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젠가 무심은 문밖에 있는 그대라는 대중가요를 분석해서 블로그에 올린 적이 있다. 노랫말에 반한 때문이다. 정확히는 노래 제목에 반했다. 다른 데도 아닌 문밖에 있는 그대라니. 그 이미지는 지난 시절의 연인이 하필 비 오는 날 찾아와 대문 밖에 우산도 없이 비를 맞고 서서 다시 만나주기를 원하는 처절한 장면이었다. 문 안도 아니고 문밖이라는 정서적 거리에 대해 무심은 마치 자신의 일인 듯 수필을 써서 열변을 토했었다. (수필: ‘정서적 거리의 절정, 문밖에 있는 그대’)

 

그런데 문밖에 있는 그대못지않은 대중가요 제목이 있다. ‘그리움만 쌓이네이다. 무심이 주목하는 것은 이 제목이 비유법의 원리를 아주 잘 활용했기 때문이다. 비유법은 어떤 사물(원관념)을 효과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다른 사물(보조관념)을 끌어다 쓰는 것이다. 예를 든다면 세월이 너무 빨리 지나감을 나타내기 위해 세월이 쏜살같이 흘러갔다고 표현하는 것이 그것이다.

이제 그리움이 쌓이네의 비유법적 구조를 단계적으로 살핀다.

1. 원관념은 그리움이 날이 갈수록 더해간다이다.

2. 보조관념은 낙엽이 떨어져 쌓여간다이다.

3. 원관념에 보조관념이 합쳐지면 그리움이, 낙엽이 쌓이듯 더해간다이다.

4. 이를 축약하면 그리움이 쌓이네.

 

그리움이란 추상적 정서를 낙엽이라는 구체적 사물에 빗대어 표현(은유)그리움만 쌓이네’ . 가을이면 하염없이 떨어져 지상에 쌓이는 게 낙엽일진대 그런 자연현상을 속수무책으로 받아들여야 하는 처지라니.

그리움만 쌓이네.’이를 어찌 대중가요의 제목이라고 폄하할 수 있을까. 웬만한 서정시의 제목보다 낫지 않은가.

 

덧붙임: ‘그리움만 쌓이네가 워낙 좋은 노래라서 수많은 가수들이 불렀다. 원작자인 여진을 비롯해 윤민수, 노영심, 나연 등이다. 최근에는 트롯 계()에 혜성처럼 나타난 임영웅도 불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춘심산촌이 청정한 건 잣나무 숲 덕분이다. 바로 옆 찻길과 춘심산촌 사이에 자리 잡아서 매연과 소음을 막아주는 벽이 되었다. 오동나무참나무가 그 가장자리에서 자란다.

잣나무 숲에 들어가 보면 진달래개옻나무오리나무도 자라는데 잣나무들 기세에 주눅 든 것인지 별로 크지를 못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동이족이 노래 부르며 놀기를 좋아한다는 사실은 중국 고서(古書)에 기록돼있을 정도다. 오늘, 길을 가다가 아주 절묘한 노래연습장 간판을 발견했다.

몸부림 노래연습장

그 순간 직장가정에서 받는 스트레스를 떨쳐내고자 온몸으로 몸부림치는 모습들이 선하게 떠올랐다. 노래 부르기를 좋아하는 민족성은 차치(且置)하고서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9791026 사태가 수습되는 과정에서 보안사령관 전두환이 실권을 쥐게 됐고 결국 그는 이듬해인 1980년 장충동 체육관에서 11대 대통령에 취임한다.

정말 웃기는 것은, 그에 앞서 치러진 대선이 전두환 단독 입후보였다는 사실이다. 정치지도자 3김씨( 김대중 김영삼 김종필)를 이런저런 구실로 아예 입후보하지 못하도록 강제해 놓은 것이다.

선거도 국민의 직접 선거가 아닌, 통일주체대의원들에 의한 간접선거였다. 애당초 국민의 민의는 제대로 반영될 수 없었다. 그런 말도 안 되는 과정으로 대한민국 대통령에 취임한 전두환 장군.

 

나는 정치 상황에 별 관심이 없는 편이었으나 그렇듯 말도 안 되는 전두환 장군이 대통령 된 과정에는 몹시 분개했다. 그렇다고 한낱 고등학교 국어교사가 딱히 그 의사를 표현할 방법도 보이지 않았다. 그러할 때 교지(校誌)에 교사 기고수필로써 낸 글이 구슬치기 론()’이다.

 

그 내용은 이렇다.

동네 아이들이 구슬치기 놀이를 한다. 구슬은 가게에서 파는 유리 혹은 플라스틱 제품이다. 자기 구슬로 남의 구슬을 겨냥해 맞히면 자기 것이 되는 놀이다. 그럴 때 한 아이가 기상천외한 구슬을 갖고 나타난다. 아령의 둥근 부분을 따로 떼어내서 연마해 만든 수제(手製) 쇠 구슬이다. 다른 아이들이 가진, 연한 유리플라스틱 구슬들은 상대가 될 수 없다. 그런 말도 안 되는 쇠 구슬이 동네 구슬치기 마당을 휩쓴다.

 

공정치 못한 상황을 만들어 놓고 내가 이겼다!’고 하는, 전두환 장군이 대통령이 되는 엉터리 정국을 우화화한 것이다. 그렇게 교지에라도 발표해 놓으니 조금은 내 분개한 심정이 가라앉는 듯했다.

 

그 교지가 춘고(春高)소양강 36교지이다. 무려 34년 전 교지다.

당시 학생이었던 서현종 화백이 용케도, 그 교지 속의 구슬치기 론을 찾아내 페북에 올렸다. 비록 문장은 거칠지만 한창 젊은 내가 있었다. 세월이 많이 흘러 이제 어린이들은 구슬치기 놀이 자체를 모른다. 노후의 내가 그 때의 내게 안부 인사를 전한다.

 

 

잘 있는가? 한 번 보고 싶구먼그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길을 가다가 눈길 끄는 광고 글에 사로잡혔다. 가족계획협회의 유명한 문구 '잘  키운 딸  하나, 열 아들 안 부럽다'를 패러디한 돼지삼겹살 광고 글이다.

  그뿐 아니다. 그 아래에 작은 글씨로 쓴 '사는 건 고기서 고기 '.


  삶의 철학에 '고기'를 슬그머니 얹다니!

 식당 사장님의 빛나는 글솜씨에 나는 두 손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