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부의 비밀 - 세계 최고 부자들을 통해 본 돈의 메커니즘
샘 윌킨 지음, 이경남 옮김 / 알키 / 2018년 10월
평점 :
절판



제목인 <1% 부의 비밀>만 놓고 보면 뻔하디 뻔한 책으로 읽힌다. 원제도 'Wealth secrets of the one percent'다. 영어 제목도 그다지 끌리지 않는다. 그 이유는 부에 대해 알려준다는 책인데 어떤 내용을 이야기할 지 눈에 보이기 때문이다. 막상 책을 읽어보면 예상과는 다른 전개가 펼쳐진다. 무엇보다 이런 부를 알려주는 책이 거의 대부분 두껍지 않다. 지식적으로 무엇인가를 알려주기보다는 동기부여라 그런 측면이 많다.


이 책은 부에 대해 비밀을 알려준다고 하는데 경제학자가 쓴 책이다. 이를 상당히 학구적이면서 학문적으로 접근한 책이다. 다소 일방적인 자신의 주장만을 펼치는 것이 아닌 인류 역사에 있어 거대한 부를 형성한 사람들을 소개하며 그들이 어떤 식으로 그토록 큰 부를 쟁취하고 형성했는지 알려준다. 다소 지겹다고 하면 지겨울 정도로 개인이 부를 형성하는 과정을 소개한다. 단순히 몇몇 에피소드를 보여주는 것이 그치지 않는다.


부자가 되는 과정에서 당시 시대상을 보여준다. 주변 인물과 상황이 어떠했는지 챕터마다 소개한다. 정작 중요한 핵심은 몇 문장이나 몇 문장으로 소개할 수 있다. 그걸 위해 기나긴 여정을 떠난다. 책에서 소개하는 거대한 부를 쟁취한 인물은 다음과 같다. 로마 마르쿠스 크라수스. 존 록펠러, 카네기, 밴드펠트, JP모건, 빌게이츠. 이렇게 어느 정도 이름일 알 정도로 유명한 인물도 있고 잘 알려져 있지 않은 국가의 인물도 함께 소개한다.


책에서 제일 먼저 중요하게 소개하는 개념은 독점과 용기다. 그렇다고 독점과 용기를 위해 너무 많은 걸 희생하지 말라고 한다. 위험을 무릅쓸 필요는 있지만 대가를 치르지 않도록 노력하라고 한다. 좀 모순되게 보일 수 있어도 그게 핵심이다. 아무리 거대한 부를 쟁취해도 대가를 치룬다면 오래가지 못한다. 독점은 내가 하는 걸 남들이 쉽게 따라하지 못한다는 뜻이다. 누구나 다 따라하고 쉽게 진입할 수 있다면 그보다 난 더 노력을 끊임없이 해야 한다.


그 과정에서 내가 성장할 수 있겠지만 그 전에 내가 망할 확률도 무척이나 크다. 최근 한국에서 어느 카페가 엄청 성장을 했지만 결국에는 안좋은 결과를 맞이한 걸 보더라도 알 수 있다. 거대한 부를 형성한 인물에게 중요했던 것은 시간과 장소이며 여기에 운이 따라야한다. 내가 늘 이게 중요하다고 이야기하는데 사람들은 잘 믿지 않는다. 인간에게 운이 더 중요하다고 하면 너무 심심하다. 스토리로 봐도 재미없으니 무시하는 경향이 많다.

이와 더불어 책에서 소개하는 부의 비밀은 다음과 같다.


1. 최고가 아닌 유일한 존재가 돼라.

2.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라.

3. 사업하기 가장 나쁜 장소를 주목하라.

4. 망할 걱정 없는 곳에서 돈을 빌려라.

5. 뺏을 수 없는 재산을 소유하라.

6. 법을 교묘하게 활용하라.

7. 네트워크에 사할을 걸어라.


이런 내용은 어느 정도 알려진 것이다. 이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 남들이 하는 걸 한다면 너무 힘들다. 이미 기존에 있는 수많은 경쟁자를 물리치고 이겨야 할 뿐만 아니라 그들보다 뛰어나야 한다. 그것도 지속적으로 말이다. 그렇기에 나만 할 수 있는 걸 사람들에게 보여줘야만 거기서 수익을 얻을 수 있다. 특히나 규모의 경제를 달성해야만 한다. 그 전까지는 그다지 의미가 없다. 이런 부분은 나도 지속적으로 이야기하는 개념이다.


이를테면 부동산 투자에 있어 일정 규모 정도까지 가지 못한다면 아무 의미가 없다고 말한다. 1가구 1주택을 이용하는 것은 아무 의미없다. 다른 걸로 수익을 얻고 있다면 모르겠으나 진정으로 자신이 부동산 투자를 하기로 마음먹었다면 규모의 경제로 가야 한다. 더구나 사업하기 나쁜 곳이라는 것은 결국에는 최악의 상황이라는 것이다. 그런 곳에서 기반을 닦아야 그곳이 다시 성장할 때 엄청난 기회와 이득을 얻을 수 있다. 언제나 역사는 그랬다.


대출이라는 개념과는 다소 다르지만 타인의 자본을 이용해야 한다. 심지어 그 돈을 이용할 때 나보다 빌려준 사람이 더 걱정할 상황을 만든다면 난 이미 성공한 위치에 서 있는 것이다. 뺏을 수 없는 재산이란 지적재산권 같은 걸 의미한다. 이런 것은 언제든지 내가 다시 일어설 수 있는 바탕이 되고 오래도록 내 재산을 지킬 수 있는 원동력이 된다. 여기에 법을 알아야 한다. 대부분 법을 잘 몰라 실수하고 실패하고 억울한 일을 당한다. 법이란 아주 쉽게 우리 앞에 놓여있는 기회다.


끝으로 네트워크라는 표현은 결국에는 돈이 돈을 번다는 의미와 같다. 아무리 내가 무엇을 하려 해도 나 자신이 해야만 하는 상황이라면 수익에는 한계가 있다. 큰 부자가 되기 위해서는 내가 일하는 것보다는 내 돈이 일하는 시간이 더 많아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내가 모든 것을 다 할 필요는 없다. 이런 부분은 내가 많이 약한 부분이기도 하지만 아직까지는 스스로 좋아서 직접 모든 것을 다 하긴한다. 이 책은 전체적으로 1% 부자에 대한 이야기만 충분히 개인에게도 적용할 수 있다.


증정받아 읽었습니다.


까칠한 핑크팬더의 한 마디 : 꼭 큰 부자가 될 필요는 없다.

친절한 핑크팬더의 한 마디 : 부자가 되려면 기억하자.


함께 읽을 책

https://blog.naver.com/ljb1202/220318396927

플루토크라트 - 부자가 되고 싶다


https://blog.naver.com/ljb1202/220045410049

새로운 부자들 - 미국의


https://blog.naver.com/ljb1202/220552366697

부자들의 역습 - 패권은 부자에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