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편해도 괜찮아 - 영화보다 재미있는 인권 이야기
김두식 지음 / 창비 / 201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때 저서가 있다는 걸 스스로 대견하게 생각한 적이 있습니다.

툭하면 책을 내서 주위 사람들에게 돌리던 제가 2005년 이후 5년이 되도록 책을 쓰지 않고 있는 건,

솔직히 말해서 김두식 때문입니다.

2004년에 나온 명저 <헌법의 풍경>을 읽은 건 이듬해 제 책이 나온 다음이었을 겁니다.

제 손으로 사는 대신 다른 이로부터 반강제로 선물을 받아 읽었는데,

다 읽고 난 뒤 전 엄청난 충격을 받고 맙니다.

'아, 책은 이런 분들이 쓰는 것이구나'라는 걸 그때서야 깨달았고,

제가 냈던 책들이 얼마나 한심한가를 뼈저리게 반성했습니다.


마지막에 낸 책이 일말의 가능성을 던져 줬는지

원고를 들고 출판사를 찾아다니던 신세에서 벗어나

열군데가 넘는 출판사에서 책 출간을 같이 해보자고 연락을 했습니다만,

막상 쓰려고 하면 한줄도 글이 써지지 않았습니다.

저랑 동년배로, 저 혼자만 친구라고 착각하는 김두식 생각이 나서였습니다.

그런 책을 쓸 내공이 되지 않으면 책을 쓰지 않겠다는 마음이랄까요.


그의 책을 읽다보면 삼촌쯤 되는 분과 마주앉아 가르침을 받는 기분이 듭니다.

어려운 코드는 하나도 쓰지 않으면서 아름다운 음악을 만드는 동물원 김창기처럼,

평범한 단어들로만 이루어진 그의 글들이 주는 설득력은 압권입니다.

<불편해도 괜찮아>라는 책도 마찬가지입니다.

영화를 가지고 인권을 이야기한다는 게 가능할까 싶었지만,

저자는 그 둘을 환상적으로 결합시켜 완벽하다고 느껴지는 책을 만들어 냈습니다.

이 책을 통해 제가 배운 건 참 많습니다.

특히나 재미있게 읽었던 건 어떤 사람들이 영화를 검열하는가였는데

미국에서 등급을 매기는 사람들의 인터뷰는 그야말로 충격이었습니다.

그 외에도 "종교의 자유는 외형적으로 가장 이상해 보이는 사람들의 자유를 보장한 것입니다"라는 말을 비롯해

그가 이 책에 적은 말들은 다른 데 가서 인용해보고 싶은 것들 투성이입니다.

제게 있어서 1977년에 있었던 가장 중요한 일은 물론 제가 태어난 것이지만,

그 다음은 무조건 김두식의 탄생입니다.


그의 책이 설득력을 더 얻는 이유는 자신을 낮추며, 책을 전부 존댓말로 쓰기 때문이기도 할 겁니다.

그런 겸손한 태도를 전 '두식이즘'이라고 이름붙이고 따라하고 있는 중인데요,

제가 이 리뷰를 존댓말로 쓴 것도 두식이즘의 발로입니다.


* 제 나이가 좀 많아 보여서 출생연도를 좀 손봤습니다. 김두식님도 별 불만이 없지 않을까 싶습니다^^



댓글(33)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로쟈 2010-08-02 23: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래도 좀 심하게 손보셨네요.^^

마태우스 2010-08-03 15:49   좋아요 0 | URL
그, 그렇죠?^^

stella.K 2010-08-03 10: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왜요, 마태님도 재밌게 쓰시잖아요.
그립네요. 마태님 옛책들이.^^

마태우스 2010-08-03 15:50   좋아요 0 | URL
잉 전 그책들 괜히 냈다고 후회하고 있는데, 그리 말씀해주시니 이거 참, 무지하게 감사드립니다^^

moonnight 2010-08-03 13: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진지하게 나가다가 1977년이란 부분에서 푸핫 했어요. ^^;
저 이 책, 보관함에 넣었다 뺐던 건데 다시 넣어야겠어요. 그리고 마태님 책도 좋아요. 제가 몇 권 소장하고 있는데요. ^^

마태우스 2010-08-03 15:50   좋아요 0 | URL
며, 몇권이나요. ㅠㅠ 몰래 훔쳐오던지 해야겠단 생각이...ㅠㅠ 글구 1977과 그리 많이 차이나진 않습니다! 버럭!

루체오페르 2010-08-03 15: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항상 이야기했듯 마태님 스타일의 글쓰기 좋아합니다!^^

마태우스 2010-08-03 15:51   좋아요 0 | URL
늘 감사드립니다. 열심히 쓰겠습니다 불끈!

blanca 2010-08-03 15: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마태님 저 같이 단순한 인간은 마태님이 저랑 동갑이었다고 고백하는 줄 알고 놀랐잖아요. ㅋㅋㅋ 마태님 리뷰도 넘 재미있고 쏙쏙 읽혀요. 김두식...기억해 두겠습니다.

마태우스 2010-08-03 15:52   좋아요 0 | URL
오 블랑카님 77이시군요. 아앗 십년만 젊었다면 술 좀 더 마시는 건데^^ 김두식님 알아두심 후회안하실 거예요.

아시마 2010-08-04 19:53   좋아요 0 | URL
그러니까 블랑카님, 저랑 동갑이시란 말씀이군요. ㅎㅎㅎ
마태우스님은 저랑 동갑하고 싶으셨단 말씀이시고... 저도 깜짝, 놀랐어요.

안녕하세요, 몰래자주 드나들었으면서 처음 인사드려요.
(순오기님식 인사. ^^)

마태우스 2010-08-04 21:49   좋아요 0 | URL
아앗 아시마님. 저랑 동갑이라 반가워요 살면서 동갑을 만나는 기회가 몇번 없는데, 이번에 그 세번째인 것 같습니다. 앞으로 잘 지내요

커피우유 2010-08-03 16: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으아 이책 저도 정말 재미있게 읽었는데...저희집이 분당선 남쪽 제일 끝인데, 정말 종점에서 종점까지 46분동안 책에서 눈을 한시도 뗄수가 없었답니다(보통은 의자에서 혼수상태로 있다 깨어나면 종점^^;). 김두식 교수님 다른 책도 사서 볼려구 해요.
p.s : 저 마태님 글도 넘 좋아해요~ 경향신문 칼럼도 꼬박꼬박 읽고 있습죠 ^^

마태우스 2010-08-04 21:49   좋아요 0 | URL
잉 제 칼럼, 부끄러워요. 그나저나 님과 저는 두식이즘의 포로인 듯 싶어요^^

순오기 2010-08-03 18: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77년이면 저는 고2였어요.^^
마태님이 추천하시니 요책은 창*에서 구입해야겠어요.

마태우스 2010-08-04 21:50   좋아요 0 | URL
흠, 연배가 좀 되시는군요. 각종 리뷰대회를 휩쓰는 님이 저보다 무려...열몇살이 많다니 흠흠. 하여간 잘 지내요 우리.

순오기 2010-08-08 03:07   좋아요 0 | URL
흐흐~ 제가 열 몇살이나 많다니...77년이라면 최규석이랑 동갑이죠.ㅋㅋ

다락방 2010-08-03 22: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태어난 날을 손보신거였군요! 저 깜짝 놀랐잖아요. ㅎㅎ
저도 마태우스님의 글쓰기를 좋아합니다. 겸손한 글쓰기 스타일 그러면서 유머가 넘치는 스타일을 제가 얼마나 존경한다구요!
그러나 칭찬하시는 이 책도 한번 읽어볼게요.
:)

마태우스 2010-08-04 21:51   좋아요 0 | URL
노, 놀라시다니 제가 더 놀랐습니다. 요즘 유머가 잘 안받쳐주는지라 고생이 많습니다 흑흑. 님이야말로 글쓰기의 지존이잖아요.

울보 2010-08-04 11: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77년이면 전 초등학교 일학년,,ㅎㅎ
마태우스님 휴가는 다녀오셨는지,
왠 뜬금없는 소리냐구요, 그냥 요즘 많은 분들을 만나지 못해 제가 글만보이면 쫒아가 인사하는라구요,,,ㅎㅎ

마태우스 2010-08-04 21:51   좋아요 0 | URL
휴가는 특별히 갈 필요가 없을 것 같구, 그냥 2학기 때 할 강의준비 열심히 하려구요.

穀雨(곡우) 2010-08-04 12: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77년 좋은 숫자네요. 전 음...막 뛰어나는 중...^^
김두식교수님 책 장바구니에 홀라당 합니다.

마태우스 2010-08-04 21:51   좋아요 0 | URL
사, 사실은 좀 손을 봐서 그렇지 실제론 그렇지 않습니다ㅠㅠ

saint236 2010-08-04 17: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혹시 77년에 대학생으로 다시 태어나신 것은 아닌가요?

마태우스 2010-08-04 21:52   좋아요 0 | URL
그, 그걸리가요 그나저나 안녕하세요 꾸벅

saint236 2010-08-04 23:55   좋아요 0 | URL
전 78년생이니 저보다 한해 먼저 나오셨군요

마태우스 2010-08-05 23:10   좋아요 0 | URL
사, 사실은... 그때 전 초등학생이었습니다ㅠㅠ

yamoo 2010-08-05 16: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쉬운 언어로 깊은 사고를 담는 책은 정말 어렵죠~ 김두식 님의 <헌법의 풍경>은 그런 면에서 귀감이 될 만한 책인것 같습니다. 물론 마테우스님이 지적하셨다싶이요^^ 쉽게 쓰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깊이가 없다고 그러는데, 저는 그렇게 생각지 않습니다. 쉽게 쓰기 위해선 엄청난 내공이 필요하지요. 그래서 저는 프롬이 좋습니다. 프롬의 <사랑의기술>처럼 쓰기는 정말정말 어렵다는게 주관적인 생각입니다. 그리고 카네티의 <군중과 권력>을 보고난 이후 난 이사람처럼 책을 쓰고 싶다는 바람을 갖게 되었죠. 자극 받을 롤 모델을 발견하는 것은 좋은 것 같습니다. 곧 엄청난 책을 출간하실것 같다는 얘감이 드는 군요~^^

마태우스 2010-08-05 23:12   좋아요 0 | URL
안녕하세요 처음 뵙는 것 같은데요 반갑습니다. 사실 제가 독서내공이 안되서 쉬운 책을 좋아하는 것도 있는데요, 프롬의 책은 어려울까봐 무서워서 안읽었답니다. 근데 프롬의 그 유명한 책이 안어렵단 말이죠 흠흠. 글구 사람이란 자기 그릇이 있는지라 제가 엄청난 책을 쓸 것 같진 않습니다 여러가지로 격려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마냐 2010-08-10 21: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간만 땡스투 ㅋㅋ

마태우스 2010-11-19 06:44   좋아요 0 | URL
어마 마냐님 감사!

진현근 2010-11-18 14: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헌법의 풍경을 재미있게 읽었던 기억이납니다. 저자의 내공이 대단하다는 생각을 했었는데, 선생님도 감탄을 하시는군요. 이 책도 꼭 사서 읽어야겠습니다.

마태우스 2010-11-19 06:44   좋아요 0 | URL
안녕하세요 진현근님. 헌법의 풍경, 정말 죽이는 책이었죠. 그거 읽고나면 두식이즘에 안빠질 수가 없다니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