인식을 전환한 측면이 더 강하다. 그런 면에서 볼 때 교육은 참 중요하다.



누군가 문제제기를 했고 타당한 생각이 들었다. 인식의 전환을 해 준 사람들이 페미니스트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꼭 페미니스트 덕분은 아니다. 그런 생각을 갖고 있던 많은 사람들이 주장한 덕분이다. 아무래도 남자보다는 여자가 훨씬 더 많았을테다. 그걸 굳이 나는 페미니스트라고 내세우며 이야기하는 것에 찬성을 하지 않을뿐이다. 이런 점은 꼭 페미니스트가 아니라도 다른 부분에 있어서도 똑같다. 사회에서 살아가며 다양한 모습으로 여러 사람을 만나 관계를 형성한다.

이 책인 <따님이 기가 세요>에서도 굳이 부모를 모부라고 표현한다. 단어는 하나의 개념을 설정하고 나도 모르는 무의식을 건드릴 수 있다. 사소하다면 사소한 이런 단어부터 내 정체성을 만들고 세상을 바라보는 시선을 결정한다. 이런 관점으로 볼 때는 부모보다는 모부라고 쓰는 것이 맞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꼭 그럴 필요가 있을까라는 생각을 하는데 이건 내가 남자라서 그런지 여부까지는 잘 모르겠다. 성소수자를 비롯한 사회에서 소수자에 대한 인식도 똑같다. 나와 같은 사람으로 받아들이라는 거.

나는 전혀 알지 못하는 채널인 '하말넘많'을 운영하고 있는 강민지와 서솔이 쓴 책이다. 둘이 번갈아가며 지금까지의 삶을 이야기한다. 둘이 어떻게 만나게 되었으며 유튜브를 시작했고 지금은 어떤 식으로 살고 있는지 서술한다. 굳이 꼭 페미니스트 관점에서 책 내용이 펼쳐지는 건 아니다. 자신들의 진솔한 삶의 이야기도 나오고, 어려웠던 삶의 이야기도 나온다. 여성으로 사회에서 얼마나 힘들고 어려운지에 대한 자각과 함께 페미니스트로 살아가기로 한 내용도 나온다.

책에 의하면 운영하는 채널도 꼭 페미니스트 관점의 이야기만 나오는 건 아니고 먹방도 나오는 등 다양하게 영상을 올리나 보다. 둘 다 영화과인지를 나와 남들보다 유튜브를 시작한 것은 좀 더 수월했던 듯하다. 무엇보다 편집은 익숙하니 말이다. 유튜브 촬영하고 편집한 이야기를 읽으니 얼마나 공을 들였는지 확실히 나같은 사람은 도저히 유튜브를 열심히 할 수 없다는 생각도 들 정도다. 더구나 시작하자마자 첫번째 올린 영상이 알신이 도와줘서 엄청난 인기를 얻었다고 한다.



다만 명확한 인식과 개념을 잡고 페미니스트 관점에서 영상을 올리다보니 꽤 많은 공격도 받나보다. 반대로 볼 때 그 점도 마음에 들지 않는다. 자신이 하고 싶은 말을 하는데 그걸 받아들일 것은 받아들이고 인정할 것은 인정하면 된다. 왜 그런 이야기를 했는지 생각해보고 자신의 가친판단에 잘못되었다고 생각하면 반론을 펼치면 된다. 다짜고짜 욕을 하고 조롱하는 것은 도움도 되지 않을 뿐더러 굳이 말하자면 페미니스트적인 관점이 더욱 강성해질 수 있지 않을까한다.

전국을 돌아다니면서 콘서트도 개최했다고 한다. 그 자리에서 여성만 모였는지 잘 모르겠으나 자신들이 응어리진 이야기를 마음것 할 수 있었다고 한다. 더구나 어떤 분이 자살을 생각했는데 유튜브를 보고 살자로 마음을 바꿨다고 하니 채널이 좋은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닐까한다. 돈에 대해서 초반에 욜로로 생각하기에 좀 안타깝다고 봤는데 돈에 대한 걸 촬영했다. 의외로 자신과 비슷한 나이의 많은 여성이 두 저자보다 훨씬 더 많은 돈을 모았고 자산을 불리고 있었다.



그런 걸 본 후에 지금은 저축도 하고 노력한다고 하니 그런 점은 좋았다. 이런 건 사실 페미와 전혀 상관없이 이 세상을 살아가는 이야기였다. 책을 읽으며 동의하는 것도 있고 아닌 것도 있다. 나와 다른 생각을 갖고 있다고 배척하기보다는 오히려 왜 그런지에 대해 상대방의 주장을 읽어보고 받아들일 것은 받아들이는 것이 오히려 긍정적인 자세가 아닐까한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보다 더 강한 페미니스트 책도 읽었다. 그렇게 볼 때 이 책은 아주 소프트하게 그저 두 저자의 삶에 대한 이야기를 읽었다.

증정 받아 읽었습니다.

까칠한 핑크팬더의 한 마디 : 굳이 페미니스트라고 주장할 필요가.
친절한 핑크팬더의 한 마디 : 내 삶은 내가 선택하고 주장하는 것이니.

함께 읽을 책

https://blog.naver.com/ljb1202/220982368474

여혐민국 - 페미니즘

페미니즘. 페미니스트. 참 어려운 단어다. 단어 자체가 어려운 것은 아님에도 말이다. 불편한 것은 분명히 ...

blog.naver.com

https://blog.naver.com/ljb1202/220529166965

남자들은 자꾸 나를 가르치려 든다 - 반성

남자들은 자꾸 나를 가르치려 든다 작가 리베카 솔닛 출판 창비 발매 2015.05.15. 리뷰보기 착각했다. 책 ...

blog.naver.com

https://blog.naver.com/ljb1202/221323421851

어머니의 나라 - 모계사회

점점 갈수록 여권(?)신장이 되고 있다. 이로 인해 불편해 할 사람들도 있겠지만 올바른 방향으로 나가고 있...

blog.naver.co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