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당퉁탕 프로젝트 수업 - 5가지 주제로 만나는 15편의 살아있는 프로젝트 수업
배움의숲나무학교PBL센터 지음 / 에듀니티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프로젝트 수업은 학습자가 교사, 동료, 전문가와 상호작용하며 다양한 방식의 탐구활동으로 실제셰계와 관련한 복잡한 문제 또는 질문을 해결하면서 일정한 학습 목표를 달성하는 수업이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학생은 탐구 질문이나 주제에 답하기 위해 주도적으로 학습 과정에 참여하면서 내용지식과 역량을 습득한다. 그리고 주제나 질문의 답이 담긴 최종 성과물이 남게 되고 이는 교실 안팎에 청중에 공개된다. 

 프로젝트 수업에 대해서는 다양한 이론이 있지만 책은 골든 스탠더드 PBL을 제시한다. 목표는 핵심지식과 이해& 핵심 성공 역량이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 어려운 문제나 질문, 지속적인 탐구, 실제성, 학생의 의사와 선택권, 성찰, 비평과 개선, 공개할 결과물을 실행한다. 

 핵심 지식은 프로젝트의 질문에 답하고 문제해결을 위해 알아야 할 필수 내용이다. 그리고 이해는 단순한 지식의 암기가 아니라 다양한 맥락에 그것을 연결하고 적용하는 능력이다. 핵심 성공역량은 현실세계에서 배운 지식을 이해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효과적인 협력과 문제해결에 기여하는 인지 및 대인기술이다. 비판적 사고력, 협업능력, 자기관리 능력 등이다.

 어려운 문제나 질문은 해결 답해야 하는 유의미한 질문이나 주제다. 대개 도전 의식과 자신의 지식과 역량 함양이 가능한 것이다. 지속적인 탐구는 질문이나 주제의 해결을 위해 학생 주도로 지속적 탐구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실제성은 프로젝트가 실제 세계 관련 상황, 도구, 기준을 포함한다는 것이다. 일상에서의 문제, 개인적 관심사, 지역과 국내외 사회적 이슈가 그러하다. 학생의 의사와 선택권은 결과물이나 과정에서 자신들의 아이디어 표현과 대안 제시 권한이다. 비평과 개선은 교사, 동료학습자와의 피드백과 이에 따른 배움의 점검과 개선이다. 성찰은 학습과정에서의 지속적 반성이며, 공개할 결과물은 가급적 넓게 공유한다. 

 책은 중등교육의 사례다. 그래서 15가지 여러 교과의 중고교의 프로젝트 수업 사례가 실려있다. 하나같인 재밌고 우수하다. 다만 교과 통합의 사례는 전혀 없다.

1.유비무환 프로젝트(기술, 가정)

여러 형태의 가정을 생성하고 각 가정이 어려움을 겪는 부분을 파악해서 필요한 복지 서비스를 창안하는 프로젝트다. 


2.사고 한 번 제대로 치자 프로젝트(영어)

학생의 진로 희망대로 가급적 비슷한 학생들끼리 모둠을 구성하고 진로 영어 신문을 제작하는 것이다.


3. 나만의 인공지능 예측 모델 만들기(수학)

수학의 회귀분석을 통해 두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인공지능 모델을 만드는 것이다. 

구글 코랩이란 걸 사용했고, 무척 흥미로웠다. 다만 절반 정도의 학생들이 상관관계가 있다고 생각한 두 변수가 실제론 별 상관이 없었다. 세상이 단조롭지 않아서다. 예로 cctv 설치율과 범죄발생의 상관관계인데, 연관이 있어보였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았다. 이것도 학습이란 생각이다.


4. 메타버스를 이용한 나만의 매장 만들기(기술, 가정)

학생이 창업을 한다고 상상하고 나만의 매장 인테리어를 메타버스 zep으로 구성한 것이다.


5. 삶과 철학 프로젝트(윤리와 사상)

학생이 동양 윤리 사상가의 제자가 되어 토론하는 것이다. 그들의 지혜를 빌려 인간의 행복과 사회 질서를 고찰하고 상대방의 의견을 비판적으로 탐구했다. 맹자의 성선설과 순자의 성악설의 입장에서 사회 문제를 바라보고 인간의 본성에 대해 토론하거나 이황과 이기의 이와 기에 대한 논의를 토대로 토론하는 것이었다. 이와 기는 내가 생각해도 사회 예시를 찾기 좀 어려웠다. 흥미로운 프로젝트 였다.


6. 웹툰 서평 시놉시스 프로젝트(국어)

책을 읽고 이 책에 대한 서평을 웹툰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사전에 문학 작품을 비평해보고 이런 것을 토대로 읽은 책을 웹툰으로 홍보하는 서평을 만드는 것이다.


7.시로 만나는 치유의 라디오 방송 프로젝트(국어)

라디오 방송의 형식으로 친구의 고민을 사연-시-시 소개와 위로의 형식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친구의 사연을 모두 수집하고 이를 각자 나누어 맡아 도움이 되고 위로가 될만한 시와 연관 지은후 시를 들려주고 위로의 멘트를 하는 방송이다. 녹음해서 서로 나눴다. 좋은 프로젝트다.


8.일본 애니 더빙 프로젝트(일본어)

학생들이 고교에서 일본어를 제2외국어로 선택하는데는 일본 애니가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막상 일본에는 히라가나에 가타가나에 한자에 외워야 하는 단어의 수가 엄청나다. 그래서 흥미를 잃는다. 이 프로젝트는 원하는 애니의 주인공이 되어 실제 일본어로 자신이 연기하며 더빙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일본어에 대한 흥미를 되찾고, 일본어 말하기 연습, 여러 문장을 암기하는 효과가 있다. 


9. 한국 음식을 소개하는 글쓰기(국어)

한국 음식을 소개하는 글을 쓰는 프로젝트다.


10. K도시락 프로젝트(기술, 가정)

단순한 요리와 먹기 실습으로 끝나는 경우가 실제 현장에선 대부분이다. 하지만 이는 시장조사, 타겟설정, 메뉴개발보고서, 푸드스타일링, 상품설명회까지 일련의 과정을 거친 후 마지막엔 발표 및 시식회를 갖는다.


11. 지속 가능한 식생활 프로젝트(식품과 영양)

학교 급식 메뉴를 토대로 자신의 최애 식단을 구성해본다. 그리고 이를 분석한다. 영양이나 환경면에서다. 성찰이 생겨난다. 그리고 자신이 구성했던 식단을 바탕으로 성찰하여 6가지 식생활지침을 세운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밀키트를 구성해본다. 밀키트의 포장 디자인도 한다.


12. 슬기로운 환경 시민 프로젝트(국어)


13. 꿈 그림 story writing(영어) 

 세계시민교육에 선한 영향을 미치는 어린이를 위한 스토리북 제작하기다.


14. 인권 감수성 키우기 프로젝트(사회문제탐구)

 인권 그림책을 보고 유사한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편견과 차별, 인권 침해 사안을 사회에서 찾아 분석 한 후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프로젝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