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쟁점 한국사 : 전근대편 ㅣ 쟁점 한국사
한명기 외 지음 / 창비 / 2017년 3월
평점 :
국내의 여러 한국사 전공자들이 우리나라 역사중 아마 자신의 전문분야인 부분에 대해 이야기한 것을 시대별로 엮은 책이다. 이것은 전근대편으로 고조선부터 조선일부까지를 다룬다. 전근대편이라 고조선이나 삼국, 남북국, 가야, 부여등을 기대했지만 대부분의 글이 고려에 집중되어 다소 아쉬운 부분이었다.
특히, 송호정 교수가 쓴 부여부분이 아쉬웠는데, 담담하게 담아내는 것 같지만 전체적으로 우리나라 고대사에 대해 축소적으로 보는 느낌이 많았다. 글도 부여가 제목이지만 부여보다는 고조선부터 시작해 부여로 이어지는 글을 썼고, 그 부분에서도 그런 느낌을 적잖게 드러내고 있다. 지도가 가장 적나라했는데, 3세기 부여전성기 영역지도였다. 부여는 뭐 그렇다 쳐도 삼국과 가야가 완전히 정립한 시기임에도 신라, 백제, 가야의 명칭은 없고 마한, 변한, 진한으로 짙게 표시해 사실상 삼국이 막 세워진 듯한 느낌을 주는 지도였다.
국사교과서에서는 삼국을 세운 시기를 그보다 이 삼백년 정도 전으로 보고 있으며 3세기 정도면 삼국이 고대국가로서의 틀을 제대로 정립한 시기로 본다. 하지만 우리나라 학계에서는 이 시기를 사실상 건국시기로 보는 견해도 적지 않은데, 아무래도 송호정 교수는 그 견해를 따르는 것 같다. 역사는 물론 해석이 필요한 학문이고, 사료도 워낙 없는 시대라 그렇다. 나 역시 비전문가로 서로 상충되는 주장의 글을 볼때마다 널 뛰기를 늘 달리하는 편이라 항상 아쉬운 부분이다.
이 책에서 가장 재밌는 부분은 선덕여왕 즉위와 관련하여 성골이 무엇인지 해석한 부분이다. 나는 성골을 항상 양부모가 모두 성골인 경우를 의미한다고 생각했었다. 하지만 책에서는 그럴 경우 성골이 갑작스레 선덕여왕 즉위즈음에 씨가 마른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고 본다. 근친혼이 아무리 많았더라도 오랫동안 소중히 관리되어 왔으며 신라 왕족의 성씨가 3개나 되는 만큼 사실 근친혼에 의한 사멸도 좀 생각하기 어려운 부분도 있다.
책은 그래서 성골의 개념이 선덕여왕 즉위 즈음으로부터 상당히 최근에 생긴 개념이며 그 범위도 더욱 좁았을 것이라고 본다. 당시 신라는 삼국중 가장 늦게 불교를 받아들이고 왕권강화를 위해 적극이용하였는데, 법흥왕의 그 시초이며 이차돈 사건은 관련한 유명한 사건이다. 법흥왕의 아들 진흥왕은 아버지 보다 더 나아가 자신의 자식들을 불교신화에 등장하는 4가지 유명한 왕들로 이름붙였다. 불교 신화에는 철륜, 동륜, 은륜, 금륜의 왕들이 차례로 등장하는데 뒤로 갈수록 전세계의 지배가 완성되어 간다. 그래서 책은 진흥왕 자신을 철륜으로 삼고, 첫째 왕자를 동륜, 막내인 진지왕을 금륜으로 이름붙였다고 보고 있다. 막내인 진지왕이 금륜인 것으로 볼때, 역사 기록에 남아 있지 않은 둘째 은륜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진흥왕의 손자인 진평왕 역시 만만치 않다. 진평왕은 스스로의 이름을 백정, 즉 석가모니의 아버지로 자칭하였고, 당연히 부인도 석가모니의 부인인 마야부인으로 명명한다. 아들은 당연히 석가모니가 되어야 하는데, 불교의 계율상 해탈한 석가모니의 인간으로의 재탄생은 불가능하다. 그래서인지 진평왕에겐 아들이 없고 다행히 딸만 있었는데, 그 딸의 이름이 덕만으로 선덕여왕이다. 덕만은 본디 남자로 태어났어야 한나 중생의 구제를 위해 여자로 태어나게도니 불교의 인물이다.
이런 양상으로 보았을 때 신라의 성골은 사실상 오랜 역사를 가진 것이 아니고 진흥왕을 그 시작으로 하며, 진흥왕과 동륜태자, 진평왕, 선덕여왕의 적장자 직계 왕족라인 만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는게 책의 해석이다. 이 해석대로라면 왜 그렇게 쉽게 성골이 사멸했고, 여성인 선덕여왕이 여자임에도 어떻게 왕위 죽위가 가능했는지 설명이 된다. 사실 선덕여왕 이전에는 아들이 없는 경우 공주의 남편, 즉 왕의 사위인 갈문왕에게 즉위를 물려주는 것이 통례였기 때문이다.
즉, 성골은 글자 그대로 왕권강화를 위해 불교라는 종교를 이용하여 성스러움을 부여한 진흥왕 적장자 라인의 협소한 개념이며 이 강한 파워로 선덕여왕의 무리한 즉위가 가능했다는 것이다.
다음은 대동법이다. 대동법은 조선의 수취체계 중 가장 문제가 컸던 공납으로 인한 비리와 백성들의 고충을 막고자 공납을 쌀로 대신하는 제도다. 대동법의 발상은 오래되었지만 전국적인 실시에는 거의 100여년 이상의 세월이 소요되었다. 흔히 이를 두고 양반계층의 기득권보호를 위한 강한 반발을 그 주원인으로 보는게 통념이지만 책은 그렇지 않다고 본다.
책은 조선의 양반계층은 상당히 도덕성이 높은 계층이었고, 고려와는 달리 음서를 통한 보장이 적어 한번 세도가가 되어도 자손 대대로의 권력 유지가 어려웠음을 지적한다. 아버지의 끝발로 어찌 관리가 된다하더라도 결국 실적이 필요했고, 그 자손의 자손은 결국 과거를 붙어야 권력이 유지되기 때문. 그래서 책은 대동법을 반발한 집단은 양반계층이 아니라 백성의 고혈에서 이익을 누리고 있는 집단 때문으로 보고 있다.
대동법 실시전에 백성들은 무려 60말을 공납용으로 사용하였는데 대동법 시행이후에는 12말 수준으로 줄었다 그렇다면 중간에서 48말을 착취한 집단이 있었다는 이야기이다. 책에서는 그 집단을 구체적으로 지적하진 않지만 아무래도 공납을 대행하는 상인 집단들과 그들과 결탁한 지방 아전들이 그 집단이 아닐까 싶다. 고을 수령 역시 양반으로 교체되는 사람이기 때문.
어쨌든 책은 대동법으로 인한 세금제도의 개선으로 조선왕조의 수명이 100년 이상 늘었다고 보며 망국을 앞둔 19세기에 이르러 세도정치로 대동법에도 불구하고 백성들의 부담이 다시 대동법 이전 시기로 회귀하였음을 보인다.
책은 가볍고 잘 읽힌다. 여러 저자의 견해를 엮에 체계성은 없고, 중첩되는 부분도 적지 않지만 일독할만하독 생각된다. 독서력이 높고 한국사에 관심이 많은 분들이라면 3-4시간이면 독파가 가능하다. 다음 근대편도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