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현종 화백은 두문불출 형이다집에서 그림만 그리는 편이다그런 서 화백도 마음 한 편에는 집에서 나와 어디론가 가고 싶은막연한 그리움이 있는 걸까그의 그림 덜컹거리는 그리움’.

그 그리움이 혼자 떠나는 소형차보다는 다른 사람들에 묻혀 떠나갈 수 있는 군중 속 고독의 버스를 선호하는 듯싶다. ‘교동에서 샘밭가는 표지가 버스 앞 창에 달려 있는 걸 보면 굳이 먼 곳이 아니더라도 그리운 어떤 마음을 가라앉힐 수 있는 정도의 거리면 되는가 보다.

 

후기서 화백이 페북에 화천 밤거리에 서 있는 자기 사진을 올렸다백 여리는 될 화천에 가 있다니!



서현종화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선사시대 맥국(貊國)의 수도가 자리 잡았을 법했다. 뒤로는 병풍 같은 산이, 앞으로는 널따란 벌(샘밭)을 안았으니.

山泉 무지개 교회경내에 아내와 함께 들어서자 사모님이 반겼다. 경내는 시골의 작은 분교가 들어서도 될 만큼 소담스레 넓은 데다가 잔디도 촘촘히 깔려 있었다. 응접실에서 사모님이 말했다.

교회 건물을 다 짓던 날, 무지개가 뜨는 게 아니겠어요? 그래서 교회 이름을 무지개 교회라고 한 겁니다. (웃음) 나중에 알았는데 무지개가 다른 곳보다 이 지역에서는 자주 뜨는 것 같아요.”



아내가 물었다.

어느 교파에 속하지요? 장로교다, 침례교다 하는.”

특정 교파에 속하지 않은 초 교파적인 교회이지요.”

사모님이 앞장서서 여기저기 안내해 주었다. 놀랍게도 예배당이 순 목재로만 지어져 있었다. 시멘트로 지으면 쉽고 빨리 지었을 텐데 굳이 목재를 고집해 지은 목사님 내외의 마음이 궁금해졌다. 그 까닭을 물어보지 못했지만 실내의 은은한 나무 향기가, 바깥의 차가운 겨울 날씨로부터 안온하게 보호해 주는 듯한 느낌만으로도 해답을 들은 것 같았다.



앞에 걸린 십자가도 나무 십자가였다. 내가 말했다.

보통 교회에 가면 가시면류관을 써서 머리에 피를 흘리는 처참한 예수님 십자가인데 저렇게 담백한 평화로운 나무 십자가라니제 마음에 듭니다.”

예배당은 여러 모로 특이했다. 출입문 부근에 있는 아주 작은 다락방도 그렇지만, 출입문에 들어서기 전누구나 머리를 숙이는 겸손한 자세가 되도록아치형 구조물이 마련돼 있었다는 사실이다.



무신론자인 나도 아치형 구조물을 통과하는 순간 머리를 숙여야 했고 그렇게 들어선 예배당에서 은은한 나무 향기까지 맡게 되니 보다 경건한 마음이 될 수밖에 없었다.

교회 경내에는 빨간 공중전화 박스가 여기저기 놓여서 스산한 겨울 풍경을 이겨내고 있었다.

 


山泉 무지개 교회’.

샘밭, 운전면허시험장 부근에 있는 그림 같은 교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9901월에 강릉 바닷가로 가족여행 갔다. 안목 해변이었다. 당시 세 살 되던 우리 아들이 푸른 겨울바다를 배경으로 기념사진 한 장을 찍었다. 그 즈음만 해도 안목 일대는 한적한 동네였다. 요즈음 전국에서 알아주는 커피 거리가 되어 이 한겨울에도 사람들의 발길이 넘쳐난다는 TV뉴스에 내가 놀라는 건 그 때문이다.

세상만사 걱정 하나 없이 활짝 웃던 우리 아들. 어언 서른이 넘어 이제는 회사 생활하기 바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풍물시장에 있는 뻥튀기 장수가 이런 글을 써서 천막 위에 걸었다.

뻥뻥뻥 강냉이 363일 매일 튀겨드립니다

내가 가던 발걸음을 멈추고 그 글에 주목한 건,‘365’일이 아닌‘363라 한 부분 때문이다. 민족 최대 명절인 설날과 추석날만은 장사를 쉬어야 한다는 뜻일까? 아니면장사를 하다 보면 일 년에 이틀 정도는 최소한 쉬어야 한다는 뜻일까?

글쎄.

어쨌든 365일이 아닌 363일이라 명시함으로써 365일이 주는 강박관념을 슬그머니 넘었을 뿐만 아니라 최소한 나 같은, 지나가던 사람의 발길을 멈추게 하는 데도 성공했다는 사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철거란 이미 설치되어 있는 시설이나 건물을 거두어 치우는 일이다. 물리적인 작업이다. 하지만 그 시설이나 건물에도 사람의 추억이 묻어 있다는 사실을.

어젯밤 거리를 걷다가 본, 철거 전문 업체 트럭 옆면의 놀라운 글 한 줄.

아픈 마음까지도 철거해 드립니다

이 정도면 시()가 아닌가. 서점에 있는 수많은 시집들이 순간 무색해지는 것 같았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sabkim77 2020-01-20 09: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개인이 지녔을 슬프고 가슴 아픈 사연들을 버리고 새 출발 하라는 메시지도 담겨 있네요. 버리는 물건 중에는 수명을 다한 것도 있겠지만 사업이 망해 버려지는 물건도 있으리라 생각하니 애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