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른의 어휘력 - 말에 품격을 더하고 세상을 올바르게 이해하는 힘
유선경 지음 / 앤의서재 / 2020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말을 하거나 글을 쓸 때 어휘에 대한 부족감을 느낀다. 뭔가 지금 머릿속에 있는 이 느낌과 감정을 정확하고 제대로 표현하고 싶은데 힘들다. 아주 적절한 어휘가 생각나면 막힌 곳이 뚫리는 것 같지만 전혀 그렇지 못할 때가 많다. 뭔가 글로 쓰고 있어도 불만이 가득할 때도 많다. 좀 더 적절한 어휘로 내가 하고 싶은 말을 전달하고 싶지만 언제나 실패에 가깝다. 어휘가 상대적으로 쉬운건 아니다. 대부분 쓰는 어휘를 또 쓰고 또 쓴다. 새로운 어휘를 배우는 것도 쉽지 않다.

일정 양의 어휘를 알고 있다면 의사소통에 전혀 불편함이 없다. 특정 분야에서 쓰는 어휘가 있겠지만 그건 전문적인 영역이라 일상에서는 전혀 알아야 필요가 없다. 좋은 어휘는 훌륭한 글을 쓰게 만든다. 어떤 어휘를 쓰느냐에 따라 형용사, 부사, 조사 등이 달라진다. 그저 적절한 어휘만 잘 골라 써도 맛깔스러운 글로 탄생할 수 있다. 뻔한 어휘는 뻔한 문장을 만든다. 의사전달을 어느 정도 할 수 있을 지 몰라도 읽는 맛은 전혀 느껴지지 않는 경우가 대다수다.

아무래도 글로 먹고 사는 직업은 아니지만 언제나 글을 쓰는 사람으로 적절한 어휘로 맛깔스러운 글을 쓰고 싶은 욕심은 언제나 있다. 이게 힘들다. 어휘를 습득하는 것은 쉽지 않다. 일상에서 자주 쓰는 어휘와 달리 자주 쓰지 않는 경우가 더 많다. 새로운 어휘를 들어도 금방 잊게 된다. 자주 쓰지 않는다면 스쳐지나갈 뿐이다. 가끔은 주절주절 설명을 하는데 이 또한 어휘로 해결 가능하다. 한 단어면 될 것을 그걸 모르니 어쩔 수 없이 길게 설명하면서 진을 뺀다.

한편으로는 어휘를 많이 알아도 문제기도 하다. 어휘라는 것은 나만 알고 있다면 소용이 없다. 내가 알고 있는 걸 상대방도 알아야 서로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나는 멋진 어휘를 썼다고 생각해서 의기양양한데 상대방은 눈만 깜빡거린다. 이건 좋은 어휘일지 몰라도 적절한 어휘가 아닐수도 있다. 그렇기에 어휘라는 건 그 시대와 사회분위기에 맞아야 할 필요도 있다. 사멸되는 어휘가 있고 새롭게 태어나는 어휘가 있다. 새로운 어휘는 아무래도 축약이나 합성어인 경우가 많다.

유행어처럼 당시에만 통용되고 시간이 지나면 다들 그 어휘를 쓰지 않는다. 이럴 때는 그저 그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만 쓰고 사장된다. 어휘란 그 이후로도 살아남아야 가치가 있다. 그렇기에 더 어렵다. <어른의 어휘력>은 어휘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책에서 일부러 작정하고 저자가 다양한 어휘를 선보이면서 각주를 달고 있다. 아무리 좋은 어휘라도 읽는 사람이 무슨 뜻인지 모르면 그저 글자에 지나지 않는다. 글을 읽으며 맥락으로 대략적인 느낌으로 알 수 있을 뿐이다.

책에서 소개하는 수많은 어휘에 대한 각주를 전부 읽지는 않았다. 다행히도 아는 어휘도 있었고 그렇지 않은 어휘는 맥락으로 그럴 것이라는 지레짐작을 하고 넘어갔다. 일상 생활에서 말을 잘하건 좋은 글을 쓴다는 것은 반드시 풍부한 어휘를 보여주는 것은 아니다. 자신이 하고 싶은 이야기를 정확하게 전달하면 족하다. 그것도 아주 쉬운 일상에서 쓰는 표현으로 하면 된다. 그마저도 제대로 하지 못하는 사람이 부지기수다. 이러니 사실 어휘력은 꿈도 꾸지 못한다.

아마도 어휘에 대한 갈증이 있다는 이야기는 어느 정도 글을 좀 써 본 사람들이 느끼지 않을까싶다. 글을 계속 쓰다보면 자신이 갖고 있는 어휘에 대한 한계를 느낀다. 더 많은 어휘로 자신의 생각을 제대로 전달하고 싶다는 욕심이 생긴다. 무작정 사전을 찾는다고 될 일도 아니다. 책에서 검색으로 충분히 가능하다고 알려준다. 나도 그렇게 하면 된다고 글쓰기 강의에서 말은 했다. 막상 보면 불충분하다는 것도 느낀다. 아마도 그건 한 단계 성장하기 위한 발전의 과정이 아닐까도 한다.

미주알 고주알 재잘 재잘 대는 사람들의 특징은 어휘가 풍부하다. 같은 말을 반복적으로 하면 질린다. 이를 피하기 위해서는 같은 뜻도 다른 어휘로 표현하고 적재적소에 부합되는 단어는 중요하다. 해당 단어의 뜻을 정확히 몰라도 맥락으로 가늠하며 눈치로 알아 채기 때문이다. 그런 사람들과 하는 대화는 즐겁다. 그런 글은 읽기에 편할 뿐만 아니라 읽는 즐거움이 생긴다. 책에서 '푸르다'는 표현이 나온다. 바다는 푸르다고 표현하지만 정작 바다가 꼭 그런 것은 아니다. 얼마나 별 생각없이 표현하는지 알게 하는 대목이다.

어릴 때 신호등을 보고 '파란색에 건너'라고 배웠다. 정작 그 색깔은 녹색이다. 지금 아이들은 녹색으로 배우는 걸로 안다. 아직도 여전히 어른들은 파란불이라고 표현한다. 그만큼 어휘가 적다고 말할 수도 있고, 엄청나게 많은 어휘가 있는데도 이를 몇 개 단어로 퉁친다고 할 수 있다. 서로 같은 이야기를 하고서도 상대방의 이야기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이유다. 심지어 어휘는 우리가 갖고 있는 생각의 한계를 확장시켜주고 범위를 넓혀준다. 어휘에 따라 받아들이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아마도 어휘에 대한 책이라 일부러 저자가 그랬겠지만 너무 어휘에 집착한 느낌도 있었다. 굳이 쉽게 표현할 수도 있는 걸 두고 잘 쓰지 않는 어휘를 고집해서 표현했다. 좋은 어휘를 살릴 필요는 있지만 대다수가 쓰지 않는다면 자연스럽게 어휘도 사장되는거 아닐까. 시대가 변하며 과거의 것은 안 쓰기도 하는 것처럼 말이다. 그런 어휘는 붙잡고 있는 것보다는 놓아주는 것이 맞지 않을까도 싶다. 대신에 계속 새로운 단어가 조합되면서 생기기도 하니 말이다. 책에 나온 어휘 중 40% 정도만 아는 듯해서 반성하게 된다.

까칠한 핑크팬더의 한 마디 : 쉬운 어휘로 써도 되는데.
친절한 핑크팬더의 한 마디 : 어휘가 풍부하면 유식해 보인다.

함께 읽을 책

https://blog.naver.com/ljb1202/220247203590

꽃이 없어서 이것으로 대신합니다 - 유일한 꽃

꽃이 없어서 이것으로 대신합니다 작가 유선경 출판 동아일보사 발매 2014.11.05 리뷰보기 구스탐프 클림트...

blog.naver.com

https://blog.naver.com/ljb1202/220929551103

표현의 기술 - 글쓰기

글쓰기에 대한 책이다. 유시민은 좋아하는 작가다. 두가지를 동시에 해결 할 수 있는 책이다. 글쓰기에 대...

blog.naver.com

https://blog.naver.com/ljb1202/220292734605

고종석 문장 - 교본

고종석의 문장 1 작가 고종석 출판 알마 발매 2014.06.02 리뷰보기 어느 순간부터 글쓰기 교본처럼 인용되...

blog.naver.co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