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네상스를 만든 사람들 시오노 나나미의 저작들 6
시오노 나나미 지음, 김석희 옮김 / 한길사 / 200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값이 비싸고 수가 적은 필사본 시대가 끝났다는 것은

성직자가 지식을 독점하던 시대가 끝났음을 의미합니다.

판단을 내릴 때 필요한 지식이 교회나 수도원의 울타리를 넘어

시중에 널리 보급되기 시작합니다.

출판업을 언급하지 않고는 인간의 재발견이기도 한 르네상스를 말 할 수 없습니다.

 

1. 요약 。。。。。。。

 

     시오노 나나미의 책이다. 저자의 이름과 책 제목만 내놓더라도, 어느 정도 그 내용이 짐작되는 것이 시오노 나나미의 책들이다. 이 책도 마찬가지로, 제목인 ‘르네상스를 만든 사람들’에서 이 책이 중세에서 근대로 넘어가는 시기의 르네상스라는 시기를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시오노 나나미가 썼다는데서 책의 내용이 딱딱하지만은 않게, 그러면서도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사실과는 다른 면모를 그리고 있을 것이라는 추측이 가능한데, 실제로 그러했다.

     전체적인 내용은, 르네상스란 무엇인가 하는 질문에서 시작해서, 각 시기별 중심지 - 피렌체, 로마, 베네치아 -를 돌아가면서 각 시기의 주요 인물 중심으로 살펴보고 있다. 저자가 강조하는 점은, 르네상스란 ‘만족할 줄 모르는 호기심’ 때문에 발생했다는 것이다. 무엇이든지 ‘왜’라고 묻는 태도, 그것이 르네상스를 가능하게 만들었다는 것이다. 

     저자의 말처럼, 르네상스는 호기심이 폭발했던 시대인 듯하다. 여기서 호기심은 단순한 의문이 아니라, 미지의 것, 아직 알지 못하는 것에 대한 왕성한 탐구욕, 그리고 그것을 글이나 그림, 조각, 건축 등으로 나타내고자 하는 열정을 모두 포함한다. 저자는 ‘르네상스의 인물’을 다루면서, 단지 예술가들만을 말하고 있지 않다. 그 안에는 교황, 메디치 가문과 같이, 르네상스라는 문화의 꽃이 피어날 수 있도록 토양을 제공해준 인물들도 포함된다. 또 성 프란체스코와 같은 종교인들도 들어가고, 저자가 좋아하는 마키아벨리 같은 인물도 역시 꼽고 있다.

  

2. 감상평 。。。。。。。 

 

     

     , 시오노 나나미의 모든 책이 그러하듯이, 이 책 역시 기독교에 대한 신경질적인 반응이 여러 부분에서 나타난다. 물론 어느 정도 이 지적은 받아들일만한 면도 있다. 하지만 뿌리 없는 줄기는 있을 수 없지 않은가. 르네상스란 중세의 오랜 기간동안 천천히 고양되어져 온 인간의 역량이 마침내 때가 되어서 표출되었다고 보는 것이 더 적절한 것이다. 중세는 종교 예술의 황금기였으며, 르네상스가 시작될 무렵 교회는 더 이상 예전 같은 역할을 다하지 못하고 있었던 시기라는 점이 이를 지지해 준다. 즉, 중세의 야만적인 유럽인들의 심성을 교회 안에서 교화 시키고, 그 안에서 이루어졌던 정치, 예술과 같은 분야들이 차차 발전되어서, 교회가 제 역할을 감당해 내지 못하게 되자 그 보호를 벗어버리고 밖으로 나왔다고 보아야 하지 않을까.

     물론 중세의 유럽인들이 모두 진정한 의미의 신자라고 말할 수는 없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기독교를 그들의 삶의 기본적인 가치를 지닌 것으로 보았으며, 그 안에서 사고하고, 행동했다는 것도 인정해야 한다. 하지만 시오노 나나미는 이를 인정하지 않으며, 적어도 자신이 좋아하는 인물은 모두 기독교에 대해 신앙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것처럼 묘사하고 있다. 에라스무스와 같은 사람들은 목회적 관점에서 자신의 사상을 전개해나갔다는 견해도 존대한다.

     시오노 나나미는 애증이 교차하는 인물이다. 그의 글 솜씨는 인정하면서도, 기독교에 대한 그의 태도는 언제나처럼 받아들이기 어렵다. 하루빨리 이에 필적, 아니 능가하는 건전한 기독교적 관점을 지닌 인물이 나왔으면 하는 생각이 간절하다.

지루하지 않게 읽을 수 있는 책이었다. 책의 내용도 대화형식으로 쓰여 있어서, 마치 직접 앞에서 말하고 있는 듯한 느낌을 주었다. 다만 인물 중심으로 쓰여 있기에, 르네상스 당시의 전체적인 그림은 쉽게 와 닿지 않는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