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위대한 여정 - 빅뱅부터 호모 사피엔스까지, 우리가 살아남은 단 하나의 이유
배철현 지음 / 21세기북스 / 2017년 7월
평점 :
일시품절


 처음 이 책을 보고나서 표지가 참 마음에 들었다. 뭔가 인간으로 나아가는 듯한 해골에, 아슐리안 주먹도끼. 그리고 저자는 종교전문가다. 뭔가 색다른 이야기가 나올 것 같았다. 하지만 책은 여러모로 예상을 엇나갔다. 우선 제목과는 좀 다르게 아주 초기부터 오늘날 까지의 인간 발전사를 언급하는 부류의 책이 아니었다. 오히려 지금의 인간을 있게 한 초기특성의 발전에만 집중한다. 그리고 그 중 무엇이 가장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지를 말하려고 했다.

 책에서 말하는 인간다운 특성은 상당히 여러가지가 등장한다. 장거리 달리기 능력, 요리, 예술, 도구 제작능력, 불의 사용, 이타성, 늑대를 개로 만든 능력 등이 그것들이다. 이 중 인상적인 것을 몇개 정리해보았다.

 

우선 불의 사용이다.

저자는 불의 사용을 에너지의 원천이자 변화 무쌍한 불을 인간이 인위적로 다루기 시작했다는 것은 생물학적으로 독립적인 존재가 되었음을 선포하는 것이라고 의미지었다. 이런 의미화도 좋았지만 상대적으로 다른 책에서는 불의 사용을 언어나 달리기, 직립보행등 다른 것들에 비해 주변적으로 다룬 다는 점에서 차별성이 있었다.

 저자는 불의 사용으로 인간이 비로소 동물의 사체를 두고 과감히 맹수를 물리치는 것이 가능해졌고, 맹수의 보금자리였던 동굴을 쟁취하는 것이 가능해졌다고 본다. 또한 불로 인해 빙하기를 이겨내고 추운 지역으로의 이주가 가능했으며 요리의 시작도 불로 인해 가능했다고 본다. 고기를 굽는등의 행위로 이미 상당히 소화과 된거나 마찬가지인 음식의 섭취로 인해 어금니와 송곳니등 공격적인 신체부위가 감소하고 턱관절이 줄어 결과적으로 머리뼈가 가늘어지고 이로 인해 두뇌의 용량이 커지는 신체구조 변화가 일어났다고 본다. 불로 인한 음식물에서의 칼로리의 섭취 증가도 이를 도왔을 것이다. 또한 불로 인해 다른 야생동물들 처럼 사냥감을 제자리에서 먹는 것이 아니라 요리를 위해 이동시킬 필요가 생겨났는데 이로 인해 화로에서 함께 식사하는 인간 특유의 문화가 생겨났다고 본다.

 그리고 과거 태양에 의해 생물학적 시간이 밤과 낮으로 고정되는데서 탈피하였고, 소수의 보초가 불의 힘으로 다수를 지키고 잠을 이겨낼수 있어 안전보장이 확대되고 이로 인해 생존력과 자식의 번성이 같이 갔다고 보고 있다.

 

다음은 오래 달리기다.

요리로 인해 얼굴구조가 변하면서 납작한 코가 돌출되기 시작했다. 이로 인해 외기의 습기와 온도조절이 용이해지면서 인간은 숨이 차는 것을 조절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털의 제거로 인해 효과적인 열의 발산이 가능해졌다.

 대부분의 맹수들은 체온조절에 어려움이 있어 타는듯한 한 낮에는 활동이나 사냥을 피하는 편이지만 인간은 이러한 체온조절 능력으로 낮에도 강한 활동이 가능했다. 이는 상당한 틈새이점이었을 것으로 사냥감들도 한낮에는 활동이 쉽지 않았을 것을 감안하면 더 큰 이점이었을 것이다.

 이처럼 달리기는 인간의 중요한 특성중 하나인데 오랜 달리기의 고통을 이겨내기 위해 뇌에서 분비하는 물질로 인해 생기는 러너스 하이 현상도 오래 달리기를 성공적으로 진화시키기 위한 강한 보상체제로 본다.

 

마지막은 개이다.

인간은 개의 강력한 위계조직과 새끼를 어려서부터 키우면 따르는 특성을 파악하고 개를 가축화했다. 개는 인간이 빙하기를 견딜 수 있게 돕고, 사냥을 도왔으며 인간의 가축을 맹수로부터 지켜내고 어둠속에서 인간을 보호했다.

 저자는 이런 개의 역할이 인간이 샤냥채집경제에서 농업정착경제로 이행하는데 도움을 주었다고 본다.

 

책은 이 외에도 다양한 호모사피엔스로 변화해나가는 다양한 인간의 특성을 살핀다. 종교학자이니 만큼 과학적 성과를 충분히 인정하면서도 가장 인간다운 특성으로 이타심을 꼽는다. 아무래도 종교를 구성하는 가장 근본적인 특성이기 때문이 아닐런지. 저자는 이 이타심과 더불어 요리를 통한 공동식사문화와 예술의 발생과 사후세계의 발명 등이 종교를 탄생시킨 요소로 보고 있다. 물론 그런식으로 정리하진 않았지만. 하지만 이타심의 발생근거와 종교의 발생근거를 엄밀히 짚어내지 못하고 두루뭉술하게 여러 특성에서 우러나온것 처럼 논리를 전개시켜나가는 부분이 논리적으로 빈약하다는 느낌을 제법 주었다는게 이 책의 아쉬움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