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피엔스의 미래
알랭 드 보통 외 지음, 전병근 옮김 / 모던아카이브 / 2016년 10월
평점 :
품절


인간의 미래를 과연 진보하는 것이고 지금보다 나아지는 것인가? 정말 오래된 화두이자 어쩌면 영원히 닿을 수 없을지도 모르기에 계속 나올 주제이다. 이 뻔하면서도 정말 신선한 주제를 갖고 붙었다.
 저자 보고 대충 짐작이 가듯, 스티븐 핑커와 매트 리들리는 낙관론에, 알랭 드 보통과 말콤 글래드웰은 반대쪽이다.
 찬성쪽은 비록 왔다리 갔다리 하거나 톱니바퀴처럼 오르락 내리락 하며 단선적이지는 않지만 경향으로 봤을때 확실히 발전해가는 인간사회의 모습을 데이터로 드러내며 인간의 미래를 낙관적으로 바라본다. 전쟁의 감소, 민주주의의 확산, 인권의 확대, 교육의 확산, 경제적 발전 등등이 그들의 주장에 힘을 싣는다. 경계하는 것은 그래도 새로운 문제가 발생하나 결국 우린 해결가능할 것이고 위험을 다루는 능력 역시 향상할 것이라는 점이며 세계가 문제 있어 보이는 것은 결국 위험을 보다 강조하는 언론과 사람의 성향 때문이라는 점이다.
 이에 반대쪽은 날을 세운다. 진보라는 개념의 모호성. 그리고 찬성쪽이 제시한 그러한 발전에도 불구하고 인간의 고민과 불행은 계속된다는 점이다. 물론 가난한 나라 사람이나 과거 시대의 사람은 보다 발전한 현대 선진국가 사람을 부러워하겠지만 그 부러움의 대상 역시 꾸준한 고민과 벗어날 수 없는 고민속에 살고 있다는 것이다.
 반대쪽은 또한 과학 발전도 문제삼는다. 여러가지 것을 해결한 것은 인정하나 온난화나 핵무기 같은 새로운 문제가 대두했으며 그러한 것들에 현대가 더욱 위기 대응면에서 취약해졌다는 것이다. 기술과 과학의 발전이 만만치 않은 역효과를 불렀다는 점이다.
 양측은 상당히 첨예하지만 적잖은 공통적 기반을 갖고 있기도 하다. 진보와 발전이라는 것을 얼마나 인정하느냐에서 차이가 있지만 분명 인정하고 있으며 반대로 비관적인 면 역시 정도의 차이가 있지만 양측다 염려한다는 것이다. 결국 정도와 방법의 차이다.
 진보에 대해서도 상당히 애매하다. 진보라는 것은 어떤 것일까. 인간사회와 개개인이 행복해지는 것일텐데 인간존재가 상당히 불완전하고 복잡한 만큼 이것에 이루는 방법이 어렵기 때문이다. 스티브 핑커는 과학과 기술, 경제적 발전을 통한 물질적 개선, 그리고 교육으로 인한 제도적 부분등 다소 외적인 부분에 초점을 두는 한편 반대파인 알랭 드 보통은 행복에 대해 상당히 주관적일 수 있는 인간 내적인 부분에 초점을 두며 그것을 달성 불가능 한것으로 사실상 보고 있다.
 핑커가 자꾸 경제와 의학, 과학을 들이대는 한편, 보통은 그래서 자꾸만 어떤 물질적 조건에서도 불행할 햄릿같은 문학적 예를 들이댄다. 알랭 드 보통은 그래서 이런 문제를 인문학, 예술분야가 다루어야 한다고 하지만 과연 과학보다 역사가 훨씬 오래된 인문학분야들이 이런 문제에 대해 해결책을 제시했는지 역시 큰 의문이다.
 그래도 보통은 내가 보기에 상당한 해답을 제시했는데, 그는 인간을 '결함 있는 호두'라고 비유했다. 존재자체가 결함을 갖고 있으니 결코 진보라는 완전성에는 도달할 수 없을 것이다. 사실 인간은 욕구가 상당히 원초적이고 경쟁적이며 파괴적인 측면이 강하다. 생존해야 하는 모든 것이 결핍된 지구에서 자생적이지 못한 동물로 진화했으니 이는 매우 당연한 것이다. 인간이 행복하고자 하는 것도, 경쟁하며 발전하고자 하는 것도 모두 이러한 불순한, 완전과는 매우 거리가 먼것들을 위한 것이니 어찌 보면 완전한 진보는 손에 닿을 수 없는 것일지도 모른다. 그래서인지 보통은 진보나 완전함에 인간이 언젠가 다다를지 모르지만 그것은 우리 결함있는 호두가 아닌 우리가 만들어낸 다른 종이나 우리가 변화한 모습일 것이라 생각한다. 무척이나 정답같다.
 문득, 매트릭스의 1편의 대사가 떠오른다. 스미스가 모피어스에게 말했다. 처음 매트릭스를 만들었을때 고통이 없는 완전한 이상향을 만들었다라고, 그런데 이상하게도 너희 원시적인 뇌는 자꾸만 깨어났다고, 웬지 너희들은 고통이 있어야 보다 현실적이라고 느끼는 것 같다고.
 보통의 말과 상당히 와 닿는 느낌이다.
책은 가독성이 매우 높다. 짧고 암축적이며 싸움이 속도가 감있다. 찬성과 반대를 보기 좋게 편집한 것도 인상적이다. 책을 읽기도 전에는 진보론자였지만 다 읽고도 난 지금도 반대측 주장이 더 인상적임에도 진보에 손을 들고 싶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