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파산 - 장수의 악몽
NHK 스페셜 제작팀 지음, 김정환 옮김 / 다산북스 / 201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본은 이미 초고령사회로 막대한 노후비용이 발생하고 있다. 20년 정도 차이로 일본의 인구구조를 더 심각한 형태로 따라가고 있는 우리나라에게 타산지석이 되는 책이다.

 책에서는 노후파산 지경에 이른 일본의 도시지역 농촌 지역의 노인들을 찾아가며 그들의 비참한 삶을 담아낸다. 대개 노후파산에 이른 사람들은 젊어서 방탕할 수 도 있겠단 생각이 들 수 있는데, 현실은 그렇지 않다. 그들은 일본의 고도성정시절 사회의 한축을 담당하여 성실하게 일했던 사람들이었다. 문제가 있다면 우리나라의 국민연금에 해당하는 후생연금의 가입및 납부에 개인적 소홀 및 직업상의 이유 혹은 회사의 무책임으로 방치되었다는 점이다. 그리고 그 시대가 그러했듯 자신의 노후를 크게 생각치 않았다. 자식들이 대비해주는 시대였고, 그리고 지금처럼 오래 살아갈 것이라고는 생각치 않았을 것이다. 경제상황도 마찬가지도 호황이 계속 될 것이라 생각했을 것이다.

 이 모든점은 우리나라와 지나치리 만치 닮았다. 우리 역시 비슷한 이유로 역시 노후에 소홀하기 때문이다. 또한 우리나라의 경제력이 일본에 한참 미치지 못하고 복지수준 역시 크게 부족하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상황은 더욱 심각해 질 수도 있다. 

 이번 가족통계조사에서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형태로 나타난 1인가구에 대해서도 생각해보지 않을 수없다. 노후파산 책에 나온 노인들은 열에 여덟 아홉은 모두 결혼을 하지 않은 사람들이었다. 물론 기혼자들도 있었지만 그들은 대개 사별하거나 자녀가 일찍 죽은 경우였다. 그러다 보니 자신의 노후를 사적영역은 배제된체로 오로지 공적영역에 기댈수 밖에 없었다. 물론 자식과 가족이 있다하여 자신의 노후를 온전히 보장받을 수있는 시대는 지났다고 볼 수 있지만 배우자 및 자식은 여전히 자신의 노후보장에 하나의 축이 될 수 있다. 게다가 이것은 금전적인 부분외에도 노인의 가장 큰 적인 외로움을 해소해주는 면도 있다. 

 때문에 우리나라처럼 1인 독신가구가 급증한 체로 초고령사회로 진입한다면 국가의 예산이 엄청나게 소요될 것이고 개개인의 노후보장역시 한축에만 기대게 될 것이라는 점에서 더욱 우려스럽다. 또한 1인가구는 성향상 사적부분에서도 3-4인 가족에 비해 노후대비에 더 소홀할 수도 있다. 혼자살다 보니 자녀가 있는 가구보다 미래를 대비하기 위해 저축하거나 집을 구매하는 성향 역시 적으며 자신의 삶을 보다 적극적으로 즐기는 성향이 강하기 때문이다. 

 노후파산에 나온 노인들의 삶은 너무 비참했다. 하루에 한 시간만 돌봄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경우가 많아 도우미가 오기전에 움직이다 앞으로 고꾸라져 24시간동안 얼굴을 바닥에 쳐밖고 있던 노인, 휠체어에 의존한채 작은 턱을 넘지 못해 햇살이 드는 베란다를 나가지 못하는 노인 등등. 우리나라에 이런 미래가 없기를 바란다. 무엇보다 내 자신 역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