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에 들어가고 주변을 돌아볼 여유가 생기면서부터
무엇인가를 쓰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감상적인 글들을 끼적였고,
점차 뭔가를 알아가면서
배운 것과 실제의 상황이 다른 것을 느낄 때마다
또 다른 성격의 글을 쓰기 시작했다.
사역의 시작은 좀 더 규격에 맞는 글을
정기적으로 써내야한다는 것을 의미했고,
이만저만한 부담이 아니긴 했지만,
덕분에 글을 쓰는 습관은 확실히 길렀다.
자발적인 글쓰기든,
필요에 의한 글쓰기든,
하여튼 일주일에 최소한 네 페이지의 글을 써야했으니까.
이후에도 시간이 날 때마다,
또 쓰지 않고 못 배길 뭔가가 떠오를 때마다
이런저런 글을 쓰곤 했다.
여기에 가볍게 남기기 시작한 서평과 영화 감상들은
적은 경험과 좁은 시야를 조금씩이나마 늘이고 넓혀주었다.
그리고 이번에 그렇게 아름아름 쓰던 글 하나가
책에 실리게 되었다.
서평을 올릴 때마다 고정적인 마일리지를 받고
그 마일리지로 다시 책을 구입한다는 좋은 아이디어를
인터넷으로 구현한 리더스가이드(http://www.readersguide.co.kr)에서
회원들이 쓴 글을 묶어 책으로 낸 것이다.
단지 각자가 쓴 글을 모으는 수준이 아니고,
책에 관한 책이라는 독특한 컨셉.
온오프라인에서 꽤나 유명한 분들이
자신이 읽은 책을 바탕으로 몇 개의 연관 서적을 엮어
하나의 논리적인 글을 만들어 냈다.
다들 꽤나 열심히 책을 읽고 부지런히 생각을 하는 분들이라
단지 단행본 한권일 뿐인데 400권이 넘는 책 이야기가 실린다.

내가 쓴 글은
『긍정의 힘』의 놀라운 판매부수에서 시작해
우리나라의 교회가 어떻게 ‘성공’과 ‘물질’의 복음을
받아들였는지에 관한 내용이다.
꼭 내가 써서가 아니라 몇 번을 읽어봐도
간만에 깔끔하게 썼다는 느낌이다. ㅎㅎ
처음으로 인세라는 것도 받아본다.
여러 저자분들이 공평하게 나누는 거라
금액으로는 얼마 되지 않지만,
나로서는 생애 처음으로 순수하게 글만을 써서
돈을 받는 거니 의미가 남다르다.
초판 3,000부.
굳이 따지자면 인문 서적이니 적지 않은 부수다.
이왕이면 잘 팔렸으면 좋겠지만,
20대의 마지막 해에
꽤나 기억에 남는 일을 해봤다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좋은 기억일 듯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