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테미스
앤디 위어 지음, 남명성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7년 11월
평점 :
품절


 지금은 태양계 내에서 화성이나 목성의 위성인 유로파나 이오 같은 것들이 가장 주목을 받고 있다. 이유는 생명이 존재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인데, 알다시피 이들은 지구에서 매우 멀리 떨어져있다. 지금은 좀 찬밥 신세지만 앞으로도 그렇고 현실적으로도 그렇고  인간이 가장 이용할 만한 가능성이 높은 것은 지구의 유일한 위성 달이다. 바로 가깝기 때문이다. 

 소설 아르테미스는 달을 배경으로 쓴 소설이다. 아르테미스는 지구의 여신이름이기도 하지만 소설에 등장하는 달에 건설한 인간 거주 기지의 이름이다. 그리고 작가는 영화로 크게 성공한 마션의 작가이다. 아르테미스는 이 사람의 후속작이다. 전작의 성공으로 이젠 전업작가의 길로 들어섰다고 한다. 축하할 일이다.  

 아르테미스는 인간이 달위에 건설한 나름 거대한 기지이고 당연히 돔의 형태이며 통로를 두고 다른 여러개의 위성 기지들이 있다. 각각 이름이 있는데 다 합쳐서 아르테미스라 한다. 이런 거대한 기지를 만드는 재료는 당연히 달에서 얻었다. 달의 돌들에서 알루미늄을 채취해 건설한 것이다. 기지는 외벽과 암석층 내벽의 3중구조로 외벽과 내벽은 무려 두께 1.5m의 알루미늄이고 암석층의 두께 역시 6m나 된다. 달에 대기가 없어 계속해서 무언가가 우주로부터 날아들고, 강력한 태양광선이 여과없이 들어온다는걸 생각하면 이정도 두께는 필요할 것 같다.

 필요한 에너지로 태양에너지를 사용할 것 같은데 의외로 원자력을 사용하고 있으며 무식하게도 도시와 매우 가까이에 원자로가 위치한다. 안전장치로 아르테미스와 원자로 사이엔 거대한 토벽을 만들었으며 원자로에서 생성하는 전기는 대부분 달의 암석에서 알루미늄을 제련하는데 쓰인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산소가 발생하는데 아르테미스에서 사용하는 산소는 여기서 공급되며 그래서 양도 매우 많다. 원자로에서 발생하는 열을 식히기 위해 물이 없으미 발열패널을 사용하는 것도 재밌는 설정.

 아르테미스의 경제는 대부분 관광으로 운영된다. 아직 이렇다할 산업이 없는 것이다. 알다시피 달의 중력이 지구의 1/6수준에 불과해 재밌는 설정도 일어난다. 우선 며칠만에 발에 각질이 사라진다. 거기에 관절염인이나 디스크등 각종 중력관련 병도 크게 완화된다. 섹스에도 영향을 미쳐 지구 사람이 달에오면 약한 중력으로 인해 섹스에 대해 새로운 눈을 뜬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지구의 노년층이 이런저런 목적으로 달에 오기도 한다.

 기지가 좁다보니 대부분의 사람들은 정말 코딱지 만한 방에 거주한다. 자기 자신만의 샤워실이나 화장실을 갖는 경우는 상당한 부자에 속한다. 거기에 음식은 겅크라는 재배한 해초를 주로 먹으며 기타 다른 음식이나 술등은 환원식으로 맛이 떨어진다. 담배를 피우거나 화기의 사용이 엄격히 제한되는데 그도 그럴것이 대기가 순수 산소이기 때문이다.

 소설은 이런 아르테미스를 배경으로 주인공 재즈 바사라에게 일어나는 이야기를다룬다. 재즈 바사라는 사우디아라비아계 여성으로 그나라가 주는 통념과는 다르게 무슬림도 아니며 매우 성적으로 자유분방한게 오히려 미국인의 통념에 가깝다. 이야기와 사건은 매우 재밌게 연결되며 달기지라는 곳을 배경으로 삼기위해 저자가 만들어놓은 여러가지 과학적 설정이 이론적이든 아니든 재밌게 다가온다.

 이 소설도 아마 영화화 될지 않을 런지. 기대해본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8-01-16 14:20   URL
비밀 댓글입니다.

닷슈 2018-01-16 14:22   좋아요 1 | URL
그러게요 실제 소설속주인공도 달을떠나지도 못하면서도비싼돈주고 달에관광오는 사람들을 이해못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