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세상이 잘못 돌아가나
G. K. 체스터턴 지음, 서상복 옮김 / 연암서가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앞서도 몇 차례 체스터턴에 관한 리뷰에서 언급한 적이 있듯이, 그는 영국 출신의 유명한 소설가이자 비평가였다. 개인적으로는 그가 쓴 브라운 신부 시리즈의 추리소설을 어린 시절 즐겁게 읽었고, 조금 자란 후에는 그의 글이 C. S. 루이스에게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는 점에서 더욱 호감을 갖게 된 작가다. 루이스는 가톨릭 신앙에 충실했던 체스터턴 등에게서, 뛰어난 지적 사고의 소유자가 깊은 신앙심을 가지고 있는 일이 반복적으로 발견된다면, 그 신앙에 무엇인가 있지 않을까 하는 추리를 했었다.


우리나라에도 추리소설 이외의 체스터턴의 글이 몇 권 번역되어 나오고 있다. 그 중 앞서 읽었던 세 권의 책은 어느 정도 기독교 신앙에 관련된 글이었다면, 이 책은 좀 더 사회비평적 성격이 강하다. 그래서 출판사도 앞서의 책들은 비아토르나 아바서원 같은 기독교 계통의 회사였지만, 이 책은 연암서가다.





책은 체스터턴이 살았던 20세기 초반 영국 사회의 다양한 문제를 지적한다. 주거문제, 교육문제, 제국주의, 페미니즘 같은 당대의 네 가지 문제에, 아주 통렬한 풍자를 동원한 날카로운 비평을 쏟아낸다.


주제가 크게 네 가지라고는 하지만, 저자인 체스터턴의 입장은 한 가지로 모아진다. 그는 당대 새롭게 등장한 진보라는 이름의 사회적 실험에 강한 반감을 드러낸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그가 단순히 기득권 세력의 이익에 복무하고 있다는 의미는 아니다. 그는 이 부분에 대해서도 통렬한 비판을 시도하고 있고, 나아가 아예 정치적 보수파와 진보파 양쪽이 서로 적대적 공생관계를 하고 있지는 않는가 하는 강한 의심을 하기도 한다.


하지만 여전히 그가 옹호하는 가치들을 보면 전통적인 것들이라는 점에서(중산층이 자기 소유의 제대로 된 집을 갖고, 귀족적 가치와 명예를 아는 교육을 하고, 남성과 여성의 차이에 근거한 역할을 제안하고 하는 등) 분명 체스터턴은 보수주의자, 혹은 전통주의자라고 부를 수 있다. 오늘날 보수라는 단어가 우리나라에서 심각하고 오염되어 있기 때문이지, 원래 이 단어는 반드시 바꿔야 할 필요성이 없는 상황이라면, 혹은 더 나은 대안이 발견되기 전까지는 이전에 하는 것을 그대로 잇고자 하는 태도를 가리킨다.





탁월한 글재주의 소유자답게, 체스터턴은 수많은 사회적 주제들 사이를 종횡무진 활보하면서 자신의 견해를 조금은 시니컬하게 쏟아낸다. 그리고 이 시니컬함이 종내 좀 못마땅하게 느껴지는 사람도 있을 지도 모르겠다. 그 중 한 명이 이 책의 번역자가 아니었나 싶은데.... 책 곳곳에 쓸 데 없는 역주를 너무 많이 달아 놨다. 저자에 대한 평가는 그의 글을 통해 독자가 직접 하면 그만인데, 이건 역자가 무슨 해제를 하듯 여기저기 이건 체스터턴의 생각에 문제가 있다는 식의 각주가 수두룩하다.


특히 페미니즘에 관한 저자의 의견에 대해 이런 시도가 잦은데, 예를 들면 170쪽의 19번 각주를 보면 여성주의에 대한 오용과 남용이 만연한 상황을 지적하면서 체스터턴도 그 중 하나라고 단정짓는다. 그러면서 페미니즘에 대한 가장 바람직해 보이는 정의를 하나 끌어다 대는데, 역자가 제시하고 있는 정의는 정작 페니미스트들 사이에서도 합의되지 않고 있는 부분이고, 그 중 한 파의 입장에 불과하다. 이런 식의 개입이 꽤 잦아서 ‘마음에 안 들면 굳이 번역은 왜 하겠다고 했는지’ 싶은 생각도 들 정도.


139쪽의 9번 역주도 가관이다. 여기서는 창세기에 등장하는 니므롯에 관해 설명하면서 “유대인의 부족신 야훼가 인정한 뛰어난 사냥꾼”이라고 덧붙인다. 역자의 무신론적 전제를 굉장히 노골적으로 드러내는 부분으로, 본인은 꽤나 학술적으로 서술하고 있다는 우쭐함까지 엿보인다. 가톨릭신자였던 체스터턴은 이런 각주를 보고 뭐라고 말할까. 이건 좋게 봐도 그에 대한 몰이해, 내지는 디스로 보일 수도 있는 부분이다.


물론 모든 각주가 이런 식은 아니다. 많은 경우 본문에서 언급된 어휘나 인물들에 관한 좋은 설명이 붙어있지만, 결국 음식에 들어간 머리카락 하나가 그 음식에 대한 평가를 좌우하게 되는 법이니까. 못내 자신이 “제대로 된” 평가를 덧붙이지 않으면 독자가 체스터턴의 의견을 따라가 버릴 지도 모른다고 염려했던 것일까.





체스터턴의 글 가운데 분명 시대적 한계를 지닌 것들이 있다. 하지만 적어도 이 글에서 체스터턴이 반복적으로 지적하는 (일종의 철학적으로 이데올로기로서의) 진보적 입장에 대한 무조건적 추종이 낳을 수 있는 위험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한 경고라고 생각한다. 번역자(와 출판사 관계자)가 극구 다른 의견을 쓰고 싶다면, 자신들의 이름을 걸고 다른 책을 쓰면 될 일이다.


위대한 보수주의자였던 체스터턴의 맛을 느껴볼 수 있는 책. 시대적 간격이 있어서 조금은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고, 그의 주장에 대한 이견이 생길 수도 있다. 하지만 어느 쪽이든 논리적으로 그와 대면해 보는 건 분명 유익한 경험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똑같은 불에 갖다 대도 황금은 빛을 내고 쭉정이는 연기를 내는 것처럼,

똑같은 도리깨로 쳐도 짚은 짜부라지고 알곡은 걸러지는 것처럼,

압착기에서 똑같은 힘으로 짜내도 기름과 찌꺼기는 섞이지 않는다.

이처럼 똑같은 고통에도

선인은 시험당하고 정결해지며 순수해지지만

악인은 공격당하고 파멸한다.


아우구스티누스, 『신국론』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기를 먹지 않고서 철분 결핍증을 피해가기는 어렵다.

식물에 많이 들어 있는 수산염, 타닌, 피틴산이 철분 흡수를 막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시금치가 철분이 풍부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

하지만 시금치에 들어 있는 철분의 2퍼센트만이 체내에 흡수된다.

철분이 비헴철의 형태로 들어 있어서 그렇고,

시금치에 수산염이 많이 들어 있어서 그렇기도 하다.


다이애나 로저스, 롭 울프, 『신성한 소』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