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91026 사태가 수습되는 과정에서 보안사령관 전두환이 실권을 쥐게 됐고 결국 그는 이듬해인 1980년 장충동 체육관에서 11대 대통령에 취임한다.

정말 웃기는 것은, 그에 앞서 치러진 대선이 전두환 단독 입후보였다는 사실이다. 정치지도자 3김씨( 김대중 김영삼 김종필)를 이런저런 구실로 아예 입후보하지 못하도록 강제해 놓은 것이다.

선거도 국민의 직접 선거가 아닌, 통일주체대의원들에 의한 간접선거였다. 애당초 국민의 민의는 제대로 반영될 수 없었다. 그런 말도 안 되는 과정으로 대한민국 대통령에 취임한 전두환 장군.

 

나는 정치 상황에 별 관심이 없는 편이었으나 그렇듯 말도 안 되는 전두환 장군이 대통령 된 과정에는 몹시 분개했다. 그렇다고 한낱 고등학교 국어교사가 딱히 그 의사를 표현할 방법도 보이지 않았다. 그러할 때 교지(校誌)에 교사 기고수필로써 낸 글이 구슬치기 론()’이다.

 

그 내용은 이렇다.

동네 아이들이 구슬치기 놀이를 한다. 구슬은 가게에서 파는 유리 혹은 플라스틱 제품이다. 자기 구슬로 남의 구슬을 겨냥해 맞히면 자기 것이 되는 놀이다. 그럴 때 한 아이가 기상천외한 구슬을 갖고 나타난다. 아령의 둥근 부분을 따로 떼어내서 연마해 만든 수제(手製) 쇠 구슬이다. 다른 아이들이 가진, 연한 유리플라스틱 구슬들은 상대가 될 수 없다. 그런 말도 안 되는 쇠 구슬이 동네 구슬치기 마당을 휩쓴다.

 

공정치 못한 상황을 만들어 놓고 내가 이겼다!’고 하는, 전두환 장군이 대통령이 되는 엉터리 정국을 우화화한 것이다. 그렇게 교지에라도 발표해 놓으니 조금은 내 분개한 심정이 가라앉는 듯했다.

 

그 교지가 춘고(春高)소양강 36교지이다. 무려 34년 전 교지다.

당시 학생이었던 서현종 화백이 용케도, 그 교지 속의 구슬치기 론을 찾아내 페북에 올렸다. 비록 문장은 거칠지만 한창 젊은 내가 있었다. 세월이 많이 흘러 이제 어린이들은 구슬치기 놀이 자체를 모른다. 노후의 내가 그 때의 내게 안부 인사를 전한다.

 

 

잘 있는가? 한 번 보고 싶구먼그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