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671 | 672 | 673 | 674 | 67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오늘날 교육에 기여할 수 있는 가장 큰 일은

과목 수를 줄이는 것이다.

스무 살 이전에는 아주 적은 몇 가지밖에 할 시간아 없다.

어린 소년에게 열두어 과목을 어중간하게 잘하기를

요구하는 것은 아이의 수준을 무너뜨리는 짓이며,

어쩌면 아이의 평생을 무너뜨리는 짓이 될 수도 있다.

 

- C.S. 루이스, 『예기치 못한 기쁨』中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평생 아버지한테

사랑받고 인정받기를 간절히 바랐는데,

아버지 역시 자식들로부터

사랑받고 인정받기를 원했다는 것을

나는 처음 알았다.

 

 - 게리 채프먼, 『함께 사는 동안에』中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정의로운 사회는 단순히 공리를 극대화하거나

선택의 자유를 확보하는 것만으로는 만들 수 없다.

좋은 삶의 의미를 함께 고민하고,

으레 생기게 마련인 이견을 기꺼이 받아들이는

문화를 가꾸어야 한다.

 

- 마이클 샌델, 『정의란 무엇인가』中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에는 인간의 선은

궁극적으로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 일로 이루어져 있었다.

그러나 지금은 인간에게 좋은 것들이 하나님께도 영광이다.

 이전에는 사람이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기 위하여 살았으나

지금은 하나님이 사람을 섬기고 있다.

- 죠셉 하루투니안

 

『미국제 복음주의를 경계하라』 中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복음주의가 자유주의에 답하다
존 스토트.데이비드 에드워즈 지음, 김일우 옮김 / 포이에마 / 2010년 9월
평점 :
절판


1. 줄거리 。。。。。。。               

 

     영국의 저명한 자유주의 신학자인 데이비드 에드워즈가 복음주의권의 대표주자였던 존 스토트의 저술들을 연구해 한 권의 책을 썼다. 그는 자유주의의 입장에서 복음주의의 어떤 부분들이 불편하게 여겨지며 어떻게 하면 일치를 이룰 수 있을지에 대해 때로는 온건한 권유로, 또 때로는 날카로운 공격(종종 빈정대기도 하고)으로 대답을 요구한다. 이에 존 스토트는 그 책의 각각의 장에 대해서 복음주의자들이 어떻게 생각할지, 또 자유주의자들이 가지고 있는 오해와 한계에 대해서 편지의 형식으로 대답하고 있다.

 

     총 여섯 장으로 구성된 이 책은 복음과 성경, 구원의 본질에 대한 깊이 있는 질문들과 고찰들을 담고 있다. 

 

 

 

2. 감상평 。。。。。。。               

 

     흥미로운 구성이다. 서로에 대해 기본적으로 존경심을 갖고 있는 저자들이 각각 상대와 다른 자신들의 입장에 대해 진술하고 상대의 의견을 묻는데, 그 깊이가 상당하니 지적인 즐거움은 확실히 느낄 수 있다. 상대적으로 신학 사조의 양 끝인 근본주의나 현대주의자들이 아니라 복음주의와 자유주의에 속한 저자들이기에 어느 정도 말이 통하는 면도 있고, 그래서 논의가 이루어지는 장면이 흥미진진하다.

 

     다만 데이비드 에드워즈의 경우 이미 책을 다 쓴 후 그 내용에 대해 존 스토트가 답변을 하는 식으로 이루어졌기에, 좀 더 생생한 논쟁이나 치고받는 모습을 기대했던 독자들에게는 좀 아쉬운 면도 있다. 물론 데이비드 에드워즈가 책을 쓰기 전에 존 스토트의 다양한 저작들을 깊게 섭렵한 후 그에 근거해 자신의 공격을 준비했긴 하지만, 그 공격에 대한 스토트의 답변을 들은 후 재반론이나 재 질문을 던지고, 다시 여기에 스토트가 재 답변을 했더라면 둘 사이의 논의 속에서 느껴지는 빈공간이 좀 더 좁혀지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사실 비슷한 수준의 상대 사이에서 벌어지는 논쟁에서는 공격하는 쪽이 유리하다. 왜냐하면 먼저 질문을 던지는 쪽이 논의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고, 여기에 기본적인 틀까지 한정지어버리기 때문에, 답변하는 쪽은 언제나 수세에 몰리기 마련이다. 때문에 전체적인 느낌은 존 스토트가 계속 자신과 복음주의 진영을 방어하는 느낌이 강하다. 심정적으로 복음주의에 동조하는 독자들에게는 불만족스러운 부분이기도 하다.

 

     하지만 어느 순간 스토트는 단지 방어하는 차원에 머물지 않고 좀 더 적극적으로 전장(戰場)을 옮기려는 시도를 한다.(탁월한 논객이다.) 데이비드가 설정한 질문에 머물지 않고, 상대의 질문의 배경 자체에 대한 논의로 문제를 옮겨가고 있다.(여기에 대해서 데이비드가 답변을 했다면 좀 더 흥미진진했을 것 같다) 사실 이 책을 보면서 반복적으로 떠올랐던 생각은 생각만큼 양쪽의 차이가 작다는 게 아니라 그 반대라는 사실이다. 스토트도 후기에서 언급했듯 자유주의자들의 논의의 근본은 이성에 있고, 복음주의자들의 경우는 성경에 있다. 각각의 다른 궁극적인 권위는 다른 세계관을 낳았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이 문제가 합치되지 않으면 좀처럼 결론이 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종합적으로 보면 스토트는 선방을 하고 있다. 특히 위에서도 언급했듯, 논의의 장을 단지 데이비드 에드워즈가 설정한 부분에만 머무르지 않고 보다 근본적인 기원의 문제를 다루려고 했던 부분은 가장 인상적인 부분이다. 하지만 에드워즈의 질문은 복음주의자들이 모든 대답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겸손하게 인정해야 한다는 점 하나만큼은 확실하게 깨닫게 해 준다. 또, 자유주의자들 또한 인간과 영혼에 대한 뜨거운 열정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임을 기억하도록 만든다.

 

     신학을 공부하고 있거나 좀 더 깊은 기독교의 진리에 대해 궁금증을 가지고 있다면 꼭 한 번은 읽어볼만한 책이다. 복음주의권에 속해있든, 자유주의자이든(현대주의에 좀 더 치우쳐 있는 사람들이라면 좀 마음에 안 들수도 있겠지만) 배울 점이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671 | 672 | 673 | 674 | 67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