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추세추종전략인가 - 월가 최고의 수익률, 최적의 투자전략
마이클 코벨 지음, 박준형 옮김 / 이레미디어 / 201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투자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한 때는 가치 투자가 유행했고, 매일매일의 수익을 쫓는 데이트레이딩도 유행했다. 이 책은 그 중간 쯤에 있는 걸로 생각되는 추세추정 전략에 대한 책이다. 그런데 책 제목과는 다르게 추세추종전략이 무엇인가에 대해서라기 보다는 왜 이것이 좋고, 어떻게 이 방안으로 돈을 벌 게 되었는지에 대한 장들이 여러 개 나온다. 그래서 각 장들을 보면서 아 이게 추세추종전략이구나라고 다소 막연하게 퍼즐을 맞추는 느낌으로 책을 보게 된다.

 추세추정전략을 쓰는 사람은 가치 투자자가 아니다. 투자자는 투자 대상의 가치가 오르기를 막연히 기다린다. 성공한다면 높은 수익을 얻지만 심한 주식시장의 요동과 대외 변인을 감내해야 한다. 누군가 한국이란 나라를 믿고 돈을 주식시장에 넣고 40년을 있었다면 대 성공이다. 하지만 외환위기와 버블닷컴붕괴, 2008경제위기, 코로나19, 인플레이션 사태의 대폭락을 모두 견뎌내야 했을 것이다. 하지만 트레이더는 수익을 위해서 계속 대상을 가리지 않고 매매한다. 

 추세추종은 펀더맨털을 크게 신경쓰지 않는다. 왜냐하면 가격은 펀더맨털과 상관없는 경우도 많기 때문이다. 그래서 추세추전략은 추세가 형성되면 추종하다. 즉, 시장에 대응하는 것이지 예측하지 않는 것이다. 

 그래서 가격변동에 따라 투자 포지션을 늘리거나 줄인다. 시장의 상승세와 하락세의 중심을 공략하는데 무릎에 사서 어깨에 파는 형식이다. 

 추세추종은 이전 100일 최고가를 갱신하면 롱포지션으로 구축한다. 그리고 이전 100일 최저가가 깨지면 청산하며 숏포지션으로 다가간다. 그리고 딱히 뭔가를 하지 않는 중립포지션이 있다. 그리고 진입하는데는 무조건 저가가 답은 아니다. 저가에 오를 종목을 모두 알 수는 없고 상승 흐름을 탔다면 추후 수익을 발생할 것이니 편승하는 것이다. 

 그리고 물타기를 거부한다. 물타기는 장기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는 시장에서 가격은 무조건 오르기만 하지않고 내려가기도 하기에 내려갔을때 오히려 구매해서 당장의 평균 손실을 줄이고 장기적으로는 더 큰 이익을 보자는 전략이다. 하지만 추세추종 전략에서는 어리석은 일이다. 일정 범위의 손실을 보는 시점에서 판매하고 새로운 추세를 따르는 것이 더 이익이기 때문이다. 물론 이건 사람이 하기 쉽지 않은 일이다. 

 그리고 추세추종에서는 긴 안목을 갖고 오르는 종목의 추세를 길게 타서 최대한 큰 이익을 보는 것도 중요하다. 여러 곳에 투자하면 손실은 당연히 날 수 있고, 그것을 만회해주는 것이 큰 홈런을 치는 종목들이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